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기타
  • 어떤 선택이 나을지..조언부탁드려요
  • connie (sutrashin)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04-12-07 16:17
  • 답글 : 5
  • 댓글 : 0
  • 2,469
  • 115
현재 전 한국에 있고요..연봉은 2600만원정도 되고,,영어는 한국어랑 바이링궐 수준인데, 중국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싱가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연봉은 싱달러로 45000 (연봉 3200정도 되네요) 정도 준다고.(주택 임차료는 별도로 없고, 성과급 약간 더, 2년 계약,) 2년 후는 한국에서 다시 일할 수 있고, 싱가폴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인정받습니다. 그런데 주택임대 등에 대해 한국촌 싸이트를 비롯한 싱가폴 관련 싸이트를 뒤져보니,,, 주택 임대에 드는 돈이 만만치 않네요..왜 한국은 전세라는 게 있잖아요... 제가 job offer에 관심이 간 건,,중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인데요.. 주택임대에 드는 돈 만만치 않게..식비 등 생활비도 만만치 않겠죠? (주택임대료랑 비싼 세금 등을 제하면 어차피 지금 제가 받는 연봉이나 또이또이 될 것 같아서요) 여하튼 돈 생각을 하니 머리가 아파지네요... 미리 가 계신분이나...사시는 분...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요..꼭이요.. 생활비 아끼는 방법이나 주택임대 싸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이라도 알려주세요. ( 참 싱가폴은 여행 차, 한 번 가본적은 있어요. 올해 초 )     
  • [답변]
  • [re] 어떤 선택이 나을지..조언부탁드려요
  • 싱거주자 (littlepiggy)
  • 답변 : 81건
  • 답변채택률 : 1.23%
  • 2004-12-07 17:23
제가 생각해도 큰 매릿은 없어 보이는 offer네요... 일반적으로 보면 용돈이라는 개념으로 돈이 더 나오던데... 말씀하신 대로 또이또이네요.   그러나 일반적으로 싱가폴 현지 근무자의 연봉이 한국보다 낮다고 볼 때  이 곳 근무 후 한국으로 다시 갈 수 있으니 경험이라고 생각하고 보면 그 점에선 괜챦다고 볼 수도 있지요...  현지 채용시에는 지금 offer보다 낮을 수도 있습니다. 걱정하시는 주택은 2가지 형태로 빌릴 수 있는데요. 아시는 것처럼 이곳은 전세 개념은 없습니다. 정부 아파트인 HDB에 방을 구하는 경우 가격이 좀 싼 편인 350-400 선에서 빌릴 수 있을 겁니다.  보통 한국 주재원이 많이 거주하시는 콘도인 경우 위치와 시설에 따라  방 하나 500-800 정도 까지 하죠.  그나마  이곳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아 가격이 좀 다운된 거랍니다. 식비도 아끼고자 하면 아낄 수 있겠지만 혼자 살다보면 외식이 많아지게 되니 자칫하면 오히려 한국보다 더 아껴 사셔야 할 지도 모릅니다. 말씀하신 중국어는 싱가폴 근무에 별반 어려운점이 되지 않습니다. 이곳 싱가폴 정부가 중국어 사용 운동을 할 정도로 사람들은 영어를 더 편하게 사용합니다.  그리고 중국어 공부도 본인이 노력해서 학원을 다니셔야 할겁니다.  근무하시면서 배우기는 어려울 것으로 봅니다. >현재 전 한국에 있고요..연봉은 2600만원정도 되고,,영어는 한국어랑 바이링궐 수준인데, 중국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싱가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연봉은 싱달러로 45000 (연봉 3200정도 되네요) >정도 준다고.(주택 임차료는 별도로 없고, 성과급 약간 더, 2년 계약,) >2년 후는 한국에서 다시 일할 수 있고, 싱가폴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인정받습니다. > >그런데 주택임대 등에 대해 한국촌 싸이트를 비롯한 싱가폴 관련 싸이트를 뒤져보니,,, >주택 임대에 드는 돈이 만만치 않네요..왜 한국은 전세라는 게 있잖아요... >제가 job offer에 관심이 간 건,,중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인데요.. >주택임대에 드는 돈 만만치 않게..식비 등 생활비도 만만치 않겠죠? (주택임대료랑 비싼 세금 등을 제하면 어차피 지금 제가 받는 연봉이나 또이또이 될 것 같아서요) >여하튼 돈 생각을 하니 머리가 아파지네요... > >미리 가 계신분이나...사시는 분...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요..꼭이요.. >생활비 아끼는 방법이나 주택임대 싸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이라도 알려주세요. >( 참 싱가폴은 여행 차, 한 번 가본적은 있어요. 올해 초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어떤 선택이 나을지..조언부탁드려요
  • 바다 (leebrian)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0%
  • 2004-12-07 18:17
아래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경제적인 측면만 보시면, 그리 좋은 조건은 아닙니다. (님의 경력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주택지원이 안된다면, 생활비가 빠듯하실 겁니다. 원화환율 전망도 않좋을 거라는 게 대세이니, 원화환산 연봉은 더 떨어질수도 있죠. 제 생각에 중요한 것은 님(20후반 정도로 보이시는데...)의 경력에 도움이 되신다면 돈 생각하시지 마시고, 도전해 보셔도 될 거 같습니다. 나중에 더 큰 물에서 더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어는 직장이나 일상생활이나 필 수는 아닙니다. 욕심을 부려서 중국어를 마스터하신다면 나중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로 현지인 들이 사용하는 중국어는 남방계 방언으로 북경어하고는 좀 다른거 같습니다. 배우시려면 북경어를 배우세요. 몇 자 적어봤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현재 전 한국에 있고요..연봉은 2600만원정도 되고,,영어는 한국어랑 바이링궐 수준인데, 중국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싱가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연봉은 싱달러로 45000 (연봉 3200정도 되네요) >정도 준다고.(주택 임차료는 별도로 없고, 성과급 약간 더, 2년 계약,) >2년 후는 한국에서 다시 일할 수 있고, 싱가폴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인정받습니다. > >그런데 주택임대 등에 대해 한국촌 싸이트를 비롯한 싱가폴 관련 싸이트를 뒤져보니,,, >주택 임대에 드는 돈이 만만치 않네요..왜 한국은 전세라는 게 있잖아요... >제가 job offer에 관심이 간 건,,중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인데요.. >주택임대에 드는 돈 만만치 않게..식비 등 생활비도 만만치 않겠죠? (주택임대료랑 비싼 세금 등을 제하면 어차피 지금 제가 받는 연봉이나 또이또이 될 것 같아서요) >여하튼 돈 생각을 하니 머리가 아파지네요... > >미리 가 계신분이나...사시는 분...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요..꼭이요.. >생활비 아끼는 방법이나 주택임대 싸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이라도 알려주세요. >( 참 싱가폴은 여행 차, 한 번 가본적은 있어요. 올해 초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어떤 선택이 나을지..조언부탁드려요
  • 영이 (angelee)
  • 답변 : 13건
  • 답변채택률 : 0%
  • 2004-12-08 00:45
어떤직장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자기 전공(전직장과연관)과 같은 회사면 쉽게일할수있구요, 단 이동네는 연봉이 잘 안오릅니다. 진급해도 한국만큼 안오릅니다. 즉, 네고중심의 사회이므로 입사전에 네고를 잘해야됩니다. (연봉및집값등) 싱글이면 도전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결혼하였다면 연봉이 작아 방세내면 생활이 조금어려워보입니다. >현재 전 한국에 있고요..연봉은 2600만원정도 되고,,영어는 한국어랑 바이링궐 수준인데, 중국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싱가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연봉은 싱달러로 45000 (연봉 3200정도 되네요) >정도 준다고.(주택 임차료는 별도로 없고, 성과급 약간 더, 2년 계약,) >2년 후는 한국에서 다시 일할 수 있고, 싱가폴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인정받습니다. > >그런데 주택임대 등에 대해 한국촌 싸이트를 비롯한 싱가폴 관련 싸이트를 뒤져보니,,, >주택 임대에 드는 돈이 만만치 않네요..왜 한국은 전세라는 게 있잖아요... >제가 job offer에 관심이 간 건,,중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인데요.. >주택임대에 드는 돈 만만치 않게..식비 등 생활비도 만만치 않겠죠? (주택임대료랑 비싼 세금 등을 제하면 어차피 지금 제가 받는 연봉이나 또이또이 될 것 같아서요) >여하튼 돈 생각을 하니 머리가 아파지네요... > >미리 가 계신분이나...사시는 분...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요..꼭이요.. >생활비 아끼는 방법이나 주택임대 싸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이라도 알려주세요. >( 참 싱가폴은 여행 차, 한 번 가본적은 있어요. 올해 초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어떤 선택이 나을지..조언부탁드려요
  • denny (denny)
  • 답변 : 4건
  • 답변채택률 : 0%
  • 2004-12-08 18:20
정말 주목적이 중국어 마스터라고 생각하신다면 여기나 한국이나 별반 차이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에선 영어를 거의 쓰고 물론 싱사람들끼린 중국어를 자주 쓰지만 표준어가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학원 어차피 다니셔야 할거고, 다른 주목적에 곁들여서 중국어도 배울수 있지 않을까 해서 오신다고 하면야 별루 신경쓸것도 없겠지만 , 님에게 온 offer 는 사실 그리 좋은 조건은 아닌거 같습니다. 해외근무와 영어 마스터등에 목숨걸었다고 하면 당근히 가야겠지만서도요. 케리어 측면에서 외국 근무를 하면 분명 인정해주는건 사실입니다만, 동시에 님이 한국에 없음으로 해서 잃어버릴 기회도 고려하셔야 할거 같네요. 가능하시다면 다시 네고를 하셔서 주택 부분에 대한 보상을 어느정도 요구를 하셔서 연봉을 다시 조정 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여긴 퇴직금이 없습니다. 연봉 2600 이면 한국에 있는다면 퇴직금이 대략 2년동안 500 정도는 될겁니다. 또한 2년동안 한국에 한번도 안갈건가요? 그런 home leave 에 대한 조항도 요구를 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보통 회사에서 파견으로 가게 되면 이런 부분에 대한 얘기가 있는걸로 아는데, 님의 회사는  좀 틀린거 같습니다. 및져야 본전이니 저자세로 나가지 말고 요구해보세요. 경력도 좋지만 학생때도 아니고 타국에서 혼자 있음 다른 반대급부라도 있어야지요. 머 정 안된다고 그러면 2년 고생하시고 한국 들어가실때 다른 회사로 갈아타실수도 있겠네요. 현재 20 대후반이면 돌아 가실때즘이면 대략 사회경력 5년정도 될거고, 영어되고 중국어도 만약에 된다면 헤드헌터들 전화 많이 올겁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현재 전 한국에 있고요..연봉은 2600만원정도 되고,,영어는 한국어랑 바이링궐 수준인데, 중국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싱가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연봉은 싱달러로 45000 (연봉 3200정도 되네요) >정도 준다고.(주택 임차료는 별도로 없고, 성과급 약간 더, 2년 계약,) >2년 후는 한국에서 다시 일할 수 있고, 싱가폴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인정받습니다. > >그런데 주택임대 등에 대해 한국촌 싸이트를 비롯한 싱가폴 관련 싸이트를 뒤져보니,,, >주택 임대에 드는 돈이 만만치 않네요..왜 한국은 전세라는 게 있잖아요... >제가 job offer에 관심이 간 건,,중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인데요.. >주택임대에 드는 돈 만만치 않게..식비 등 생활비도 만만치 않겠죠? (주택임대료랑 비싼 세금 등을 제하면 어차피 지금 제가 받는 연봉이나 또이또이 될 것 같아서요) >여하튼 돈 생각을 하니 머리가 아파지네요... > >미리 가 계신분이나...사시는 분...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요..꼭이요.. >생활비 아끼는 방법이나 주택임대 싸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이라도 알려주세요. >( 참 싱가폴은 여행 차, 한 번 가본적은 있어요. 올해 초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re] 어떤 선택이 나을지..조언부탁드려요
  • siaa (khkim2358)
  • 답변 : 10건
  • 답변채택률 : 0%
  • 2004-12-26 23:01
얻는것이 있는 방면 잃는 것도 많다는 걸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그래도 사람이...함 맘 먹으면 몸으로 겪기전까지 다른사람들의 반대에도.... 난 아니겠지 하는 생각으로 결국은 선택하곤 하는 것 같습니다. 저역시 마찬가지였구요... 전 님보다는 좋은 조건이지만 그래도 좋다고 할 수 없는 조건이라고 생각이 드는군요....한국에서 보다야 많은 돈을 받긴 하지만 그만큼 쓴 돈까지 계산하면 돈때문에 직장을 옮겼다고 하기도 힘들 것 같구요..중국어는 아마...본인의 큰 노력이 없으면 대부분의 경우 배우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전 얼마되진 않았지만 사실 영어 하나도 적응하기 쉽지 않네요...시간이 해결해 주리라 믿지만.... 남들보다 특별한 노력을 하실 자신이 있으시면 님 말씀대로 재도약의 기회를 가지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돈과 두마리 토끼를 잡으시겠다면 회의적으로 보이구요... 근데 어떤 업종인지 궁금하네요... 혹시 도움이 필요하다면 연락주세요. khkim2358@empal.com >현재 전 한국에 있고요..연봉은 2600만원정도 되고,,영어는 한국어랑 바이링궐 수준인데, 중국어는 하나도 모릅니다.. >싱가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왔는데, 연봉은 싱달러로 45000 (연봉 3200정도 되네요) >정도 준다고.(주택 임차료는 별도로 없고, 성과급 약간 더, 2년 계약,) >2년 후는 한국에서 다시 일할 수 있고, 싱가폴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인정받습니다. > >그런데 주택임대 등에 대해 한국촌 싸이트를 비롯한 싱가폴 관련 싸이트를 뒤져보니,,, >주택 임대에 드는 돈이 만만치 않네요..왜 한국은 전세라는 게 있잖아요... >제가 job offer에 관심이 간 건,,중국어를 마스터할 수 있지 않을까...해서인데요.. >주택임대에 드는 돈 만만치 않게..식비 등 생활비도 만만치 않겠죠? (주택임대료랑 비싼 세금 등을 제하면 어차피 지금 제가 받는 연봉이나 또이또이 될 것 같아서요) >여하튼 돈 생각을 하니 머리가 아파지네요... > >미리 가 계신분이나...사시는 분... 조언 한말씀 부탁드려요..꼭이요.. >생활비 아끼는 방법이나 주택임대 싸게 할 수 있는 방법 등..이라도 알려주세요. >( 참 싱가폴은 여행 차, 한 번 가본적은 있어요. 올해 초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920

기타[간절한 질문] 휴대폰, 비행기표, 골프연습장 관련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꾹꾹(mschu) 2004-12-27
추천수 : 80 조회수 : 1,853

안녕하세요? 몇일전 입싱했습니다. 낯선곳에 정착하려니 이것저것 궁금한 점이 많네요. 우선 저흰 부기스 심림스퀘어 근처에서 싱가폴 생활을 시작했고 싱가폴에서 2년동안 근무할 예정이며, 전 30대 초반. 와이프는 20대 후반입니다. 참고로 차는 보유하지 않을 작정입니다. …

  • A

    저도 많이 알진 못하지만 아는 범위내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휴대폰 2년 체류 예정이시라면 일반적으로 sing-tel, star-hub,m1과 같은 이동통신서비스 업체의 지점에 가시면 2년플랜(의무가입기간)이 가능한 휴대폰 기종이 있습니다. 가격은 천차만별이니 맘에 드시는 걸로 고르시면 됩니다. 지점에 가실때 신청인의 여권과 비자(EP,옥은 DP)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 참고로 제가 생각보다 1년 빨리 서울로 돌아가게 되서요, 휴대폰을 명의이전 하고 싶습니다. 2월초에 넘겨 드리는거 가능한데요, 2년 플랜가입 2005년 1월 현재 1년 의무기간 남은 상황입니다. SINGTEL 서비스 이용하고 있으며 공짜로 넘겨드리겠습니다. 약간의 명의이전 수수료만 부담해주셔요(약 20불내외). 와이프꺼하고 제꺼 2대 가능합니다. 다른분들도 관심 있으신분 연락주셔요 9152-9404 2. 비행기표 저는 개인적으로 서울 들어갈때 한국촌 홈페쥐에 배너광고 하고 있는 YOUNG ACE 투어 통해서 항공권을 구입했는데요, 비싼거 같지는 않았습니다..문의해보심이~~ 3. 골프연습장 부기스 근처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골프연습장 가기를 원하신다면 QUEENSTOWN CLUB DRIVING RANGE 가 괜찮을것 같네요. 퀸즈타운 엠알티에서 내려서 도보로 5분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4. 말레이 골프 관련 ㅎㅎ..저도 차가 없어서 주로 주위에 차 가지고 계시는 형님분들 어랜쥐 해서 말레이로 넘어가서 치고 옵니다. 대중교통 수단 이용시 부기스에서 말레이로 넘어가는 택시 잡아타고 가는 경우가 있는데요, 두당 얼마(잘 기억안남다..흐흑) 내고 조호바루로 넘어가서 거기서 말레이 택시 네고쳐서 골프장까지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교통수단만 택시 한대에 왕복 100불~120불 예상하시면 되겠네요. 또 다른 방법은 조호바루에 Tanjong Puteri라는 골프장이 있는데 거기에 부킹 하시면서 차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면 거기서 차가 옵니다. 교통포함 그린피 두당 125불입니당.(4인기준) 참조번호 : 탄종푸테리 조호바루 02072711888 골프 좋아하시면 조호쪽에 있는 골프장 회원권 lease하시는 것도 좋을듯. 한달에 3번정도 가면 본전 뽑는답니다. ^^ 골프동호회 여부는 잘 모르겠네요..쩝 아는게 별로 없어서 도움이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혹 핸펀 관심있으시면 연락주시고요, 즐거운 씽 생활 되시길~~ >안녕하세요? 몇일전 입싱했습니다. >낯선곳에 정착하려니 이것저것 궁금한 점이 많네요. >우선 저흰 부기스 심림스퀘어 근처에서 싱가폴 생활을 시작했고 >싱가폴에서 2년동안 근무할 예정이며, 전 30대 초반. 와이프는 >20대 후반입니다. 참고로 차는 보유하지 않을 작정입니다. > >몇가지 질문을 드릴께요. > >1. 휴대폰 >전 하루종일 회사에 있을것 같아 필요없을것 같고 와이프한테 >휴대폰을 하나 장만해 주려고 합니다. >어차피 2년이라는 싱가폴 생활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좋은것은 필요없을것 같은데 어디에서 어떻게 하면 >휴대폰을 사고 또 개통시킬 수 있는지요? >기존에 올라왔던 답변을 보면 심림스퀘어에 가면 중고 휴대폰도 >싸게 살 수 있다고 하던데 그러면 개통은 어떻게 시키면 되는지요? > >2. 비행기표 >입싱한지 한달만에 한국으로 다시 갈 일이 생겨서 The straits times 를 >사서 비행기 티켓을 알아보았더니 1월 중순에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가 >왕복 770불+Tax 해서 910불정도 되네요... (아시아나) >생각보다는 비싼데 원래 이정도 하는지요? >좀 싼 비행편으로 말레이항공이나 타이항공 등이 있긴 하던데 >경유해야하고 (이건 괜찮지만) 이미 만석이라고 하네요... > >3. 골프연습장 >말씀드린것 처럼 저는 심림스퀘어 근처에서 사는데 >혹시 주위에 골프연습장이 있는지요? 아니면 버스나 MRT 를 타고 >쉽게 갈 수 있는 골프연습장을 아시면 알려주세요. > >4. 추가로 하나 더... 골프장 관련... >주말에 골프를 치고 싶은데 주워들은 말에 의하면 싱가폴 내에서는 >골프장을 회원이 아니면 치기 힘들다고 하던데요. >그래서 말레이시아로 많이 가신다고 하던데 혹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말레이시아에서 골프치고 올 수도 있나요? >아니면 꼭 차가 있어야 하나요? >혹시 골프 좋아하시는 분이 있으시면 같이 하고 싶습니다. >전 90대 중반정도의 핸디이고, 와이프는 매우 초보입니다. >골프 동호회가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 >싱가폴에 계신 많은 분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 A

    >저도 많이 알진 못하지만 아는 범위내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1. 휴대폰 >2년 체류 예정이시라면 일반적으로 sing-tel, star-hub,m1과 같은 이동통신서비스 업체의 지점에 가시면 2년플랜(의무가입기간)이 가능한 휴대폰 기종이 있습니다. 가격은 천차만별이니 맘에 드시는 걸로 고르시면 됩니다. 지점에 가실때 신청인의 여권과 비자(EP,옥은 DP)를 지참하셔야 합니다. > >-> 참고로 제가 생각보다 1년 빨리 서울로 돌아가게 되서요, 휴대폰을 명의이전 하고 싶습니다. 2월초에 넘겨 드리는거 가능한데요, 2년 플랜가입 2005년 1월 현재 1년 의무기간 남은 상황입니다. SINGTEL 서비스 이용하고 있으며 공짜로 넘겨드리겠습니다. 약간의 명의이전 수수료만 부담해주셔요(약 20불내외). 와이프꺼하고 제꺼 2대 가능합니다. >다른분들도 관심 있으신분 연락주셔요 9152-9404 > >2. 비행기표 >저는 개인적으로 서울 들어갈때 한국촌 홈페쥐에 배너광고 하고 있는 YOUNG ACE 투어 통해서 항공권을 구입했는데요, 비싼거 같지는 않았습니다..문의해보심이~~ > >3. 골프연습장 >부기스 근처에서 대중교통 수단으로 골프연습장 가기를 원하신다면 QUEENSTOWN CLUB DRIVING RANGE 가 괜찮을것 같네요. 퀸즈타운 엠알티에서 내려서 도보로 5분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 >4. 말레이 골프 관련 >ㅎㅎ..저도 차가 없어서 주로 주위에 차 가지고 계시는 형님분들 어랜쥐 해서 말레이로 넘어가서 치고 옵니다. 대중교통 수단 이용시 부기스에서 말레이로 넘어가는 택시 잡아타고 가는 경우가 있는데요, 두당 얼마(잘 기억안남다..흐흑) 내고 조호바루로 넘어가서 >거기서 말레이 택시 네고쳐서 골프장까지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교통수단만 택시 한대에 왕복 100불~120불 예상하시면 되겠네요. >또 다른 방법은 조호바루에 Tanjong Puteri라는 골프장이 있는데 거기에 부킹 하시면서 >차가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면 거기서 차가 옵니다. 교통포함 그린피 두당 125불입니당.(4인기준) 참조번호 : 탄종푸테리 조호바루 02072711888 > 골프 좋아하시면 조호쪽에 있는 골프장 회원권 lease하시는 것도 좋을듯. 한달에 3번정도 가면 본전 뽑는답니다. ^^ >골프동호회 여부는 잘 모르겠네요..쩝 > >아는게 별로 없어서 도움이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혹 핸펀 관심있으시면 연락주시고요, 즐거운 씽 생활 되시길~~ > >>안녕하세요? 몇일전 입싱했습니다. >>낯선곳에 정착하려니 이것저것 궁금한 점이 많네요. >>우선 저흰 부기스 심림스퀘어 근처에서 싱가폴 생활을 시작했고 >>싱가폴에서 2년동안 근무할 예정이며, 전 30대 초반. 와이프는 >>20대 후반입니다. 참고로 차는 보유하지 않을 작정입니다. >> >>몇가지 질문을 드릴께요. >> >>1. 휴대폰 >>전 하루종일 회사에 있을것 같아 필요없을것 같고 와이프한테 >>휴대폰을 하나 장만해 주려고 합니다. >>어차피 2년이라는 싱가폴 생활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좋은것은 필요없을것 같은데 어디에서 어떻게 하면 >>휴대폰을 사고 또 개통시킬 수 있는지요? >>기존에 올라왔던 답변을 보면 심림스퀘어에 가면 중고 휴대폰도 >>싸게 살 수 있다고 하던데 그러면 개통은 어떻게 시키면 되는지요? >> >>2. 비행기표 >>입싱한지 한달만에 한국으로 다시 갈 일이 생겨서 The straits times 를 >>사서 비행기 티켓을 알아보았더니 1월 중순에 한국으로 가는 비행기가 >>왕복 770불+Tax 해서 910불정도 되네요... (아시아나) >>생각보다는 비싼데 원래 이정도 하는지요? >>좀 싼 비행편으로 말레이항공이나 타이항공 등이 있긴 하던데 >>경유해야하고 (이건 괜찮지만) 이미 만석이라고 하네요... >> >>3. 골프연습장 >>말씀드린것 처럼 저는 심림스퀘어 근처에서 사는데 >>혹시 주위에 골프연습장이 있는지요? 아니면 버스나 MRT 를 타고 >>쉽게 갈 수 있는 골프연습장을 아시면 알려주세요. >> >>4. 추가로 하나 더... 골프장 관련... >>주말에 골프를 치고 싶은데 주워들은 말에 의하면 싱가폴 내에서는 >>골프장을 회원이 아니면 치기 힘들다고 하던데요. >>그래서 말레이시아로 많이 가신다고 하던데 혹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말레이시아에서 골프치고 올 수도 있나요? >>아니면 꼭 차가 있어야 하나요? >>혹시 골프 좋아하시는 분이 있으시면 같이 하고 싶습니다. >>전 90대 중반정도의 핸디이고, 와이프는 매우 초보입니다. >>골프 동호회가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 >>싱가폴에 계신 많은 분들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     

Q

NO.918

기타김치 가져갈수 있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순심이(mol4791) 2004-12-27
추천수 : 27 조회수 : 1,578

안녕하세요? 1월이면 입싱하게될 사람입니다... 신랑이 파견근무를 하게되어 2년동안 싱가폴에서 머물게 됩니다.... 여러가지로 궁금한것도 많고...걱정도 많습니다.... 먼저 입싱하신 선배님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싶습니다.... 김치를 여기에서 가져가고 싶은데요.... …

  • A

    >안녕하세요? 1월이면 입싱하게될 사람입니다... >신랑이 파견근무를 하게되어 2년동안 싱가폴에서 머물게 됩니다.... >여러가지로 궁금한것도 많고...걱정도 많습니다.... >먼저 입싱하신 선배님들에게 도움을 청하고 싶습니다.... >김치를 여기에서 가져가고 싶은데요.... >가져갈수 있을까요? 공항에서 걸린다거나... >가져가다 국물이라도 새어버리는 날엔....ㅜ.ㅜ;;;; >집에 밀봉,진공 포장할수 있는 기계가 있기는 한데..... >밀봉해서 가져가다가 팽창되서 터져 버릴까봐...걱정이 됩니당~~ >글구 집도 렌트해야하는데.....어디가 좋을까요? >울 신랑 회사는 앙목교와 요추강 근처에 있거든요.... >앙목교는 가봤는데.....좀 뭐라그럴까??? 살기 불편하지 않나싶고.... >앙목교와 요추강 동네는 어떤지요??? 뭐 안전문제라던지....마트..청결문제..등등~~ >아시는 분은 꼭 좀 알려주세용~~ 김치는 김장용 비닐봉지에 잘 싸서 아이스박스에 넣어 가지고 오면 딱 좋습니다. 근데 중량 초과되지 않도록 하세요 특히 싱가폴 항공은 절대로 봐주는 법이 없다는 것 명심하구요 저도 집에 관해서는 그쪽을 잘 몰라서.... 참고로 제가 아는 분이 그쪽 앙목교에 있는 회사에 다니는데 요추강이나 우드랜드쪽에서 사시더라구요     

  • A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요..혹시 김치는 중량 제한이 얼마인가요?? 혹시 알고 계시면 좀 알려주시겠어요??^^ 아~~그리고 싱가폴은 지진 해일로 인한 피해는 없는지요? 그곳에 계신 한국촌 여러분 모두 무사하신지요? 뉴스에서는 싱가폴 얘기는 전혀 나오지 않아서요... 말레이시아랑 인도네시아는 무지 많이 다치고..죽고... 참 마음이 아픕니다... 행복님께서도 타국에서 항상 몸 건강하세요..^^     

Q

NO.913

기타국민연금 환급시 제가 영주권자임을 어떻게 증명하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오리너구리(shera) 2004-12-22
추천수 : 83 조회수 : 1,545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이라고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어떻게 영주권자…

  • A

    싱가폴과 한국은 이민협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으시면 여권에 pr이라고 새겨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그것이 영주권자임을 확인하는 증거 서류 입니다. 새로 발급받은 여권과 재외 국민등록증을 가져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냥 재외 국민 등록증을 발급 받고 제대신 동생이 수령을 했기 때문에 위임장만 써던 걸로 기억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여러 곳에 문의 하세요... 한국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은 지역(도시)마다 다 틀려요.. 서류 준비하는 것이.... 그럼 수고 하세요./.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이라고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 >어떻게 영주권자인지 증명을 하죠? >하늘색 IC가 영주권자라고 말을 해도 IC에 PR이라 안써있어서 모른다고 하는데.. >확실이 법적으로 이것이 영주권이다 증명할만한 뭐 있을까요? >     

  • A

    새로 pr여권 발급받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지금 여권은 보통 여권이고 pr받고나서 몇가지 도장만 꽝꽝 찍혀 있습니다. 그것말고 법적으로 영주권자인걸 증명할만한게 또 뭐 없을까요? >싱가폴과 한국은 이민협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으시면 여권에 pr이라고 새겨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그것이 영주권자임을 확인하는 증거 서류 입니다. 새로 발급받은 여권과 재외 국민등록증을 가져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냥 재외 국민 등록증을 발급 받고 제대신 동생이 수령을 했기 때문에 위임장만 써던 걸로 기억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여러 곳에 문의 하세요... 한국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은 지역(도시)마다 다 틀려요.. >서류 준비하는 것이.... >그럼 수고 하세요./.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어쩌구 저쩌구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 >>어떻게 영주권자인지 증명을 하죠? >>하늘색 IC가 영주권자라고 말을 해도 IC에 PR이라 안써있어서 모른다고 하는데.. >>확실이 법적으로 이것이 영주권이다 증명할만한 뭐 있을까요? >> >     

  • A

    PR여권이 있는지는 모르겠구요 저는 영주권 처음 받을때 CERTIFICATE를 받았는데요 >새로 pr여권 발급받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지금 여권은 보통 여권이고 pr받고나서 몇가지 도장만 꽝꽝 찍혀 있습니다. > >그것말고 법적으로 영주권자인걸 증명할만한게 또 뭐 없을까요? > >>싱가폴과 한국은 이민협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권을 새로 발급을 받으시면 여권에 pr이라고 새겨 있습니다.. >>그것을 가지고 가시면 됩니다 >>그것이 영주권자임을 확인하는 증거 서류 입니다. 새로 발급받은 여권과 재외 국민등록증을 가져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그냥 재외 국민 등록증을 발급 받고 제대신 동생이 수령을 했기 때문에 위임장만 써던 걸로 기억 하고 있어요... >>그리고 여러 곳에 문의 하세요... 한국의 국민연금 관리공단은 지역(도시)마다 다 틀려요.. >>서류 준비하는 것이.... >>그럼 수고 하세요./. >>>국민연금 반환받으려고 하는데 >>>PR여권과 영주권, 재외국민등록증을 가져오라구 하는데(꼭 다 있어야 한답니다) >>>PR여권은 안만들었지만 여권에 도장은 PR어쩌구 저쩌구 찍혀있구 >>>재외국민등록증에도 영주권자라고 써있는데 >>>아시다시피 영주권이라는 서류는 없지 않습니까? >>> >>>어떻게 영주권자인지 증명을 하죠? >>>하늘색 IC가 영주권자라고 말을 해도 IC에 PR이라 안써있어서 모른다고 하는데.. >>>확실이 법적으로 이것이 영주권이다 증명할만한 뭐 있을까요? >>> >> >     

Q

NO.910

기타2년후 영어 실력은 어느정도 될까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꽃밭에서(dahamkhc) 2004-12-19
추천수 : 84 조회수 : 1,208

안녕하세요? 남편과 저, 그리고 두 딸 모두 싱가폴로 유학을 떠나고 자 이렇게 글 올리게 되었습니다. 저희 부부는 40대 초반, 30대 후반인데 지금까지 열심히 바쁘게 살아왔으니 이젠 스스로에게 휴식을 주고 또 그동안 엄두가 안나 제대로 시작도 못했던 영어 공부를 하…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우선 입싱을 축하드립니다. 2년이면 유학기간으로는 짧은 기간이라는 생각이 들구요, 짧은 외국생활인 경우이므로 한국학교 선택은 아이들이 한국으로 돌아 갈 것을 대비한 좋은 선택(로컬학교의 경우 학년을 낮추어 입학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귀국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입싱의 목적이 어학연수에 있으신데요, 기대하시는 4가지 목표를 이루시려면 과외를 꼭 하셔야 될 것으로 생각되구요 아이들에게 배운 영어를 활용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셔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비교적 빨리 배우는 장점이 있지만 또 빨리 잊어 버리기도 하오니 한국으로 귀국하셔서도 영어를 계속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셔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싱가폴은 큰 문화적 충격없이 영어를 습득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도 있고 주변 여러나라들을 쉽게 다녀 올 수 있는 장점이 있사오니 아이들에게 많은 것를 보여주시면 싱생활 2년이 더욱 보람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가 드리는 답변이 꼭 정답이 될 수는 없고 개개인의 사정에 따라 적용되기 어려울 수도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안녕하세요? > >남편과 저, 그리고 두 딸 모두 싱가폴로 유학을 떠나고 자 이렇게 글 올리게 되었습니다. >저희 부부는 40대 초반, 30대 후반인데 지금까지 열심히 바쁘게 살아왔으니 >이젠 스스로에게 휴식을 주고 또 그동안 엄두가 안나 제대로 시작도 못했던 영어 공부를 하고 싶어 이렇게 용기를 내 봅니다. >유학은 2년 정도 생각하고 있는데 말 그대로 유학이다 보니 들어오는 돈 없이 >쓰기만 해야 할 형편이라 여러가지로 고민스럽습니다. > >두 아이는 내년에 5학년, 2학년이 될텐데 성격은 밝고 사교적인 편이며. >여자 아이들이라 그런지 언어 쪽으로 약간의 감각은 있어 보입니다. >저희 부부의 싱가폴행 목적은 100% 어학 이지만 아이들에겐 무리하게  다른거 잃고 >포기 하면서 까지 영어 하나 만을 목표로 하고 싶진 않는데 그래도 어차피 타국으로 >공부하러 온 가족이 떠나는 것이니 만큼 욕심을 완전히 떨쳐 버리기가 어렵습니다. > >아이들은 한국 학교를 보냈으면 하는데 >한국학교의 영어수업이 주당 14시간으로 배정되어 있지요? >그런데 그곳은 날씨가 더운탓에 아이들끼리 놀이터나 공원에서 놀면서 자연스럽게 >영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으리라 짐작이 되고 특별히 친한 동네 친구를 만들지 >못한다면 실제로 영어를 접하는 시간이란  학교 영어수업시간과 이따금의 외출이 >전부 일테데 이렇게 2년을 보낸 아이의 영어 실력은 어느정도가 될런지 몹시 궁금합니다. >별도의 과외를 받는 노력을 해야 할까요? >아님 그것으로도 부족한가요? > >저의 기대치는 >1) 자기 나이에 맞는 동화책을 읽고 이해하며 다른 사람에게 그 뜻을 정확하게 >   전달 할 수 있는 정도 >2) 자기 나이 이상의  책도 정확하게 읽기는 하되 그 뜻은 대충 짐작 가능한 정도 >3) 전문용어나 여려운 어휘가 포함 되지 않고 비교적 길지 않은  문장의 받아쓰기가 >   가능한 정도   >4) 일상 생활에서의 자연스러운 회화  입니다. > >저희 가족의 싱가폴 행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부분이오니 >한국촌 관계자분이나 한국학교 학부모님, 그외 한국학교 사정을 잘 아시는 분, >아이들의 언어 습득  능력에 대해 알고 계신분들의 >실질적이고 냉철한 조언과 정보  부탁드릴게요. > >그리고  제 경험으로 외국어는 일단 말이 문법에 어느 정도 맞게 하기만 하면 >설령 발음이 좀 나쁘다 하더라도 크게 문제 되진 않는다고 보는데 >싱글리쉬 발음을 고려 해봐야 한다고 주장하시는 주윗분들이 계셔서 >그 부분도 함께 여쭤 보고 싶어요. > > 그 정도로는 어림도 없다는 얘기 보다는  보다는 >학교 영어 공부 열심히 따라하고, 현지인 친구 열심히 사귀고, 외출 열심히 한다면 >우리 아이들과 저희 부부, 짧은 인생에서 정말 보람된 2년이 될거라는 격려의 회신을 >기대 해봅니다. > >메일로 답해 주셔도 감사 하겠습니다. >Dahamkhc@hanmir.com   > >     

  • A

    제가 이번달 들어 딱 싱가폴 온지 2년된 학생입니다. 솔직히 처음에는 어쩌다 보니 싱가폴에 와서 영어 공부를 하게 되었는데요.. 그렇게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기는 힘들겠습니다.. 그냥 일상대화 정도 하는 수준이랄까;; 싱가폴이 영어가 주언어 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만드린[중국어]를 사용하기때문에,,  발음도.. 정식영어에서 보면 조금 교정해야할 부분도 많구요,,, 솔직히 영어 실력이야 자기 노력에 의해서 향샹되는 거니까요. 저는 워낙 공부를 안하다 보니;;; 아무튼 영어만 집중 적으로 공부하실 ?? 생각 이시라면 괞찬은 영어 학원에 들어 가셔서 공부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이건 개인적인것 이지만 브리티쉬 카운설 이라는 학원을 적극 적으로 추천합니다.. 싱가폴 사람들도 발음 교정을 위해 많이 다니는 학원이고 강사들도 전부 영국인 위주라서 깨 괞찬은 학원입니다.. 그리고 이거 제 생각인데.. 자녀분들은 처음부터 이곳로컬 초등학교에 보내심이 괞찬을것 같네요.. 솔직히 빨리 빨리 학교를 입학 안시키시면.. 나이에 비해 낮은 학년에 입학하게 되니.. 잘 생각 하심이..     

Q

NO.909

기타컴퓨터는 어디서 구입하는게 좋을 까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파스텔(zcup73) 2004-12-18
추천수 : 82 조회수 : 1,058

내년 2월에 입싱 예정입니다. 컴퓨터를 새로 구입해야 할것 같은데 한국에서 구입하는게 나을 까요 아님 싱가폴에서 구입하는게 나을까 고민입니다.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입싱을 축하드립니다. 컴퓨터는 싱가폴이 조금 더 저렴한 편이므로 싱가폴에서 구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또한 싱가폴에서 구입하시면 A/S를 쉽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싱가폴에서 구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싱가폴에서 구입하시면 이삿짐도 조금 줄어 들게 되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싱가폴에서 구입하시게 되면 싱가폴의 용산전자상가에 해당되는 Simlim Square 또는 Funan Centre에 가시면 쉽게 구입하실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조립 컴퓨터를 구입하시는 경우에는 Simlim Square에서 더 다양한 상품을 저렴하게 구입하실 수 있구요, 브렌드 제품을 구입하시는 경우에는 같은 제품이라도 여러 상점의 가격과 스펙을 비교하셔서 구입하시면 좀 더 저렴하게 구입이 가능합니다. 만약 Dell을 구입하시려면 싱가폴 신문(The Straits Times)를 보시면 자주 광고가 나오니 보시고 전화로 주문하시면 됩니다. 보람있는 싱가폴 생활 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내년 2월에 입싱 예정입니다. >컴퓨터를 새로 구입해야 할것 같은데 한국에서 구입하는게 나을 까요 아님 싱가폴에서 구입하는게 나을까 고민입니다.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

NO.908

기타수술해서 출산하신분...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Jenny() 2004-12-18
추천수 : 37 조회수 : 1,231

엄마의 카페에 글을 올렸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곳에 다시 올립니다. ----------------------------------------- 싱가폴 온지도 얼마 안되는 초보맘인데, 애가 둘있답니다. 애들 학교문제를 겨우 결정지어 놓았지만, 애들이 잘 적응할는…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많이 걱정하시고 계신 Jenny님께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싱가폴에서 산부인과 의사로 계신 분께 Jenny님의 사정을 말씀 드렸더니 아래와 같은 조언을 해주셨사오니 참고하시구요, 의사 분께서 직접 진찰을 하시는 경우가 아니오니 더욱 신중히 알아보시고 최종 결단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1. 출산은 앞번에 출산 하셨던 한국병원에서 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합니다. 언어소통면에 있어서도 한국병원이 좋겠다고 합니다. 2. 만약 싱가폴에서 출산하실 경우에는 모든 시설이 잘 갖추어진 KK병원에서 출산하시는 것이 안전하다고 합니다. 특히 Jenny님은 앞번 아이 둘을 수술을 통해 출산 하셔서 이번 출산도 수술을 받게 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각종 시설이나 수혈 등이 원활한 KK병원이 좋겠다고 합니다. 3. KK병원의 병원비는 비교적 검진이 많고 이에 따라 비용도 비싼 편인데요, 보통 출산의 경우 검진 내용에 따라 1회S$30~S$200 정도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정기검진은 초기에는 1달에 1번씩 출산이 가까워지면 1주일에 1번씩 검사를 받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검진비용을 제외한 출산비용은 순산하는 경우와 수술하는 경우를 포함해서 S$1,350~S$4,100(병실 B1 class/4인실의 경우)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산모와 아기의 상태가 좋지 않아서 입원이 길어지고 치료가 많아지게 되면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병실선택은 외국인의 경우 낮은 클라스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추가비용이 발생 할 수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중히 잘 결정하시고 순산하시길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엄마의 카페에 글을 올렸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곳에 다시 올립니다. > >----------------------------------------- >싱가폴 온지도 얼마 안되는 초보맘인데, 애가 둘있답니다. > >애들 학교문제를 겨우 결정지어 놓았지만, 애들이 잘 적응할는지도 걱정 이거니와 저역시 영어 학원을 알아보고 있던 차에 (엎친데 덮친격이죠) 임신이 되었네요...아직은 창피한 마음 뿐이라 주위에 알리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 >남편역시 당황스럽기는 매한가지 겠지만,저로서는 전혀 계획하지 않은 임신이라 별가지 생각이 다 떠오릅니다. 교회를 다니는 저이기에...나쁜 생각이 머리를 스칠때마다 기도로써 맘을 다잡곤 하지만, 30대 중반을 훌쩍 넘긴 이나이에, 또다시 무슨 고생인가 싶기도 하고, 더군다나 일가친척 없는 외국에서 잘 견딜 수 있을는지, 무엇보다도 전 두아이를 모두 제왕절개로 낳았고, 자궁근종 수술까지 대대적으로 한 몸이라 제 건강도 자신할 만한 상태는 아닌데다(남편은 제 건강을 제일 많이 걱정하고 있죠),,,음,,,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인 고민이죠. > >이곳 싱가폴은 제왕절개의 경우 굉장히 비싸다는 말을 얼핏 들은 적이 있기에 예산을 세우기도 만만치가 않네요. > >고령출산의 경우, 각종 검사비도 만만치 않다는데, 대충이나마 소요비용과 산부인과를 추천해 주실 수 있을는지요. 정 비용이 부담이 될 경우는 한국에 가서 출산을 할 여지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두아이 모두 한학기만 싱가폴에서 다니고, 다음학기 (7월부터 시작?)는 등록시키지 않을 생각도 있습니다만, 아이들이 혼란스러울 것 같아...어떻게 해야할지 판단이 서질 않네요. 비용을 생각해서 7월초부터 10월초까지 3개월동안 몸조리까지 끝내고 싱가폴로 돌아오는게 나은지, 아니면 아이들의 학교문제등을 고려해서 비용을 감수하고, 그냥 싱가폴에서 출산 해야할지...잘 모르겠습니다. 세째 아이라 저역시...두아이 모두 출산한 한국의 병원에 가서 출산을 하는게 더 안전(?)할 거라는 생각도 들기는 합니다만... > >지금 현재로써는 이런 소소한(?) 걱정거리들이 앞서지만, 정작 병원을 다니게 된다면 태어날 아이 건강이 가장 큰 걱정이 되지 않을까...싶네요. > >님들께서 만약 제 입장이라면 어떻게 하셨을는지...경황이 없어 뒤죽박죽인 제게 이성적인 여러맘들의 조언을 들려 주신다면 정말 큰힘이 되겠습니다. > >아무 말씀이나 좋으니...답글 남겨 주시면 정말 고맙겠네요. > >혹시라도 연락처를 남겨 주신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부탁드립니다. >----------------------------------------- >     

Q

NO.904

기타싱가폴에서 토플 시험 보려면 어떻게 신청 해야 하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지니(genie22) 2004-12-17
추천수 : 62 조회수 : 1,065

싱가폴에서 토플을 보려고 하는데 인터넷으로는 할 수가 없네요.. 아시는 분은 꼭 좀 알려 주세요... 어디서 신청 하는지,,,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2년전쯤 토플에 대한 질문과 답변들이 많이 있었는데요, 그때 올라왔던 답변 2가지를 아래에 남기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아래---- 1)안녕하셔요 싱가폴에서는 2년전부터 토플시험이 paper-based testing에서 Computer-based testing으로 바껴서 실시되고 있는거 아시죠.. 우리나라에서도 작년 가을부터 컴퓨터 베이스로 바뀐걸로 알고있는데 어떤가 확인안해봐서 잘모르겠지만 싱가폴에서는 제가 2년전에 토플을 봤으니까 생각나는대로 적어볼께요.. 먼저 토플 웹사이트(www.toefl.org)를 방문해서 불레틴(Bulletin)이라는 잡지를 신청했구요 며칠후 잡지가도착한후 잡지내에 있는 testing request form을 작성한후 말레시아에있는 테스트센트(ETS)팩스(전화가능)로 보냈죠.하루정도후 comformming letter를 이메일로 받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험당일날(신청서에 원하는 날짜 자기가 정해 기입) 받은 이메일 프린트해서 시험장소(스콧트 로드에 있는 실반테스트센타)에가면 됩니다. 확인 이메일에 장소 시간등 유의사항도 적혀져 있었구요.. 이상이 대강 현재 기억하고 있는 내용이구요 시험은 인터넷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번실시되고 있구요.다만 어느시간대에 배치되는가가 문제죠.. 참고로 시험포맷(컴퓨터 베이스)에 익숙하지않으면 생각보다 점수가 낮게 나옵니다. 시험끝나고 에세이를 제외한 독해와 청취의성적을 바로 알수있구요.저의경우는 종이로 본 모의시험의 성적보다 훨씬 낮게 나오더군요. 먼저 사이트를 방문하셔서 지역별로 잘 나와 있으니 찬찬히 읽어보시는게 좋을것 같네요 그럼 도움되었으면 좋겠네요 2) 신청전화:(0203)4678600: Malaysia/K.L. 시험장소:67367055 (near Orchard/Sylvan Centre) 수험료:미화110.00 등록: 1. 시험은 주중(월~금) 거의 아무 때나 볼 수 있고, 시간은 아침 8시30분, 점심 12시30분 중 선택 가능함. 2. 신청은 약 2주전에 해야 하고, 등록비는 신용카드(Visa 또는 Master card)로 결제하고, 신청할 때 등록번호를 알려 줌. 3. 응시: 여권지참 필. 4. 응시횟수: 월1회 응시 가능 (시험은 자주 있지만). >싱가폴에서 토플을 보려고 하는데 인터넷으로는 할 수가 없네요.. >아시는 분은 꼭 좀 알려 주세요... 어디서 신청 하는지,,,     

Q

NO.903

기타한국촌님께 다시 질문이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샘터(obzee24) 2004-12-16
추천수 : 27 조회수 : 1,031

빠른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언제나 질문에 성실히 답변 해주셔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자꾸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하지만 다시 질문드려요. 저는 우선 급한 개인적인 이유로 관광비자로 들어가려고 해요. 그런데 들어가자 마자 급하게 핸드폰이 필요합니다. 저같…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선불카드는 누구든지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관광비자도 물론 되구요... 선불카드는 일정금액이 저장된 카드인데요, 카드에 핸드폰(한국의 CDMA폰과 달리 싱가폴에서는 칩을 핸드폰 내부에 꽃아 사용하는 GSM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에 꽂을 수 있는 칩이 있고 각 칩마다 고유의 핸드폰 번호가 부여되는 형태입니다. 금액은 20불 정도 부터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계속 충전해서 사용하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간은 초기 금액을 보통 6개월내에 사용해야 되며 6개월내에 충전을 하면 그때 부터 다시 6개월이 연장되는 형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안내서를 카드와 함께 나오므로 읽어 보시면 되겠습니다. 선불카드는 핸드폰 판매하는 곳에 같이 판매하고 있으니 어렵지 않게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빠른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언제나 질문에 성실히 답변 해주셔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 >자꾸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하지만 다시 질문드려요. >저는 우선 급한 개인적인 이유로 관광비자로 들어가려고 해요. >그런데 들어가자 마자 급하게 핸드폰이 필요합니다. >저같이 방문비자만 있는 경우에도 핸드폰과 선불카드를 구입할 수 있나요? >선불카드란게 어떤 개념인지 잘 모르겠네요. >한달 요금을 미리 낸다는 건지...... >요금은 얼마정도 되는지.... >한달만 쓰다가 사용 안하게 되면 어떻게 취소를 하는건지.... >카드 구입은 어디서 하는건지 등등..... >입싱하자마자 바로 사용을 해야 되서 이렇게 많은 걸 여쭤봅니다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