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기타
  • 혹시 회계 관련 공부 하시는 분 계신가요??
  • Mr.Chris (netliker)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09-08-17 19:35
  • 답글 : 0
  • 댓글 : 1
  • 1,344
  • 13
안녕하세요 어느덧 입싱한지 5개월째...슬슬 회사를 다니며 싱생활에 적응해 나가고 있는 와중 그냥 시간을 보내느니 고생이 되더라도 공부를 좀 더 해야겠다를 생각이 들어 질문을 올립니다. 혹시 한국이나 싱가폴에서 회계학을 전공 하시고 싱가폴에서 ICPAS나 ASSA 준비 하시는분 계시온지요 정식 학교를 다니기 보다는 파트타임으로 다니며 공인 회계사 시험을 준비 해 볼까 생각 중입니다만 짧은 싱생활에 정보 수집 루트가 좁아 인터넷에 각 학교 브로셔 정보 밖에 접수가 안되네요. 현재 공부하시는 분들께 정중히 정보를 요청 합니다. 1. 대학원을 다니는게 나은지 ACCA 준비 학원을 다니는게 나은지? (직쟁생활로 인해 파트 타임 수업을 들는 경우) 2. 대략적인 경비는 어느 정도 드는지? 3. 그리고 학교나 학원을 추천 해 주세요 4. 마지막으로 직장 생활하며 공부하기가 많이 힘든가요?? 메일이나 쪽지 부탁드립니다. 행여 공부하시는 스터디 그룹이 있다면 소개도 좀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63

기타입싱준비에 대한 질문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Blip(tsemin) 2009-11-07
추천수 : 6 조회수 : 1,378

미국에서 싱가폴로 이사를 할 예정입니다만 모르는것이 너무 많습니다. 아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1. 4학년에 재학중인 아이가 있는데 명문 공립의 경우 그 학교 근처에 살아도 들어갈 수가 없다는 이야길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들어갈 수 있는 학교를 정한후 …

  • A

    하기 답변 드립니다. 1. 명문 공립학교는 외국인 신분으로 바로 들어가기 힘Š年求     공석이 있는 경우 학교 배정의 우선권은     시민권자 -> 영주권자 -> DP 소지자 -> 학생비자     순서입니다.     따라서, 보통 들어가기 쉬운 학교로 들어간 후     성적을 좋게 한 다음 명문학교로 지원하는 방법을     씁니다.     학교는 외국인 신분으로 학생비자로 들어가는 것 보다는     부모님이 취업비자(EP)를 취득 후, 자녀는     DP(Dependant Pass)로 학교 들어가는 것이 훨씬     들어가기도 쉽고, 빠릅니다.     동네는 가능한 학교 근처에 잡으시면 좋은데,     특별히 지정된 곳은 없으며 어디든 괜찮습니다.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곳 중 하나는     부킷티마(Bukit Timah)쪽입니다. 2. 임대시 가구가 있는 곳과 없는 곳이 있으므로,     골라서 임대하실 수 있습니다.     대략 가구와 세탁기,냉장고가 없는 집과 있는 집의     렌트비가 월 S$200 ~ $300 가량 차이 납니다. 3.  세탁기나 냉장고는 전압도 틀리고, 헤르츠(Hz)가 틀리므로     현지에서 빌려서 많이 쓰십니다.     변압기를 쓰셔도 됩니다만, 그래도 몇년 있으면     고장이 납니다. 4. 대부분 현지에서 다 구하실 수 있으므로,    짐을 많이 가져오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시다 보면 현지 적응이 쉽게 되고, 더운 날씨다 보니 옷이나 이불이 그리 많이 필요하지 않지만, 외국 나갈때를 대비하여 점퍼등 겨울옷 몇개는 들고 오시면 됩니다. 더 궁금한 점은 쪽지 주세요. >미국에서 싱가폴로 이사를 할 예정입니다만 모르는것이 너무 많습니다. >아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 >1. 4학년에 재학중인 아이가 있는데 명문 공립의 경우 그 학교 근처에 살아도 들어갈 수가 없다는 이야길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들어갈 수 있는 학교를 정한후 살 집을 정하는것이 순서인가요? > - 회사는 싱가폴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추천할만한 동네, 학교가 있으시면 꼭 알려주세요. > > >2. 퍼니쳐드 임대주택이 대부분이라 들었습니다만.. 가지고 있는 가구들과 가전제품들을 어디까지 가져가야 할지 고민입니다. > - 언퍼니쳐의 경우도 냉장고 세탁기는 필수로 들어있나요? > - 언퍼니쳐의 집은 랜트하기가 어렵나요? > >3. 미국과는 볼트와 헤르쯔가 틀리다고 들었습니다. 미국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변압기를 싱가폴에서 구하기는 쉬운가요? > >4. 한국을 들려서 들어갈 예정입니다만, 이런것들은 꼭 가져오는것이 유용하다 싶은 물건들이 있으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답변주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