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163,447
  • 제한되는 게시물 안내 (비방성, 정치성, 광고성, 불법고용 등)
  • 한국촌 (hankookchon)
    1. 419,463
    2. 20
    3. 0
    4. 2008-05-06 22:40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한국촌 게시판은 싱가포르에 학업, 취업, 관광 등의 목적으로 입국하시는 한인 분들, 그리고 싱가포르 거주하시는 

한인 분들에게 유용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서로를 존중하며 배려하는 마음으로 사이트를 이용해 주시길 부탁 드리며, 아래와 같은 게시물이나 댓글들은 저희 

한국촌 사이트에 게시할 없으니 저희 운영 규칙을 지켜 주시길 당부 드립니다.

 

[한국촌 사이트에 게시할 없는 게시물이나 댓글]


1. 비방성 (타인 또는 기관 업체에 대한 명예훼손 타인 개인정보 노출 게시물)

2. 정치성

3. 광고성 (타인 광고 대행 포함)

4. 불법 취업 적법한 비자 없는 근로활동, 불법 고용 관련 게시물

5. 기타 불법적인 내용이 포함된 게시물 또는 현행 법령을 위반하는 게시물

6. 욕설 폭언, 협박 등이 포함된 게시물

7. 공서양속에 반하는 게시물

8. 해킹, 사이버 피싱 등의 목적을 가진 게시물

 

* 자세한 사이트 이용 규정은 저희 사이트 하단에 있는 [서비스  약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한국촌 -

::: 우리 따뜻한 한인 사회를 만들어 봐요!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

NO.351

기타싱가폴 씨티에서 한국씨티 계좌로 송금해보신 분 계신가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파란토끼(myshsan48) 2016-07-25
추천수 : 0 조회수 : 3,700

싱가폴 씨티 계좌에서 한국 씨티 계좌로 송금할때 수수료가 따로 붙는지 궁금해서 글올려봅니다. 몇년전에 확인해 봤을 때는 같은 씨티뱅크여도 해외 송금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붙는다 라고 들어서 싱가폴 씨티 뱅크 계좌를 취소하고 로컬뱅크 계좌를 계속 사용해 왔었는데 얼마전에…

  • A

    송금수수료는 안붙습니다   대신 한국에 글로벌계좌 개설하셔야 하구요   여기서도 마찬가지고 계좌개설해야 하는대   여기 시티은행은 계좌개설시 지점마다 틀리지만   디파짓2000~5000불 이에요~      

  • A

    아셔야할것이 씨티 글로벌 계좌로 보내실때 환율을 잘 보셔야하는데 환율이 안좋아 수수료 낸거나 안낸거나 별반 다를게 없더군요      

  • A

    글로벌 계좌이체는 수수료가 없긴하나 대신 SGD에서 USD로 다시 USD에서 원화로(원화로 최종 받으실 경우) 두번 전신환 환율 적용이 되기 때문에 결코 수수료가 없는 게 아닙니다. 은행에선 그 환율 손해 부분을 이익으로 취하는거구요. 수수료가 환율 손해보다 큰 경우 즉 작은 이체금액일 경우 글로벌 이체가 낫고 큰 금액일수록 수수료를 내고 일반 이체 하시는 게 낫습니다.     

Q

NO.350

기타적금 고민 조언좀 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완료
딩딩딩딩(starstart7) 2016-05-17
추천수 : 0 조회수 : 5,375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적금을 들려고 하는데요 여기 올라온 글을 여러개 찾아 봤는데요 궁금점이 있어서 몇 개 좀 여쭤보겠습니다..^^ 은행에 5년이나 10년 단위로 적금을 드는 개념이 가장 이해하기 쉽고 제가 한국에 있을때 적금을 들던 방식이었는데요.. 보험회사…

  • A

    안녕하세요~ 저는 여기서 AIA 적금들었구요. 적금 든지는 한 3년정도 됬네요, 시작 2년뒤부턴 정해진 쿠폰처럼 액수도 뺄수있고 유동성 있는것같아서 괜찮은거같아요. 상품은 다양한것같던데 AIA 강현구 8428 6535 제 컨설턴트 분이니 문의해보세요~      

    1
  • A

    한국도 한때 저축성 보험이라고 해서 10년납입이 많았는데, 초기 1-2년동안은 사업비가 많이 들기때문에 만기를 채우지 못하면 해지했을때 손해를 볼 확률이 높습니다.7-8년이 넘어가면 원금 100%회수는 가능하지만 그 세월동안 이자를 못받는 것입니다. 싱가포르 지금처럼 마켓분위기가 다운되어가고 있을때 실직이라도 하면 생활비 명목으로 찾아써야 하기 때문에 장기 적금을 드실 때는 주의를 요합니다. 또 10년 동안 있을런지도 확실하지 않잖아요. 저도 5년짜리를 알아본적이 있는데 기본이 10년이며, 은행에서 팔지만 10년동안 11.25% 라는 모 상품도 결국은 방카슈랑스며 (해지 손실을 피할 수 없는) 따져보면 연간 1.2% 안됩니다. 어떤 상품은 기본 이율은 낮은데 1년마다 보너스 이율준다고..그럼 결국 해지하면 이자가 없잖아요.. 게다가 향후 금리 상승기인데 현재 적금을 드신다는건 금리면에서 손해를 보실 확률도 크지요. OCBC 360 계좌 (월급여 2000불 이상일때) 6만불 까지  비과세 기본이율이 1.2% 입니다. 추가 공과금납부건수나 카드이용금액이 만족하면 2.2%까지..그걸 만드셔서 적금처럼 활용하셔서 목돈을 만드시면 해지로 인한 손해도 없고 갑자기 한국으로 돌아갈때도 문제 없습니다. 참고로 한단계 더 난위도 있는 적금법을 알려드리면(10년을 목표로 하신다면) DBS에서 싱가포르 bluechip 주식 etf와 국공채 본드를 드셔서 리벨런싱만 쭉 하셔도 적금보다는 훨씬 효과가 클 것입니다. 납입금이 600이상이면 수수료상 OCBC가 싸고 ,직접 HTS를 열어서 etf를 산다면 수수료는 싸겠지만 매달 신경을 써야하고 잘 모르면서 주식에 손을 댈 수 있는 위험이 있기때문에 안전한 atm 투자를 더 권해드립니다. 어떤분께서 보험성 장기적금에 관한 내용을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http://financialfreedom.kr/803        

    1
  • A

    안녕하세요. 지나가다가 이쪽으로 좀 나름 좀 아는게 잇는 지라 답글을 달겠습니다. 한국촌에서 뭐 올렸다가 짤린 기억이 잇어서 이번에도 그럴까 좀 두렵네요.    1. 저축성 보험에 대하여.  싱가포르는 은행에서 주는 예금의 경우 맥시멈 3년입니다. 은행에서 판매하는 3년 이상의 상품은 무조건 장기저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라클님 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처음 2년간은 사업비로 빠지고 원금을 반환할때까지 시간이 걸리는게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 저축은 향후 미래의 특정 시점에 필요한 돈 - 애들 학비나 은퇴자금  - 혹은 정말 손대지 않고 남는 돈을 을 떼놓는 개념으로 접근하시는게 맞습니다.  혹시나 저축성 보험을 계약할실때는 반.드.시 개런티/ 난개런티를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개런티는 보험사가 망하지 않는한 반드시 줘야할 약정 금액이고, 난개런티는 보험사의 라이프 펀드 수익률에 따라서 주면 땡큐한 부분입니다. 많은 세일즈맨들이 난개런티를 개런티처럼 판매해서 욕을 먹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본 것들 중에는 20년을 부어도 원금 보장이 안되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꼭 좀! 제발!  개런티 부분이 원금보다 많은지 확인을 하고 계약을 하셧으면 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보험사들을 보다보면 어떤 회사는 개런티가 많은 부분이 있고, 어떤 회사는 라이프 펀드의 실적과 비용이 다른 회사보다 우월한 보험사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런 회사들을 좀 잘 찾아가셧으면 합니다.  원금이 깨지는 죽어도 싫은 분들에게는 저는 싱가포르에서 저축성 보험을 하는게 굳이 나쁘다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제가 아시는 분은 머리쓰기 싫다고 뽀나스 나올때마다 매년 한개씩 가입을 하셨는데  그게 롤오버가 되면서 10년째부터는 매년 만기가 돌아와서 좋아하셨습니다. 여기는 보험영업을 할 수 잇는 자본 비율을 맞추기위해서 개런티 부분은 무조건 내놔야 하구요, 생명보험의 경우 10만불까지 정부에서 폴리시 홀더 프로텍트 정책이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금융 상품에 대해 비과세이고 CPF가 없는 경우 연 5천불까지 생명보험의 경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잇씁니다.  2. OCBC 360 통장  저도 초반에 이런 통장들 따라서 많이 움직엿는데요,하두 많이 바뀌어서 안합니다. 3% 받으면 일년에 1800불, 그리고 이 3%를 받을려면 한달에 400불정도 크레딧 카드를 써야한다고 알고 잇습니다. 그러면 일년에 약 4,800불정도 지출이 생깁니다. 그리고 오씨비시 다니시는 분들의 카더라~ 통신을 들어보면 원래 이 통장은 금융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낚시 제도인데 별로 수지가 안 맞아서 계속 금융 삼풍을 끼워팔 수 있는 방법을 구상중이거나  금리를 더 짜를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따고 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지출과 저축이 같이 나가는 통장을 갖고 잇으면 돈이 잘 안 모이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5만불 잇으신 분들은 몇년째 그냥 5만불인  경우가 많습니다. 3. 싱가포르  주식 /국공채 ETF  아주 개인적인 뷰인데요, 저는 싱가포를 STI 인덱스를 썩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구성 자체가 Keppel, CDL, WIlmar,GL 같은 싸이클 타는 주식들로 채워져있어서 경기 싸이클에 따라 심하게 움직입니다.  그리고 시장참가자가 적어서 유동성이 떨어지구요.  아시는 분이 10만불 어치 파는데 한달걸렸다고 한적이 있습니다. 주식을 하실려면 저는 차라리,  싱가포르의 블루칩 주식을 직접 사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성장은 없지만 현금이 많아서 3% 정도는 계속 나옵니다. 그런데, 주식은 적립식보다는 시장이 조정을 받을때 들어가시므로 어느정도 시장공부를 하시는게 필요합니다.  국공채 ETF는 저는 해본적은 없구요, 개인적으로는 단기채권 펀드를 하고 있습니다.   저금리를 살아남는 방법은 결국은 큰 실수 안하고, 본인의 리스크 레벨을 알아서. 단기 현금/ 장기 저축과 연금/ 중기 투자 자산으로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늘려가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2 채택답변
Q

NO.347

부동산룸렌트 거래 시 주의사항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s.angela(angela330) 2015-12-14
추천수 : 0 조회수 : 3,342

안녕하세요, 다음달부터 싱가폴에 머물게 되어, 미리 집을 구하고 가려고합니다. 다만...한국에 있는 중에 거래를 해야할것같은데, 송금하기 전에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단기간이라 따로 계약서를 쓰지는 않는것같은데.. 어떻게 해야 안전하고 잘 거…

  • A

    상당히 위험한 거래를 하시려고 하시네요. 계약서도 없이 돈만 송금하신다구요? 얼마나 믿을 만한 분이신지는 모르겠으나, 이건 아닌것 같습니다. 집주인에 대한 신분증이나 여권이니 다 받아 놓으신다고 해도, 만약 문제가 생길 경우 발생하는 법적 절차를 다 감내 하셔야 하는데... 제 생각에는, 요즘은 집구하기가 어렵지 않으니, 들어오셔서 찾는게 제일 나을 듯 싶습니다.      

  • A

    미리 송금은 하지 마시구요 일단 여기 집 하루당 얼마에 올려놓으신분 많거든요 거기서 잠시 지내시지요 ..그 후에 월세 맞는곳 찾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래도 지금 연락 하시는 집에 가신다면 직접 그날 가셔서 방 보시구 돈을 내셔야 합니다 보통 한달 월세 와 보증금 을 달라고 할거에요800 이면 두달 치1600 미리 내야 하구요 나가기 전에 한달 전에 노티스 주는게 보통 방법 입니다 나가식때 800 돌려 받구요 방에 하자 가 없는 경우 입니다 어쨋든 미리 송금 하는 그런 경우는 절대 없는걸로요 ^^     

  • A

    미리 송금은.... 너무 세상을 아름답게 보시네요     

Q

NO.346

생활posb 통해서 송금햇는데요, 수수료가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elliffk(sunmium) 2015-12-09
추천수 : 0 조회수 : 2,980

제가 10,300불을 싱달러로 보내서 한국은행에서 원화로 바꾸려햇는데요. 싱달러로 보내면 한국은행에서 홀드할수가있대요..(???) Take를 못할수도있다 이런 느낌..? 근데 영어가 약한 저인지라..ㅠ.ㅠ 그럼 그냥 여기서 원화로 바꾸겟다고하고, 보내는거만 수수료…

  • A

    혹시 받으시는 분 수수료도 내신거 아니신가요? 전 UOB 로 송금하는데 보내는 사람이 수수료를 전부 다 내는것이 있고 받는사람이 수수료를 전부다 내는 것도 있고 반반씩 내는 것도 있습니다. posb는 안써서 모르겠지만 은행은 다 비슷하지 않을까요?     

    1
  • A

    쉽게 말씀을 드릴려고 합니다만 이해가 되실지 모르겠네요. 모든 외화 거래에서 송금시 수수료는 총 3번이 부과가 됩니다. 보내는분, 받는분, 중계은행 이용료 보통 송금시 신청란에 보내는분과 받는분의 수수료는 누가 지불할 것인지가 신청서에 표기가 되어 있어 명료하지만 중계수수료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중계은행을 어느곳으로 보내지게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POSB에서 한국 시중은행에 송금하는 경우 POSB에서 직접 한국으로의 송금이 은행간 불가능하기 때문에 나라별 중계은행을 통해 송금이 이루어지게되는데 그때에 발생하게되는 수수료입니다. 수수료가 50불이라고 하셨으니 POSB에서 보내시는 분 송금수수료 20불과 받는분 수수료 5불~10불 나머지는 중계은행 수수료라고 보시면 정확할 겁니다.          

Q

NO.345

사업/직장근로계약서 위반으로 위약금 물게 됐어요ㅠ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wonu(historysaint) 2015-09-23
추천수 : 0 조회수 : 5,445

안녕하세요! 저는 얼마전에 구직을 하게된 사회새내기입니다.   베짱하나로 한국에서 여기로 온지 2달여, 경제사정으로 인해 마음에는 차지 않았지만, A라는 회사와 지난주에 근로계약서에 서명을 했습니다. 그런데 1달전 면접 후 결과통보를 기다리길 포기했던 B라는 회사로…

  • A

    안녕하세요. 정말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구직활동을 할때 회사에 위약금문제가 참 사람 머리아프게 하는 경우가 많죠.. 붙여놓으신 계약서 내용을 보니 A회사는일하겠다고 컨펌을 한 이후부터 일시작하기전까지의 기간중에 계약을  파기하면 한달치 월급을 내라는 내용이고, C회사는 아마 취직을 성사시킨 후 A회사로부터 취직자의 한달치 월급정도의 돈을 커미션으로 받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정기간내에 취직자가 회사를 그만둘 경우 커미션을 되돌려주는 경우라서 그것을 위약금 형태로 취직자에게 물리려는 거겠지요. 제 사견으로는 일단 A회사에서 수습기간(Probation period)내에 회사를 그만둘 경우 얼마간의 Notice period가 있는가를 확인하시고 B회사에 그 기간을 기다려 줄것을 요청하고 A회사에서 일단 일을 시작하고 한,두주후에 사직서를 제출하면 A회사로의 계약파기위약금은 안물어도 될것 같습니다. 사실 C회사의 경우가 제일 문제가 될것 같은데 보통 헤드헌터들은 자기들이 손해보는일은 안하려고 하니까요. 일단 A회사에 취직후 C회사에 A회사가 본인이 원하던 회사가 아니다라는것을 강조하시고 그 회사가 본인과 맞지 않는다는것, C회사에서 본인에게 A회사에 대해서 올바르게 설명하지 않은점등을 찾아서 차근차근 이야기를 하면서 위약금을 안내거나 줄이는 방향으로 가보는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B회사에서 A회사의 Notice Period를 기다려줄 수 있고, B회사가 본인이 정말 가고 싶었던 곳이라면 멀리 볼때 C회사로의 위약금을 감수하고라도 가는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사견을 두서없이 드렸습니다. 지혜롭게 잘 해결해 가시리라 믿고 그렇게 응원하겠습니다.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