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163,449
  • 싱가포르 입싱 준비물 FAQ
  • 한국촌 (hankookchon)
    1. 259,698
    2. 18
    3. 0
    4. 2012-08-24 16:02

페이지 정보

본문


분 류비 고


·





1본인
/배우자
여권사본 및 여분의 증명사진여권 분실시, 임시 여권 발급을 위하여 필요합니다.
2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혼인관계증명서,
졸업증명서 등
영문 증명서는 공증이 필요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영문으로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국문 서류는 대사관 번역 공증 필요)
3자녀출생증명서,
예방접종증명서
학교 성적 및 재학증명서 등
미리 사전에 자녀의 학교 입학을 위한 필요 서류를 확인하고 가능하면 영문으로 발급받는 것이 좋으며,
국문일 경우, 따로 번역 및 공증이 필요합니다.



·




·
1국제 운전면허증국제 운전면허증의 유효기간은 1년 입니다.
12개월이상 부터는 국제면허로는 운전이 불가능하며 BTT(Basci Theory Test) 합격 후, 싱가포르 면허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2초기 정착금입싱 초반에는 렌트비, 보증금, 약 2달 정도의 생활비 등을 지출하므로
현금이나 출금할 수 있는 카드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3집 구하기Propertygure나 한국촌 등을 활용하여 지역과 조건에 맞는 곳을 찾아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직접 방문하고 에이전트를 통한 정식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콘도 3개월 이내 HDB 6개월 미만 계약은 불법)

1자녀 학교 입학을
위한 정보 탐색
로컬학교나 국제학교에 따라 시험, 준비 서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입싱 전, 자녀의 학교 입학이나 전학을 위한 학교 정보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학교 위치에 따라 주거지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1한국에서 치과 치료· 검진 하기싱가포르의 의료비는 한국보다 많이 비싼 편이므로 미리 관련 치료, 검진 등을 하고 입싱하는 것이 좋습니다.
2종합감기약,
소화제 등 상비약

3개인 복용 의약품통제 약물이 포함된 의약품은 싱가포르 보건청에 허가가 필요할 수 있으며,
특정 약에 대해서는 의사 소견서나 처방전 필요할 수 있습니다.

1김치, 한국 식품 등현지 마트(Fair Price, Cold Sotrage 등)에서 한국 브랜드(CJ 비비고 등)의 김치,라면 등은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인 마트에서도 다양한 한국 식재료, 반찬 등 구매가능합니다.



1스마트폰Country lock 해제 상태의 스마트폰은 싱가포르에서 유심만 교체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통신사 (Singtel,Starhub 등)와 서비스 형태(선불,후불) 를 선택하여 개통할 수 있습니다.
2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등
한국 브랜드는 AS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국 브랜드(HP, ASUS 등) 구매하는 편이 나으며, 현지에서 AS가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현지 구매시에는 한글OS나 한글 키보드 등이 필요하다면 미리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인터넷 전화기
4압력 밥솥, 김치 냉장고 등한국과 싱가포르는 전압, 헤르츠(싱가포르 전압 : 220V~240V, 50Hz, 한국 전압 : 220v,60Hz)가 다르기 때문에
싱가포르 헤르츠(Hz)에 문제 없는 제품인지 확인하고 가져오는 것이 좋습니다.


·




·

1개인 의류쇼핑몰이나 이동수단(버스,MRT 등) 등 대부분의 공간이 에어컨 때문에 온도가 낮은 편이므로
가디건 등의 긴 옷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안경, 콘택트 렌즈한국보다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가격대가 높은 편입니다.
3한국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한국 화장품, 매장(라네즈, 브리프, 이니스프리 등)이 진출하여 접근성은 좋으나, 가격대는 한국보다 비싼 편입니다.
4위생용품 / 목욕용품개인이 선호하는 브랜드가 있으면 챙겨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5우산자외선이 강하고 비가 갑자기 오거나 자주 오기 때문에 우산을 갖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6한국 도서, 필요한 문제집 등한국 도서, 한국 문제집 등은 현지에서 구매하기 힘들고 한국 배송 등을 통해 구매해야 합니다.
간단히 읽을거리는 추후에 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구매보다는 e-book 등을 추천합니다.



1필요 예방주사, 반입 허가증 등서류 준비 및 입국 전 준비를 위해 약 6개월 정도 준비 기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AVA에 검사 및 예방접종, 어떠한 서류 신청 및 제출해야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https://goo.gl/v77kM2)
자세한 사항은 Singappre AVA (www.ava.gov.sg) 또는 한국촌 반려동물 카페 (goo.gl/xGN5EG) 참고 부탁드립니다.
※태어난지 12주가 안된 강아지, 고양이는 싱가포르에 데려올 수 없습니다.


2싱가포르 입국 후 일정기간 격리

1한국 기념품싱가포르인들에게 한국을 소개할 수 있는 기념품

(2019.4.18 업데이트)


회원 Q&A



singgen_q1.gif현재 싱가포르 vs 한국 물가가 감이 잘 안오는데.. 의복류(의류, 신발, 등)는 한국에 아웃렛이나 백화점 등에서 사가는게 나은가요?
피티스(**ssman10) | 2012.08.11

singgen_a1.gif




  면제품은 한국이 훨 나은듯해요. 특히 속옷종류요. 옷의 질은 비싼 것도 치룬돈 만큼의 값어치를 못하지만 무턱대고 옷을 사오시기보다 여기 적응 하시면서 장만 하시는게 나을듯 하네요. 컨테이너 등을 이용한 이주라면 기본적인 옷들, 아이가 있으시다면 면제품정도 가져 오시면 유용할거예요.
몰디브(**won426) | 2012.08.11

  저도 한국에서 오시는 김에 사서 오시는게 좋은듯해요. 여긴 패션 스타일도 다르고...질도 별로인듯합니다.
sunnykim(**h6o14) | 2012.08.11


singgen_q1.gif





9월초에 입싱합니다. 현재 해외 이사를 준비중인데 한국에서 쓰던 가전제품이 싱가포르의 전압과는 맞지 않아 못쓴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냉장고는 LG디오스 양문형, 세탁기는 LG 드럼세탁기입니다. (2009년도 산) 그리고 삼성 LCD TV(2009년도 산)는 싱가포르에서 쓰는 방식이 달라서 DVD용 아니면 안가져가는게 낫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입싱 선배님들!! 싱가포르에서 최소 2~3년은 살게 될 텐데 한국의 전자제품들을 다 팔고 싱가포르에서 새로 사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트랜스 쓰면 냉장고나 세탁기는 쓸 수 있는 것일까요? 해외이사 업체는 냉장고, 세탁기 다 가지고 가지 마라고 하더라구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유나지(**sone) | 2012.07.26


singgen_a1.gif








  저는 LG 디오스 양문형 일년 넘게 잘 쓰고 있어요. 참고로 트랜스 사용하고 있고 10년 가까이 된 구형 모델이예요. TV는 싱가포르에 와서 새로 샀어요.
깜찍맘(**chid28) | 2012.07.26

  냉장고 리니어 기능이 없는 구형 모델은 사용가능하나 최근에 나온 모델들은 대부분 리니어 모델이라 안됩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TV는 전압과 상관없이 안되기 때문에 여기서 구매하시는게 낫고 나중에 한국 가져가서 케이블 연결해 쓰시면 됩니다. 기타 가전은 수명에 좀 영향은 있겠지만 사용은 가능합니다. (가끔 밥통, 토스터 같은 전열기구는 금방 고장났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요. 복불복인 듯
종이우산(**mil) | 2012.07.27

  전 이사짐업체에서 모든 걸 다 가져가라고 해서 정말 잘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냉장고 LG 는 좀 곤란하다고 하더라구요. 특히 오래된 아파트가 아니라면, 트랜스가 오히려 문제를 일으킨다고 조언을 해주셔서 김치냉장고도 트랜스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일자산(**un) | 2012.07.30


singgen_q1.gif곧 입싱예정입니다. 소화제 타이레놀등 사가려고 하는데 또 어떤 약들이 싱가포르에서 오년정도 사는데 사가면 도움이 될까요?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누렁이(**oveq2000) | 2012.08.21

singgen_a1.gif













  타이레놀 정말 필요하구요. 파스같은거 넘 비싸서 종합감기약도 엄청 도움되더라구요. 싱가포르약이 좀 독하기만하고 효과가 없어요.
nikkiie(**kkiie) | 2012.08.21

  여기 로컬음식이 기름진게 많아서.. 저는 소화제랑 한의원에서 처방받은 가스찰때나, 그럴때 먹는 약? 자주 먹습니다. 두통약도 그렇구요! 버물리도..ㅎㅎ 마데카솔이나 후시딘은 기본이겠죠!
몽멍아(**oyoon) | 2012.08.22

  후시딘, 대일밴드(방수밴드), 소독약(빨간약), 흉안생기는(메디폼인가?~ㅎ), 글구 감기 많이 걸리시더라구요. 감기약 넉넉하게 챙기시고 약국에서 구입하실때 외국나간다면서 최근제품으로 달라그러세여~ 벌레 물린데 바르는 것도 혹시 모르니 하나 정도 챙기세요. 저도 이거저거 많이 챙겨왔는데 든든하더라구요~ 여긴 약값이 좀 비싸더라구요.
시메이life(**nkyu1233) | 2012.08.22

  소화제(한방이 최고입니다), 빨간약, 마데카솔, 알보칠(저는 피곤하면 입안이 잘 허는 편인데, 싱가포르 오고 신경을 많이 써서그런지 많이 헐었었어요. 혹시 저와 비슷하시다면 강추), 세레스톤지(벌레물린게 아니더라도 가끔 간지러울때가 있더라구요), 그리고 바르는 마이신연고(테라마이신인가? 전 동네애완견에 스치듯 물린적이 있어서...ㅎㅎ) 여자분이시라면 진통제! 감기몸살약도 챙겨오는게 좋습니다. 전 한국에서 제가 자주 썼던 약이나 연고 작은상자로 가득 가져왔어요 ㅎㅎ 대일밴드 같은거는 여기 가디언이나 왓슨스에서 많이 있더라구요.
마크툽(**eway31) | 2012.08.22

  습진약, 라미실과 같은 무좀약, 쌍화탕 같은거 진공포장해서요. 눈다래끼약, 제가 필요로 했던거예요. 약 최대한 마니 가져오세요. 전 비염있어서 지르텍 필수인데 한국에선 4천원하느데 여기선 만원 넘네요. 감기약, 목감기약, 몸살약.. 특히 감기몸살약 꼭 챙겨오세요. 소화제, 마데카솔 요론거 완전 기본.. 모기물린데 바르는 약은 왓슨스에서 샀는데 잘 낫더라고요.
씽싱싱(**oee) | 2012.08.22


singgen_q1.gif



인터넷 전화기 어떤게 좋을까요?

다음달에 입싱할려고 준비중인데 인터넷 전화기 사서 갈려고합니다. 어떤걸 사가야 사용이 잘되나요? KT? 아님 LG? 싱가포르에서는 LG를 많이 쓰나요?
salalanm(**lalanm) | 2012.04.16


singgen_a1.gif






  주로 통화하시는 분들이 어떤 통신사인지 알아보고 같은걸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같은 통신사끼리는 무료통화니까요.
레오니(**eetmia) | 2012.08.16

  일반적으로 LG를 많이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 저도 싱가포르 오기 전에 고민 많이했었는데 외국에서 사용한다 하면 다른 통신사들도 LG를 추천하더라구요. 그래서인지 LG통신사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절대적으로(^^;) 많아보입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윗분 말씀처럼 주로 통화하시는 분들과 같은 통신사로 결정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STARBUCKS~(**bibaty) | 2012.04.17

  싱가포르에서 4번 이사를 했는데요~~ 모두 LG 를쓰더군요~~ 집에 LG쓰는 곳이면 따로 공유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서 편합니다. 전화기만 들고 있으면 되거든요~~ 다른 회사거면 잘 모르겠구요~~ ㅋㅋ
철&희(**eya0705) | 2012.04.18


singgen_q1.gif


안녕하세요. 1주일 전에 입싱했습니다. 쿠쿠밥솥은 어디에서 살 수 있을까요? 따뜻하게 밥 해서 먹고 싶어요.

컴퓨터도 살 예정입니다만 어디에 가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을까요?
hedgehog(**nglessjp) | 2012.01.09


singgen_a1.gif






  쿠쿠밥솥은 안돼요. IH방식이 틀리다나 뭐 하여튼 밥통이 터진다고 해서 저희도 쿠첸으로 바꿔서 가지고 왔어요. 쿠첸은 나라별 자동전환장치가 되어 있던데요.
훈이네(**ny17) | 2012.01.09

  쿠쿠 이번에 신제품 들고 들어왔는데, 잘 되던데요~ IH방식이요~
earlgrey(**rlgrey) | 2012.01.09

  저도 6개월 전에 입싱했는데, 쿠쿠는 전압땜에 못사고 여기와서 일제 코끼리밥솥 베스트샵(하이마트같은곳)에서 샀어요. 코끼리는 쿠쿠보다도 훨 비싸요.. 압력도 아닌데 400불넘게줬답니다 끙; 근데 위에 댓글대로 쿠쿠에서 새로 나왔으면 지인 통해서 받는 것도 방법이시겠네요.
lunapark(**oyu82) | 2012.01.16


singgen_q1.gif





며칠 전 입싱했습니다. 살 것 들이 있는데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맨날 다른 분들 글만 읽다가 처음 글을 남기네요. 저도 여기서 도움 받은 것 이상으로 빨리 다른 분들께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수건재질로 된 샤워가운, 빗, 거울, 망으로 된 빨래통, 사무실에서 신을 만한 밑창두께 1인치 정도되는 슬리퍼(한국엔 흔하죠), 손톱깍이, 스태플러랑 그거 뜯어내는 닭발같은거 사려는데요. 어디서 구해야할지요?

그리고 Sengkang 주변에는 한국식당 없나봐요? 컴파스포인트 4층 호커센터 코리안음식점은 빼구요... 한국음식이 맞나 싶었어서요^^;; 그럼 더운데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원방(**oveumuch) | 2011.07.06


singgen_a1.gif






  셍캉에 사시나 봐요. 셍캉 MRT와 붙어있는 쇼핑몰 3층에 있는 Popular에서 문구류는 구입하시면 되구요, 사무실에서 신으실 슬리퍼는 2층에 있는 World of Sports에서 구입하실 수 있을겁니다. (한국처럼 막 신을 저렴한 것들은 없습니다.) 손톱깍이, 빗 등은 2층 Watson에서 있을거구요.
유후(**omoon) | 2011.07.06

  저도 한국에서 오시는 김에 사서 오시는게 좋은듯해요. 여긴 패션 스타일도 다르고...질도 별로인듯합니다.
정배(**ngjjang19) | 2012.07.06

  닭발....ㅋㅋㅋㅋ 재밌는 표현이네요. 즐거운 싱가포르 생활 하시길 바래요~ 저렴한 가격의 생활용품은 다이소에서 구입하시면 부담없을 듯 하네요. 제가 아는 다이소 매장은 오차드 ION, 도비갓 Plaza singapura가 생각이 나네요.
tessa(**atever35) | 2012.07.07


singgen_q1.gif





뿌리는 모기약, 바퀴벌레약 & 좀벌레약 사 가지고 가야 하나요?

다음 달에 입싱하는데, 음.... 아래 하얀벌레 동영상을 보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뿌리는 모기약, 바퀴벌레약, 좀벌레약, 곰팡이 제거제.. 기타 등 등..이런 거 한국에서 사 가지고 가는 게 좋을까요? 요즘 여름되니까 한국에서는 1+1에, 특가에 가격 엄청 저렴하거든요.. 싱에 있는 게 성능이 좋은지, 한국산이 좋은지 구매 관련 조언좀 해 주세요~

아, 물먹는 하마(제습제)도 많이 사 가지고 가는 게 좋을까요? 짧게나마 답변 부탁드립니다 ^^
씽초맘(**opy78) | 2011.06.25


singgen_a1.gif





  일반적인 초록색병 스프레이나 하마 제습제등의 인터내셔널 브랜드 제품들은 여기 슈퍼에 팔아요. 근데 하마제습제로 감당이 안되실꺼에요. 습기가 싫음, 제습제를 하나 구입하셔야할꺼에요. 틈틈이 틀어서 제습시키면 뽀송하니 좋아요. 벌레는 생각보다 많지 않은듯 하구요. 모기는 거의 없고, 바퀴는 아주 가끔씩 밖에서 한번씩 날아 들어오던데, 집안 관리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얼마 전부터 테라스랑 창가에 화분들을 둬선지, 작은 도마뱀들이 나타나서 괴롭히네요. 얘들이 들어와서는 그 주변에 자리잡고 한참동안 (몇 주 정도)을 그냥 거기서 살다가, 사라지곤 하더라구요. 저렴한 한국에서 구입해 오시거나, 그 공간에 다른 짐 (싱가포르에서 구하기 힘든 것들)을 넣어 오실지는 본인께서 결정하셔야할것 같네요.
sarang(**chelle1024) | 2011.06.25


singgen_q1.gif



입싱 전에 예방접종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7월 입싱을 앞두고 있습니다. 입국 전에 한국에서 꼭 맞고 가야할 예방접종이 있을까요? 검색을 하다보니 뎅기열같은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하던데... 어른과 아이 모두 미리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것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혜자매맘(**olfor) | 2011.05.05


singgen_a1.gif  아이들 예방접종에 관한 기록은 꼭 가져 오셔야 해요. 간염예방 접종 꼭 하시고요.
맛깔(**rchizorim) | 2011.05.06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

NO.76

기타싱가폴로 가는 것이 나을지..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투명한바람() 2007-06-25
추천수 : 3 조회수 : 1,924

내년부터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에 가서 살아야 할지도 모르게 되었는데요.. Local 직원으로 발령이 나기 때문에 다국적 기업의 싱가폴 주재지만, 주재원 형식이 아닌 싱가폴 현지소속 직원이 되어 일을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여기서 정년퇴직을 하게 되면 노후연금 …

  • A

    한국하구 비슷한 수준으로 연봉을 받으면 같은 직종, 같은 경력의 싱가폴 사람보다는 많이 받겠네요. 여기서 지내신지 한 6개월지난다음에 영주권신청해서 영주권이 나오면 그때부터 CPF를 내야하는데요. 그게 국민연금같은겁니다. 노후보장용이죠. 첫해에는 월급의 3%수준, 다음해는 월급의 10%, 그다음해는 20%던가...까지 올라서 계속 월급의 20%정도는 CPF로 나갑니다. 그거는 회사다니면 반드시 내야하는 세금같은겁니다. 물론 영주권신청하지 않고 그냥 취업비자연장하면서 회사다니면 CPF내는 돈은 저축을 개인적으로 할수 있겠지만, 만일의 경우 회사를 그만둔다거나 하면 다른 회사를 얻을때까지는 취업비자가 취소된 상태라서 최장90일까지 체류할수 있는 관광비자 적용을 받게됩니다. 무직상태인 경우에 좀 아슬아슬해지죠. 시민권은 거의 안나오는걸로 압니다. 싱가폴국적취득은 거의 어렵다는 얘기죠. 하여간 CPF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을 사고 CPF에서 대출을 받죠. 여기 국민연금(CPF)는 주택담보대출용으로 전환도 되거든요. 대신 노후연금은 다른 금융기관을 이용해서 조금적은 금액을 내든가 하는거죠. 차는 CPF로 대출받아서 살수없습니다. 치안확실하고 공기좋고(좀 덥지만) 사람들 친절하고 괜찮습니다. 조폭도 없습니다. 남 괴롭히면 곤장맞는다더군요. 특히 여성에 대한 차별이 한국에 비해서는 없습니다. 아이의 국제학교 학비지원이 상당히 좋은 잇점인거 같네요. 살아보시고 더 살지 생각해보셔도 되겠네요. 조건이 나쁘지는 않아보이는군요. 머...서울부자들처럼 상류층생활하는거는 접으시고요. 그거 별로 좋은 생활도 아닙니다. >내년부터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에 가서 살아야 할지도 모르게 되었는데요.. Local 직원으로 발령이 나기 때문에 다국적 기업의 싱가폴 주재지만, 주재원 형식이 아닌 싱가폴 현지소속 직원이 되어 일을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여기서 정년퇴직을 하게 되면 노후연금 등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요? > >싱가폴이 월세도 비싸고 물가도 한국과 거의 비슷해서 생활하고 애 교육시키다 보면 저축이 어려울 것 같더라구요.. 연봉은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받는다고 합니다. 차도 너무 비싸서 사기 어려울 것 같고.. 싱가폴 가서 오히려 생활수준이 떨어지고 노후보장이 어려울까봐 심히 고민이 됩니다.. 메리트라고 한다면 아이를 국제학교에 보내는 비용을 회사에서 지원해 준다는 것과 싱가폴 생활환경이 깨끗하고 좋다는 정도 인 것 같은데요.. > >이런 상황이라면 그냥 한국에 있는게 나을지, 아니면 교육문제 때문이라도 한국보다는 싱가폴이 나을지 현지에서 살고 계신 분들의 조언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A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돈 쓰고 화려하게 사는데는 서울이 좋지요. 있어도 없어도 우선 쓸 수 밖에 없는 구조니까... 여긴 좀 조용한 (물론 여기서도 서울처럼 해야 직성이 풀리는 분들도 있지만) 곳이라고나 할까요? 물론 홍콩이나 일본 교민 사회보단 조금더 화려하고. 학교 비용이 차지하는 부분이 큰 걸 감안하면 큰 잇점이 있으시네요. 잠시 지내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시민권은 직업과 학력에 따라 좀 다른 문제입니다. 특히 학력. 시민권을 주겠다고 신청하라고 해도 사실은 국적 포기와 그에 따를 한국 가족 간의 문제, 그리고 세금 부담 등이 오히려 거절하게 하기도 하지요.     

  • A

    다른것은 괜찮아 보이는데 local option이 마음에 걸리는군요. 아마 정확히 local 사람들과 같은 대우를 해준다는 얘기는 아니겠지요. 그러면 이곳에서 일할 이유가 없거든요. 외국인의 경우 expat이던 local로 계약하던간에 일정한 정도의 혜택은 보통 회사에서 제공해 줍니다. 특히 집값 지원과 학비 지원, 의료 보험은 어느정도까지 cover해 주는지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만약 학비만 100% 지원해 준다면 월급이 높더라도 생활하기 어렵습니다. 영주권을 획득하여 CPF 혜택을 받더라도 상한선이 있어 금액이 크지 않습니다. 노후를 생각한다면 따로 저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영주권까지 신청한 사람은 많아도 시민권 신청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건 살아보면 이해가 됩니다. >한국하구 비슷한 수준으로 연봉을 받으면 같은 직종, 같은 경력의 싱가폴 사람보다는 많이 받겠네요. >여기서 지내신지 한 6개월지난다음에 영주권신청해서 영주권이 나오면 그때부터 CPF를 내야하는데요. 그게 국민연금같은겁니다. 노후보장용이죠. 첫해에는 월급의 3%수준, 다음해는 월급의 10%, 그다음해는 20%던가...까지 올라서 계속 월급의 20%정도는 CPF로 나갑니다. 그거는 회사다니면 반드시 내야하는 세금같은겁니다. 물론 영주권신청하지 않고 그냥 취업비자연장하면서 회사다니면 CPF내는 돈은 저축을 개인적으로 할수 있겠지만, 만일의 경우 회사를 그만둔다거나 하면 다른 회사를 얻을때까지는 취업비자가 취소된 상태라서 최장90일까지 체류할수 있는 관광비자 적용을 받게됩니다. 무직상태인 경우에 좀 아슬아슬해지죠. 시민권은 거의 안나오는걸로 압니다. 싱가폴국적취득은 거의 어렵다는 얘기죠. >하여간 CPF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을 사고 CPF에서 대출을 받죠. 여기 국민연금(CPF)는 주택담보대출용으로 전환도 되거든요. 대신 노후연금은 다른 금융기관을 이용해서 조금적은 금액을 내든가 하는거죠. >차는 CPF로 대출받아서 살수없습니다. >치안확실하고 공기좋고(좀 덥지만) 사람들 친절하고 괜찮습니다. 조폭도 없습니다. 남 괴롭히면 곤장맞는다더군요. 특히 여성에 대한 차별이 한국에 비해서는 없습니다. >아이의 국제학교 학비지원이 상당히 좋은 잇점인거 같네요. >살아보시고 더 살지 생각해보셔도 되겠네요. 조건이 나쁘지는 않아보이는군요. >머...서울부자들처럼 상류층생활하는거는 접으시고요. 그거 별로 좋은 생활도 아닙니다. > >>내년부터 남편 직장 때문에 싱가폴에 가서 살아야 할지도 모르게 되었는데요.. Local 직원으로 발령이 나기 때문에 다국적 기업의 싱가폴 주재지만, 주재원 형식이 아닌 싱가폴 현지소속 직원이 되어 일을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여기서 정년퇴직을 하게 되면 노후연금 등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요? >> >>싱가폴이 월세도 비싸고 물가도 한국과 거의 비슷해서 생활하고 애 교육시키다 보면 저축이 어려울 것 같더라구요.. 연봉은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받는다고 합니다. 차도 너무 비싸서 사기 어려울 것 같고.. 싱가폴 가서 오히려 생활수준이 떨어지고 노후보장이 어려울까봐 심히 고민이 됩니다.. 메리트라고 한다면 아이를 국제학교에 보내는 비용을 회사에서 지원해 준다는 것과 싱가폴 생활환경이 깨끗하고 좋다는 정도 인 것 같은데요.. >> >>이런 상황이라면 그냥 한국에 있는게 나을지, 아니면 교육문제 때문이라도 한국보다는 싱가폴이 나을지 현지에서 살고 계신 분들의 조언말씀을 듣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     

Q

NO.73

기타디지탈 카메라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tea4u(rimyfine) 2007-06-10
추천수 : 17 조회수 : 1,042

머물고 있는 세월만큼이나 점점 더 좋아지는 싱가포르입니다. 그리고 떠날 시간만큼 그 풍경이 아쉬워지는 싱가포르 입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니콘 쿨픽스885로는 찍는 데 아쉬움이 많습니다. 게다가 밧데리가 가물가물하고 카메라 자체도 기분나쁘면 팍~ 퍼집니다. 얼마…

  • A

    Hi, Maybe you can ask this question here... http://cafe.naver.com/singframe.cafe >머물고 있는 세월만큼이나 점점 더 좋아지는 싱가포르입니다. > >그리고 떠날 시간만큼 그 풍경이 아쉬워지는 싱가포르 입니다. > >현재 가지고 있는 니콘 쿨픽스885로는 찍는 데 아쉬움이 많습니다. > >게다가 밧데리가 가물가물하고 카메라 자체도 기분나쁘면 팍~ 퍼집니다. > >얼마전에 전문잡지를 보니 D70s가 590불 가량 하더라구요. > >아무래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조금 싼 듯하여 > >용돈을 모아서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 >그래서 고수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 >여기서 D70s나 D80, D50, D40 등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 >만약 구입한다면 어떤 종류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풍경과 사람, 간혹 접사도...좋아합니다) > >본체외에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후레쉬, 렌즈 등등) > >어디서 사는 것이 좋을까요? >(현재로서는 차이나타운 파고다 스트리트 입구쪽이나 럭키프라자, 오차드 프라자가 >눈에 띄더군요) > >기타 조언해주실 게 있으면 어떤 내용이든 대환영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A

    구입에 관한 것만 답변 드리겠습니다. 전자제품은 심림 스퀘어에서 보다 저렴하게 구입 가능합니다. 물론, 미리 가격을 확인하고 흥정을 조금 해야합니다. 정가는 베스트덴키 등에서, 실거래가는 다나와 등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적당히 참고 하시면 됩니다. (대략 다나와 최저가 < 실구매 가능가 < 정가, 이렇습니다.) 혹 심림에 갈 여건이 되지 않으신다면 럭키 플라자를 포함한 오차드 로드 주변 상점만큼은 피할것을 권해 드립니다. (바가지 안쓰면 다행입니다.) >머물고 있는 세월만큼이나 점점 더 좋아지는 싱가포르입니다. > >그리고 떠날 시간만큼 그 풍경이 아쉬워지는 싱가포르 입니다. > >현재 가지고 있는 니콘 쿨픽스885로는 찍는 데 아쉬움이 많습니다. > >게다가 밧데리가 가물가물하고 카메라 자체도 기분나쁘면 팍~ 퍼집니다. > >얼마전에 전문잡지를 보니 D70s가 590불 가량 하더라구요. > >아무래도 싱가포르가 한국보다 조금 싼 듯하여 > >용돈을 모아서 하나 장만하려고 합니다. > >그래서 고수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 >여기서 D70s나 D80, D50, D40 등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까요? > >만약 구입한다면 어떤 종류로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는 풍경과 사람, 간혹 접사도...좋아합니다) > >본체외에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후레쉬, 렌즈 등등) > >어디서 사는 것이 좋을까요? >(현재로서는 차이나타운 파고다 스트리트 입구쪽이나 럭키프라자, 오차드 프라자가 >눈에 榮超봇? > >기타 조언해주실 게 있으면 어떤 내용이든 대환영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A

    인도네시아 바탐(D70, Nikkor 70-200mm F2.8) - 아는 사람 얼굴 안나온게 이거밖에-_-;; 여기에 얼마나 머무를것인지 모르겠네요. 서비스 생각하면 한국 들어가서 사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으나 그래도 추억은 돈으로 바꿀 수 없죠 ^^ 어떤걸 사야할지는 http://www.slrclub.com 를 추천드립니다(한국 사이트) 렌즈의 구입을 생각하면 왠만하면 Nikon이나 Cannon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렌즈나 플래쉬는 기본적인 것만 구입하시구. 차차 필요에 따라 구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괜히 처음부터 사실 필요는 없구 필요에 따라 구입하시면 됩니다) 보통 body, 50mm F1.8단렌즈 & 표준 줌 렌즈 1개 정도 구입해서 열심히 가지고 노시다 보면 렌즈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돈 많으시면 각 회사에서 유명한 몇개의 렌즈 군들이 있습니다. 위의 사이트 글 읽어보시면 대충 보입니다. 그리고 각사의 최고사양의 플래쉬 후회는 없죠 ^^) 카메라 구입 : 저는 여기와서 Simlim square에 가서 탐론 17-50 렌즈를 하나 샀습니다. 1층에 렌즈만 파는 곳에 가서 650달라는거 550에 샀습니다 ^^; (한국에서 내수 렌즈 사는 수준이죠) 그런데 여기에 사진 관련 일하는 지인의 추천을 들으니 Simlim squre는 가지 말고 Funan center앞 건물에 렌즈와 카메라를 전문적으로 판다고 그곳을 추천하더군요. 가격은 한국 비교사이트에서 최저가를 미리 알아두고 가서 사세요. 그리고 tax관련해서도 미리 확인하시구요. 정리 : 어떤거? : www.slrclub.com에서 사진을 보면서 nikon과 cannon중 마음에 드는 적당한 body를 고른다. 렌즈는 저렴한 50mm F1.8(10만원대 초중반)과 탐론 17-50 F2.8(30만원 중반)을 추천. 어디서? : Funan center앞쪽 전문몰(건물) 추천~ (한국가서 서비스 받으려면 꼭~ 영수증을 보관하세요 ^^)     

Q

NO.71

기타Employer와 싸우는 중입니다. 꼭 좀 조언부탁드립…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bigfoot() 2007-04-21
추천수 : 9 조회수 : 1,664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35살의 기혼남성으로, 싱가폴 PR 소지자입니다. 현재 다니는 회사와는 제가 들어가기 전 계약조건과 들어간 이후의 약속이 너무 다른 관계로 인해서, 지금 그 회사와는 무척 안 좋은 관계에 놓여있습니다. 그리하여 저 또한, 출근을 안하였고요. 마침…

  • A

    싱가폴 노동부 (Ministry of Manpower) 에 고용인과 피고용인의 문제를 상담/해결해주는곳이 있습니다. http://www.mom.gov.sg/publish/momportal/en/communities/workplace_standards/Advisory_Services_Dispute_Resolution.html 웹싸이트 열어서 보시구요 방문하셔서 상담을 해보시기바랍니다. 잘 해결되었으면 하네요..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35살의 기혼남성으로, 싱가폴 PR 소지자입니다. >현재 다니는 회사와는 제가 들어가기 전 계약조건과 들어간 이후의 >약속이 너무 다른 관계로 인해서, 지금 그 회사와는 무척 안 좋은 관계에 >놓여있습니다. 그리하여 저 또한, 출근을 안하였고요. >마침내, 최종적으로 몇일전 그 회사와 저와의 관계를 Terminate하기로 >결론을 지었습니다. 끝냈다기보다는 일방적 해고 통보를 주더군요. >저 또한 다니고 싶지 않게되어서,알았다는 합의를 주었습니다. >저는 지금 다른 회사들과 인터뷰를 진행중인 상태입니다. > >문제는 서로 지금 감정적으로 좋지 못한 상태에 놓여있게 되어있다보니. >싱가폴 담당자가 뭐 PR을 담당하고 있는 이민국에 Report를 하여, >앞으로 제가 싱가폴에서 경제활동 및 취업을 못하게 한다고 >협박을 하고 있네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현실적으로 지금 싱가폴회사가 >저를 고소하게 된다면, 어떤 불이익을 받게 되나요? >그쪽 말로는, 다른 Employer에게 자기와 같은 일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 >한마디로, 제가 싱가폴에서 다른 곳에 취업을 못하기 위해서 방해할 목적으로 >고소를 한다고 하는데, 정말로 앞으로 제가 취업할 곳에 >이 고소한 사항이 접수가 된다면, 현실적으로 향후 경제활동이 어려워 지는것인가요? >현재 아이가 학교를 다니게 되어서, 만일 이렇게 고소를 당하게 된 이후에, >제가 다른 직장을 찾는것이 어렵게 된다면, 아주 큰 문제가 되는데... > >만일 이런 경우엔, 저 또한 싱가폴 고용인측을 고소할 수 있는지요.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 고소를 해야하는지요.... >황당한 일을 당하다보니 어떻게 준비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 >     

  • A

    그냥 지나치기가 그래서 몇 자 적습니다. 제가 아래 님의 글 내용을 보기엔.... 오히려 회사측에서 님을 상대로 싱가폴에서 경제활동을 못하도록 한다면서 이민국에 리포트를 하겠다고 하는건 오히려 협박(?)처럼 느껴지는데요. 제가 알기로도 employee가 무단결근을 3일정도하게되면 회사에서는 자동 Terminate되는 경우가 일반적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마다 레귤레이션에 따라 가끔 다르기도하지만요 대부분 그렇습니다.) 그게 다구요. 이런일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이민국에 리포트를 하거나 PR 운운하는건 들어본적이 없습니다. 님이 정말 회사에서 큰 실수를 하시고 무단결근을 하셨거나, 회사에 불이익을 끼쳤거나, 증명된 사실이 없다면... 오히려 님이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실 수 있는 상황이 아닌가요?? 특히 들어가기전 계약 조건과 들어간 이후 조건이 다른것이라면 님께서 조목조목 그 문제를 나열하시고, 증히 증명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자료 첨부하셔서 변호사와 이문제를 상담하여 대처해보시는것이 좋으리라 생각되네요. 그리고, 이런 문제로 회사에서 이민국에 리포트를 한다고 하여도 이민국에서 일방적으로 회사측 말만으로는 결정내릴수 있는 일이 아니죠... 오히려 부당한대우 받았다면 MOM에 오히려 그 회사를 report 해야 맞는거 아닐까요? 웃기네요...경제활동 못하게 한다고 협박하는거.. 그 회사에서 책잡히거나 피해끼친거 있는지 잘 생각하여 보시구요... 대화로 좋게 끝내시면 좋겠지만. 상황이 심각해질것 같으면 변호사 상담하고 선임하겠다고 그 회사에 변호사 레터로 통보하세여..요청하고 변호사 선임하면 변호사가 레터같은거 다 알아서 보내줄겁니다. 소송하겠다는 레터 등등... 암튼 잘 해결하시고 좋은직장 새로 잡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저는 35살의 기혼남성으로, 싱가폴 PR 소지자입니다. >현재 다니는 회사와는 제가 들어가기 전 계약조건과 들어간 이후의 >약속이 너무 다른 관계로 인해서, 지금 그 회사와는 무척 안 좋은 관계에 >놓여있습니다. 그리하여 저 또한, 출근을 안하였고요. >마침내, 최종적으로 몇일전 그 회사와 저와의 관계를 Terminate하기로 >결론을 지었습니다. 끝냈다기보다는 일방적 해고 통보를 주더군요. >저 또한 다니고 싶지 않게되어서,알았다는 합의를 주었습니다. >저는 지금 다른 회사들과 인터뷰를 진행중인 상태입니다. > >문제는 서로 지금 감정적으로 좋지 못한 상태에 놓여있게 되어있다보니. >싱가폴 담당자가 뭐 PR을 담당하고 있는 이민국에 Report를 하여, >앞으로 제가 싱가폴에서 경제활동 및 취업을 못하게 한다고 >협박을 하고 있네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현실적으로 지금 싱가폴회사가 >저를 고소하게 된다면, 어떤 불이익을 받게 되나요? >그쪽 말로는, 다른 Employer에게 자기와 같은 일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 >한마디로, 제가 싱가폴에서 다른 곳에 취업을 못하기 위해서 방해할 목적으로 >고소를 한다고 하는데, 정말로 앞으로 제가 취업할 곳에 >이 고소한 사항이 접수가 된다면, 현실적으로 향후 경제활동이 어려워 지는것인가요? >현재 아이가 학교를 다니게 되어서, 만일 이렇게 고소를 당하게 된 이후에, >제가 다른 직장을 찾는것이 어렵게 된다면, 아주 큰 문제가 되는데... > >만일 이런 경우엔, 저 또한 싱가폴 고용인측을 고소할 수 있는지요.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 고소를 해야하는지요.... >황당한 일을 당하다보니 어떻게 준비를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 >     

  • A

    덧붙여서.. 생각해보니, 회사에서 내준 S PASS나 EP도 아니고 PR인데 회사에서 PR운운 하는거 정말 이해 안가네요?!@     

Q

NO.70

기타MAID 보험료?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직장맘() 2007-04-04
추천수 : 17 조회수 : 1,125

안녕하세요! 6월정도 들어갈것 같아 이것저것 알아보는 중에 소개란에서 MAID보험료에 관한 사항을 보았습니다. 만불이면 적은돈은 아닌데,이건 MAID를 고용하려면 의무사항인가요? MAID고용중이신 분들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 A

    만불은 coverage를 이야기 하는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 >6월정도 들어갈것 같아 이것저것 알아보는 중에 소개란에서 MAID보험료에 관한 사항을 보았습니다. 만불이면 적은돈은 아닌데,이건 MAID를 고용하려면 의무사항인가요? >MAID고용중이신 분들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 A

    네..감사합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듯 싶네요..어쩐지 좀 이상한것 같았어요..^^ ---------------------------------------------------------------------- >만불은 coverage를 이야기 하는것 같은데요.. > > >>안녕하세요! >> >>6월정도 들어갈것 같아 이것저것 알아보는 중에 소개란에서 MAID보험료에 관한 사항을 보았습니다. 만불이면 적은돈은 아닌데,이건 MAID를 고용하려면 의무사항인가요? >>MAID고용중이신 분들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     

Q

NO.67

기타아래 Cathy님 저도 급질문드려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궁금이(happy) 2007-03-11
추천수 : 11 조회수 : 1,257

100% reject입니다. PR 승인 통보에 신청시 다니던 회사의 인증을 받아서 PR 증을 찾으러 오라합니다. ======================================================================= 그럼  회사 인증과 함께 P…

  • A

    네, 다덜 PR 받고 바로 퇴작하더군요. 이것 땜에 회사들측에서 반박하여 Strait Times지 Forume에 언급된 적 있어요.   결과는 MOM이나 이민국 측에서는 개입을 안하겠으니 회사와 개인이 알아서 하십시요가 됬습니다. EP cancel은 본인이 하고 PR 받으러 가는 것도 본인이 합니다.그런후, HR에다 PR 사본을 주면 됩니다. 퇴직서는 한달후에 하면 점 덜 미안 하겠져? >100% reject입니다. >PR 승인 통보에 신청시 다니던 회사의 인증을 받아서 PR 증을 찾으러 오라합니다. >======================================================================= >그럼  회사 인증과 함께 PR증 받은후, 회사 그만둬도 되나요?? >회사측에서 PR받자마자 그만둔다고 이민국에 인증 취소 모 그런 법적인 >권리는 없는거죠?? >회사측에선 고용인이 PR를 받자마자 EP cancell해주고 CPF 등록을해야 하니깐 >좀 불편한게 있는건가여?? >PR받은후 어떻게 퇴직절차를 하면 좋은지 조언부탁드려요, > > >     

  • A

    그렇군요,전 그냥 걱정이 되는부분이라 문의드렸는데 신문에도 났었어요?? 조언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우선 PR이 나와야 겠고 그럼 외국이니 만큼 더욱더 유종의미를 잘 거두어야 겠네요. cathy님 감사합니다. >네, 다덜 PR 받고 바로 퇴작하더군요. >이것 땜에 회사들측에서 반박하여 Strait Times지 Forume에 언급된 적 있어요.   >결과는 MOM이나 이민국 측에서는 개입을 안하겠으니 회사와 개인이 알아서 하십시요가 됬습니다. > >EP cancel은 본인이 하고 PR 받으러 가는 것도 본인이 합니다.그런후, HR에다 PR 사본을 주면 됩니다. > >퇴직서는 한달후에 하면 점 덜 미안 하겠져? > > >>100% reject입니다. >>PR 승인 통보에 신청시 다니던 회사의 인증을 받아서 PR 증을 찾으러 오라합니다. >>======================================================================= >>그럼  회사 인증과 함께 PR증 받은후, 회사 그만둬도 되나요?? >>회사측에서 PR받자마자 그만둔다고 이민국에 인증 취소 모 그런 법적인 >>권리는 없는거죠?? >>회사측에선 고용인이 PR를 받자마자 EP cancell해주고 CPF 등록을해야 하니깐 >>좀 불편한게 있는건가여?? >>PR받은후 어떻게 퇴직절차를 하면 좋은지 조언부탁드려요, >> >> >> >     

Q

NO.65

기타코타키나바루여행 조언구합니다.^*^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수박(kwak2522) 2007-03-01
추천수 : 5 조회수 : 1,107

가족 4인이 코타키나바루여행가려합니다. 다녀오신 분, 경험으로 도움 될 수 있는 내용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A

    >가족 4인이 코타키나바루여행가려합니다. >다녀오신 분, 경험으로 도움 될 수 있는 내용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저희 가족도 생각 중인데 여행사 패키지로 가시나요?     

  • A

    > >>가족 4인이 코타키나바루여행가려합니다. >>다녀오신 분, 경험으로 도움 될 수 있는 내용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저희 가족도 생각 중인데 여행사 패키지로 가시나요? ** 글 감사합니다.     저희는 자유여행입니다.     수트라하버리조트에서 묵게 됩니다.     

  • A

    개인적인 의견 입니다 지난해 겨울 방학에 다녀왔는데... 기대치보다는 별로 였습니다 여기서 비행기 2시간타고 간 열의에 비하면 ... 저희는 상그릴라호텔에 묵었는데 음식은 그럭저럭 먹을만 했고 수영장은 여기만 못합니다 다만 조금 위로가 되는것은 보트타고 한 40분정도 들어가면 (섬이 여러개있어요) 스노쿨링할수있는곳에 갈수있어서 열대물고기 실컷 보았습니다 장비 임대하셔야되고 있으시면 오리발이랑 가져가시면 위생상 더 좋지요 그리고 정글탐험도 갔는데 ...정말 버스타고 오래갔는데 실망 ! 원숭이,버팔로,반디불이 보고 오는 일정이었는데... 물은 정말 안 깨끗하고,덥고,식사도 별로입니다 이일정은 거의 하루 잡으셔야되는데...권하고 싶지는 안습니다 밤에 왔거든요 아무것도 못합니다 예약안하셨으면 변경하심이... 오히려 가까운 빈탄이 낫습니다 물론 사견입니다   >가족 4인이 코타키나바루여행가려합니다. >다녀오신 분, 경험으로 도움 될 수 있는 내용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Q

NO.64

기타앙코르와트여행..조언구합니다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howtogo(mk88lee) 2007-02-28
추천수 : 14 조회수 : 1,092

싱가폴에서 앙코르와트로 여행을 갈까합니다. 애들을 데리고 가야해서 패키지로 다녀올까하는데, 경험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어떤 여행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캄보디아현지 여행사(원민트래블 등)를 정하고 항공권만 여기서 구해서 조인하는 방법도 괜찮을까요? …

  • A

    제가 1달전에 가족 데리고 5박6일 다녀왔습니다 총 여행경비는 120여만원 지출 하였습니다. 항공료 56만원(4인기준) + 여행경비 65여만원 항공편은 jet star asia siemleap 왕복(일정상 왕복 끊은것 후회했습니다) 여행 경비내역 - 비자비용 8만 (1인당 2만원, on arrival로 공항에서 관광비자 받습니다), - 돌아올때 공항세 66 USD(어른 20, 애들 13) - 항공료 : 56만원 (to Siemleap 400 싱달러, to Singapore 320 USD) - 호텔료 : 230 USD (Siemleap 50 USD*3박, 프놈펜 40USD*2박)   호텔 수준: 5점만점에 4.8 (Siemleap, city River hotel 은 아침식사 서양식 뷔페,   투숙객   은 주로 가족단위, 배낭여행객 없음, 특히 프놈펜은 프린세스 호텔, 가격대비   만족도 100%,  저희집 애들이 5곳을 돌아다니면서 비교한후  체크인 하였음, 나중에   보니까  한국인이 주로 이용하는 호텔로 식당 메뉴가 주로 한국음식이었고    가격도 3000원 내외로 저렴), 호텔 예약시  free 공항 PICk UP 요청,    3 single beds room 기준) - 앙코르왓 입장료  80 USD (어른 2~3일권 40USD, 12세이하 무료), 2일 동안 돌만   보고다니니깐 나중에 질림, 한국 단체여행객 틈에 끼어서 가이드 설명을 듣거나   영어가 되시면 영어 가이드 고용하거나, 옆에서 귀동냥 하면 됨 - 현지교통료 75 USD : 툭툭이 비용 (평균 15 USD* 5일)   하루 빌리는데 12 USD, 시내 투어 3 USD,툭툭이는 타기전에 흥정을 잘해여 함 , 우리   아들이 좋아해서 툭툭이만 이용, 그리고 같은 툭툭이 3일간, 2일간 이용 - 고속 버스 요금 36 USD (Siemleap to 프놈펜):  어른 12, 애들 6, 6시간 소요,   차내에서 음료와 간식 제공되고, 화장실이 있음, 호텔에 예약 문의) - 택시요금(프놈펜 to Siemleap)  55 USD: 처음 흥정시 45였는데 갑자기 55달라고   해서 줬읍니다, 350km를 3시간반에 도착. - 프놈펜 관광 (killing field, genocide museum, 왕궁 등) 50 USD :  애들(4,8) 무료   개인적으로 앙코르왓 보다 프놈펜이 볼게 더 많음 - 쇼핑 50 USD: 면세점 양주 2병 30USD, 가방 2개 20USD, 흥정 필요함 처음 가격의 60 %   수준 구매가 적당 - 기타 외식, 음료, 간식, 맥주 팁, 소모품 등 250 USD : 1회 외식 비용 가족 4인 기준15불    이내, Siemleap 전통무용극장식 레스토랑 1인당 10불(애들 5불) - 싱가포르 공항 왕복 택시요금 40 싱달러    참고사항 저는 당초 여행 계획이 앙코르왓(Siemleap)에서 라오스를 여행한 후  다시 앙코르왓(Siemleap)으로 돌아 올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앙코르왓(Siemleap)에서 라오스행 비행기 요금이 생각보다 비싸(1인당 약 200USD) 포기하고 프놈펜을 여행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저와 같은 일정으로 여행하신다면  항공편을 singapore-Siemleap,프놈펜 - singapore로 하시면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jet star asia 홈페이지 http://www.jetstar.com/sg/index.html 호텔 예약 연락처 WHL Cambodia # 0653 Wat Bo Road, Wat Bo Village Tel.: (855-63) 963 854 Fax: (855-63) 760 107 Email: bookings@angkorhotels.org Website: www.angkorhotels.org >싱가폴에서 앙코르와트로 여행을 갈까합니다. >애들을 데리고 가야해서 패키지로 다녀올까하는데, >경험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어떤 여행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캄보디아현지 여행사(원민트래블 등)를 정하고 >항공권만 여기서 구해서 조인하는 방법도 괜찮을까요? >항공원은 어느항공사가 좋을까요? >질문이 많고 두서가 없네요. >그래도 많이들 답변해주시길 고대합니다^^;     

  • A

    여지간하면 한국 단체 관광객에 끼어서 설명들으세요..워낙 많이 와 있을테니까요.. 절대 뭐라 안합니다. 그냥 졸졸 따라다니면서 설명 들으시면 됩니다. 한국어나 영어나 설명 내용은 똑 같더라구요..도는 코스도 거의 일정하구요.. 현지 가이드 고용해서 다니면 좀 더 자유스러운 시간관리가 가능하겠지만, 여지간히 영어하는 사람도 잘 못 알아듣겠더라구요. ㅠㅠ;; 물론 그쪽 사람들 발음이 이상하다거나 그런게 아니라 앙코르 유적이나 인도 신화등에 상당한 사전 지식이 없다면 거의 뭔 말인지 못 알아 먹겠더라구요.. >제가 1달전에 가족 데리고 5박6일 다녀왔습니다 > >총 여행경비는 120여만원 지출 하였습니다. 항공료 56만원(4인기준) + 여행경비 65여만원 >항공편은 jet star asia siemleap 왕복(일정상 왕복 끊은것 후회했습니다) > >여행 경비내역 >- 비자비용 8만 (1인당 2만원, on arrival로 공항에서 관광비자 받습니다), >- 돌아올때 공항세 66 USD(어른 20, 애들 13) >- 항공료 : 56만원 (to Siemleap 400 싱달러, to Singapore 320 USD) >- 호텔료 : 230 USD (Siemleap 50 USD*3박, 프놈펜 40USD*2박) >  호텔 수준: 5점만점에 4.8 (Siemleap, city River hotel 은 아침식사 서양식 뷔페, >  투숙객   은 주로 가족단위, 배낭여행객 없음, 특히 프놈펜은 프린세스 호텔, 가격대비 >  만족도 100%,  저희집 애들이 5곳을 돌아다니면서 비교한후  체크인 하였음, 나중에 >  보니까  한국인이 주로 이용하는 호텔로 식당 메뉴가 주로 한국음식이었고 >   가격도 3000원 내외로 저렴), 호텔 예약시  free 공항 PICk UP 요청, >   3 single beds room 기준) >- 앙코르왓 입장료  80 USD (어른 2~3일권 40USD, 12세이하 무료), 2일 동안 돌만 >  보고다니니깐 나중에 질림, 한국 단체여행객 틈에 끼어서 가이드 설명을 듣거나 >  영어가 되시면 영어 가이드 고용하거나, 옆에서 귀동냥 하면 됨 >- 현지교통료 75 USD : 툭툭이 비용 (평균 15 USD* 5일) >  하루 빌리는데 12 USD, 시내 투어 3 USD,툭툭이는 타기전에 흥정을 잘해여 함 , 우리 >  아들이 좋아해서 툭툭이만 이용, 그리고 같은 툭툭이 3일간, 2일간 이용 >- 고속 버스 요금 36 USD (Siemleap to 프놈펜):  어른 12, 애들 6, 6시간 소요, >  차내에서 음료와 간식 제공되고, 화장실이 있음, 호텔에 예약 문의) >- 택시요금(프놈펜 to Siemleap)  55 USD: 처음 흥정시 45였는데 갑자기 55달라고 >  해서 줬읍니다, 350km를 3시간반에 도착. >- 프놈펜 관광 (killing field, genocide museum, 왕궁 등) 50 USD :  애들(4,8) 무료 >  개인적으로 앙코르왓 보다 프놈펜이 볼게 더 많음 >- 쇼핑 50 USD: 면세점 양주 2병 30USD, 가방 2개 20USD, 흥정 필요함 처음 가격의 60 % >  수준 구매가 적당 >- 기타 외식, 음료, 간식, 맥주 팁, 소모품 등 250 USD : 1회 외식 비용 가족 4인 기준15불 >   이내, Siemleap 전통무용극장식 레스토랑 1인당 10불(애들 5불) >- 싱가포르 공항 왕복 택시요금 40 싱달러 >   >참고사항 >저는 당초 여행 계획이 앙코르왓(Siemleap)에서 라오스를 여행한 후  다시 앙코르왓(Siemleap)으로 돌아 올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앙코르왓(Siemleap)에서 라오스행 비행기 요금이 생각보다 비싸(1인당 약 200USD) 포기하고 프놈펜을 여행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저와 같은 일정으로 여행하신다면  항공편을 singapore-Siemleap,프놈펜 - singapore로 하시면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 > jet star asia 홈페이지 >http://www.jetstar.com/sg/index.html > >호텔 예약 연락처 >WHL Cambodia ># 0653 Wat Bo Road, Wat Bo Village >Tel.: (855-63) 963 854 >Fax: (855-63) 760 107 >Email: bookings@angkorhotels.org >Website: www.angkorhotels.org > > > > >>싱가폴에서 앙코르와트로 여행을 갈까합니다. >>애들을 데리고 가야해서 패키지로 다녀올까하는데, >>경험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어떤 여행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캄보디아현지 여행사(원민트래블 등)를 정하고 >>항공권만 여기서 구해서 조인하는 방법도 괜찮을까요? >>항공원은 어느항공사가 좋을까요? >>질문이 많고 두서가 없네요. >>그래도 많이들 답변해주시길 고대합니다^^; >     

  • A

    >싱가폴에서 앙코르와트로 여행을 갈까합니다. >애들을 데리고 가야해서 패키지로 다녀올까하는데, >경험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어떤 여행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캄보디아현지 여행사(원민트래블 등)를 정하고 >항공권만 여기서 구해서 조인하는 방법도 괜찮을까요? >항공원은 어느항공사가 좋을까요? >질문이 많고 두서가 없네요. >그래도 많이들 답변해주시길 고대합니다^^; 다름 분들 말씀처럼 여행사를 특별히 통해야 더 좋을 건 없어요. 호텔, 비행기 티켓만 예약하시고 가셔도 현지에서 교통편 용이하고, 치안이 불안하다거나 위험한 것은 없습니다. 앙코르 왓은 시내에서 차로 불과 20정도 이고 호텔이랑 한국인 식당이 다 한 동네라 걸어서도 갈 수 있을 정도이고 한국슈퍼까지 있어서 과자랑 컵라면 등도 다 있었어요. 현지에서 한국인 게스트 하우스 하시는 분이 계신데 저희들은 차량을 그 분에게 예약해 받았어요. 날씨도 덥고 비가 올지도 몰라서 12인승 두 가족이 나눠서  기사포함 하루 40U.S. D주고 빌렸는데  하루 내내 맘대로 일정짜서 가고 싶은 곳 다 갈수 있어서 좋아요 4인 가족이라면 승용차 잘 네고 해보세요^^ 뚝딱이는 밤에 다운타운에서 돌아 올때 탔구요 2불이면 됩니다. 그 곳은 US 달러가 모든 곳에 통용되니 잔 돈으로 바꿔 가시고 호텔보다는 시내에 환전소가 많으니 그 곳에서 바꾸는게 유리하구요. Old market에도 가보시고 톤레샵 호수까지 가보시면 3박4일 시엠 립에서만도 일정이 빡빡합니다. procambodia@hanmail.net이 한국분 메일 주소입니다     

Q

NO.63

기타싱가폴 현지 친구에게 돈을 빌려줬습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aku(jp2222) 2007-02-26
추천수 : 16 조회수 : 1,171

싱가폴 친구에게 2년에 걸쳐 조금씩 돈을 빌려 줬었습니다. 친한 친구였고 믿었던 친구여서 그랬던 것이 800만원쯤으로 불어났네요.. 그 친구와 싱가폴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유학생활을 하면서 알게 되었구요, 졸업을 하면서 싱가폴로 가버렸네요.. 그리고 갚는다는 약속만 할…

  • A

    싱가폴 사람들이 젤 잘하는 짓 있습니다. 그집에 가서 대문에다 페인트로 owe $ pay$ 라고 써서 동네 챙피 주기. 정말 꼭 받아야 겠다 싶으면 loan shark (해결사)고용해서 괴롭히기 등이 있습죠. >싱가폴 친구에게 2년에 걸쳐 조금씩 돈을 빌려 줬었습니다. >친한 친구였고 믿었던 친구여서 그랬던 것이 800만원쯤으로 불어났네요.. >그 친구와 싱가폴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유학생활을 하면서 알게 되었구요, >졸업을 하면서 싱가폴로 가버렸네요.. 그리고 갚는다는 약속만 할뿐 아무런 조치가 없네요.. >이제는 전화를 해도 안받고 이메일을 보내도 답장이 없습니다. 믿었던 친구인데 이렇게 될줄 정말 몰랐죠... 사람을 너무 믿었던 저도 바보였구요.. >혹시 싱가폴 법적으로 이런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못받는 셈 치자 그렇게 생각하고 싶어도 너무 큰돈이라 그럴수도 없네요... 계약서를 작성하고 빌려준 것도 아니라서 제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거 같고, 제가 싱가폴 법을 잘 몰라서 어떻게 해야 할지도 막막합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조언이라도 해주세요..     

Q

NO.62

기타비자연장에 관해서 조언부탁드립니다. Please~~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parkway(hicats) 2007-02-10
추천수 : 14 조회수 : 1,040

관광비자로 들어와 2달이 넘어 만기가 보름정도 남았는데요.. IELTS를 미끄러지는 바람에 학교등록도 못하고 어찌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관광비자를 2~3정도 연장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기숙사에 사는 중국아이 인도아이들 비자만기가 1달이 채 남지 않은 상태에…

  • A

    현지인이나 영주권자 보증으로 이민국에 가면 1달 연장 가능합니다. > >관광비자로 들어와 2달이 넘어 만기가 보름정도 남았는데요.. >IELTS를 미끄러지는 바람에 학교등록도 못하고 어찌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관광비자를 2~3정도 연장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기숙사에 사는 중국아이 인도아이들 비자만기가 1달이 채 남지 않은 상태에서 >말레이시아 시도했다 싱가폴 입국거부됐다고 그러더군요ㅡ >한국이라고 다를 것 없다고 다른 방법을 찾던지 아님 비행기로 멀리 다녀오라고 하던데.. >솔직히 지금 여행다닐 때도 아니고.. 멀리 가는것도 힘들어서.. >경험있으신 분 제발 조언 부탁드립니다. >     

  • A

    immigration 홈피 가보세요. 인터넷으로 자동연장하는 프로세싱 생겼다고 홍보중이던데.. no guardian, no visit, no fee 라고.. 패스포트와 관광비자로 들어올 때 입국허가서 맨 끝부분 DE가 있어야는 걸로 압니다. 저랑 관계없는 일이라 후룩 봤었는데 함 가보세요. 참고하시길... 이상 허접답변, 지송여     

Q

NO.59

기타LG김치냉장고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juddy(juddy24) 2006-12-25
추천수 : 9 조회수 : 2,234

2주후에 입싱합니다...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구입해서 가져가려고 합니다.. 50HZ 변압기만 사용하면 사용가능하기는 한가요? 변압기를 사용해서 가능하다면 하나 사가려고 합니다.. 요즘 나오고 있는 2006년형의 LG김치냉장고의 제품설명서에보면 대한민국전용제품으로 …

  • A

    작년에 나온 RD-303SJ를 한국에서 2달정도 쓰다가 여기와서 못쓰고 있습니다.  제가 본 바로는 LG에서 나온 3단 서랍형은 여기서 쓸 수 있는 것 같구요.  삼성에서 나온 김치냉장고도 쓰고 있는 분들을 봤습니다.  LG나 삼성 서비스센터에 연락해서 싱가폴에서 쓸 수 있는 제품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시고 사시는 게 나을 것같습니다.  오히려 구모델이 여기서 더 잘 쓸수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 A

    저도 김치 냉장고 때문에 무척 고생을 한 경헙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LG 의 김치 냉장고 중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싱가폴과 같이 50 Hz 전류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쓸수 없습니다. 저희는 신제품을 사왔다가 못 쓰고 다시 돌려보냈습니다. 다른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모터에 무리는 가지만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한가지 첨부드리자면 변압기는 실제로는 거의 활용이 안됩니다. 60 Hz 제품을 50 Hz 상황에서 사용하면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220 V 전압을 200 V 로 낮춰서 안정성을 약간 높여주는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저도 처음엔 변압기만 있으면 되는줄 알았는데 전혀 아니더군요. 한국과 같은 전류 상황을 만들자면 전압이 아닌 50 Hz 전류를 60 Hz 전류로 바꿔주는 변류기가 있어야 하는데 이게 작은 냉장고 만하고 몇백만원이 넘습니다. 가정용으로는 사용할수 없는  제품이죠.   참조하세요. >2주후에 입싱합니다...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구입해서 가져가려고 합니다.. >50HZ 변압기만 사용하면 사용가능하기는 한가요? 변압기를 사용해서 가능하다면 하나 사가려고 합니다.. >요즘 나오고 있는 2006년형의 LG김치냉장고의 제품설명서에보면 대한민국전용제품으로 해외사용불가능하다고 되어있는데.. >LG것중의 일부는 안된다는 소리를 어디선가 들은 듯하여... >50HZ변압기 연결 사용가능 한건지.. 올해 구매해서 현재 싱가폴에서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 있으시면 조언부탁드립니다..(변업기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1.LG만 해외사용불가능인지 타사도 그런지.(만약 딤채가 된다면 딤채를 사려구요.) >2.요즘 나오는 서랍식의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있으세요?  제가 지금 사려고하는 모델과 동일하게 해외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되어있거든요. > >전자제품이 가장 고민스럽네요.. 한달전에 가보니..냉장고가 너무 작아서..보관용이하게 김치냉장고를 사가려하는데..인터넷 변압기판매사이트에 LG제품은 반드시 제품주의사항 참조하라는 문구가 나오있어서..무척이나 고민스럽습니다.. >제가 사려는 모델은 디오스 뚜경식 R-K195입니다. > 이모델 사용중이시거나 서랍식R-D 305 사용하고 계신분들 있으신가요? 조언부탁드립니다.. > >     

  • A

    신제품이라면 스탠드형(리니어방식)이었나요? 아님..뚜껑식 일반디오스 최신형이었나요? > 저도 김치 냉장고 때문에 무척 고생을 한 경헙이 있습니다. >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LG 의 김치 냉장고 중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 싱가폴과 같이 50 Hz 전류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쓸수 없습니다. > 저희는 신제품을 사왔다가 못 쓰고 다시 돌려보냈습니다. > 다른 모터를 사용하는 제품은 모터에 무리는 가지만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 알고 있습니다. > > 또 한가지 첨부드리자면 변압기는 실제로는 거의 활용이 안됩니다. > 60 Hz 제품을 50 Hz 상황에서 사용하면 열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220 V 전압을 > 200 V 로 낮춰서 안정성을 약간 높여주는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 저도 처음엔 변압기만 있으면 되는줄 알았는데 전혀 아니더군요. > 한국과 같은 전류 상황을 만들자면 전압이 아닌 50 Hz 전류를 60 Hz 전류로 바꿔주는 > 변류기가 있어야 하는데 이게 작은 냉장고 만하고 몇백만원이 넘습니다. > 가정용으로는 사용할수 없는  제품이죠.   > > 참조하세요. > >>2주후에 입싱합니다...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구입해서 가져가려고 합니다.. >>50HZ 변압기만 사용하면 사용가능하기는 한가요? 변압기를 사용해서 가능하다면 하나 사가려고 합니다.. >>요즘 나오고 있는 2006년형의 LG김치냉장고의 제품설명서에보면 대한민국전용제품으로 해외사용불가능하다고 되어있는데.. >>LG것중의 일부는 안된다는 소리를 어디선가 들은 듯하여... >>50HZ변압기 연결 사용가능 한건지.. 올해 구매해서 현재 싱가폴에서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 있으시면 조언부탁드립니다..(변업기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 >>1.LG만 해외사용불가능인지 타사도 그런지.(만약 딤채가 된다면 딤채를 사려구요.) >>2.요즘 나오는 서랍식의 LG김치냉장고 사용하고 계신분있으세요?  제가 지금 사려고하는 모델과 동일하게 해외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되어있거든요. >> >>전자제품이 가장 고민스럽네요.. 한달전에 가보니..냉장고가 너무 작아서..보관용이하게 김치냉장고를 사가려하는데..인터넷 변압기판매사이트에 LG제품은 반드시 제품주의사항 참조하라는 문구가 나오있어서..무척이나 고민스럽습니다.. >>제가 사려는 모델은 디오스 뚜경식 R-K195입니다. >> 이모델 사용중이시거나 서랍식R-D 305 사용하고 계신분들 있으신가요? 조언부탁드립니다.. >> >> >     

Q

NO.57

기타랭귀지-조언부탁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기러기아빠(logos0911) 2006-12-14
추천수 : 15 조회수 : 1,012

1월 10일 대학생인 조카가 싱가폴에 갑니다. 언어연수를 할려고 하는데-싱가폴 대학 언어연수 과정이 있는지.. 있다면 그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니면 일반 어학원에서 대학생 대상 랭귀지 코스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꼭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A

    >1월 10일 대학생인 조카가 싱가폴에 갑니다. >언어연수를 할려고 하는데-싱가폴 대학 언어연수 과정이 있는지.. >있다면 그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아니면 일반 어학원에서 대학생 대상 랭귀지 코스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꼭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일반 어학원에도 영어 코스가 다양하게 있습니다. 한국 교회 혹은 식당에 가서 <한나 프레스> 싱가폴 정보 소식지를 참고하면 됩니다. 신문 Straits Times를 구입해서 Classified 광고란을 보시고, 택시 타고 학원에 가면 됩니다.   British English course에는 가지 마세요. 별 효과 없고 비쌈. 평균  월 미화 250불/ 수강료 2.언어 연수생은 싱가폴 이민국에 미화 1000불을 예치해야 합니다. 환불이 되지만 까다로운 절차가 있음. 아예, 싱가폴 100불을 학원에 주고, 학원에서 보증해 주는 서류를 이민국으로 보내는 것이 깨끗함. 3. 언어 연수 기간 동안은 체류 허가를 이민국에서 연장 시켜줍니다. 4. 학원에 입학하기 전에는 싱가폴을 떠나서 다른 곳으로 여행하면 안됩니다. 5. 언어 연수가 끝나면 즉시 한국으로 가야 합니다. 즉 귀국 비행기표가 있어야 함.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