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163,449
  • 싱가포르 입싱 준비물 FAQ
  • 한국촌 (hankookchon)
    1. 256,802
    2. 18
    3. 0
    4. 2012-08-24 16:02

페이지 정보

본문


분 류비 고


·





1본인
/배우자
여권사본 및 여분의 증명사진여권 분실시, 임시 여권 발급을 위하여 필요합니다.
2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혼인관계증명서,
졸업증명서 등
영문 증명서는 공증이 필요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영문으로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국문 서류는 대사관 번역 공증 필요)
3자녀출생증명서,
예방접종증명서
학교 성적 및 재학증명서 등
미리 사전에 자녀의 학교 입학을 위한 필요 서류를 확인하고 가능하면 영문으로 발급받는 것이 좋으며,
국문일 경우, 따로 번역 및 공증이 필요합니다.



·




·
1국제 운전면허증국제 운전면허증의 유효기간은 1년 입니다.
12개월이상 부터는 국제면허로는 운전이 불가능하며 BTT(Basci Theory Test) 합격 후, 싱가포르 면허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2초기 정착금입싱 초반에는 렌트비, 보증금, 약 2달 정도의 생활비 등을 지출하므로
현금이나 출금할 수 있는 카드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3집 구하기Propertygure나 한국촌 등을 활용하여 지역과 조건에 맞는 곳을 찾아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직접 방문하고 에이전트를 통한 정식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콘도 3개월 이내 HDB 6개월 미만 계약은 불법)

1자녀 학교 입학을
위한 정보 탐색
로컬학교나 국제학교에 따라 시험, 준비 서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입싱 전, 자녀의 학교 입학이나 전학을 위한 학교 정보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학교 위치에 따라 주거지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1한국에서 치과 치료· 검진 하기싱가포르의 의료비는 한국보다 많이 비싼 편이므로 미리 관련 치료, 검진 등을 하고 입싱하는 것이 좋습니다.
2종합감기약,
소화제 등 상비약

3개인 복용 의약품통제 약물이 포함된 의약품은 싱가포르 보건청에 허가가 필요할 수 있으며,
특정 약에 대해서는 의사 소견서나 처방전 필요할 수 있습니다.

1김치, 한국 식품 등현지 마트(Fair Price, Cold Sotrage 등)에서 한국 브랜드(CJ 비비고 등)의 김치,라면 등은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인 마트에서도 다양한 한국 식재료, 반찬 등 구매가능합니다.



1스마트폰Country lock 해제 상태의 스마트폰은 싱가포르에서 유심만 교체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통신사 (Singtel,Starhub 등)와 서비스 형태(선불,후불) 를 선택하여 개통할 수 있습니다.
2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등
한국 브랜드는 AS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국 브랜드(HP, ASUS 등) 구매하는 편이 나으며, 현지에서 AS가 가능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현지 구매시에는 한글OS나 한글 키보드 등이 필요하다면 미리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인터넷 전화기
4압력 밥솥, 김치 냉장고 등한국과 싱가포르는 전압, 헤르츠(싱가포르 전압 : 220V~240V, 50Hz, 한국 전압 : 220v,60Hz)가 다르기 때문에
싱가포르 헤르츠(Hz)에 문제 없는 제품인지 확인하고 가져오는 것이 좋습니다.


·




·

1개인 의류쇼핑몰이나 이동수단(버스,MRT 등) 등 대부분의 공간이 에어컨 때문에 온도가 낮은 편이므로
가디건 등의 긴 옷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안경, 콘택트 렌즈한국보다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의 가격대가 높은 편입니다.
3한국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한국 화장품, 매장(라네즈, 브리프, 이니스프리 등)이 진출하여 접근성은 좋으나, 가격대는 한국보다 비싼 편입니다.
4위생용품 / 목욕용품개인이 선호하는 브랜드가 있으면 챙겨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5우산자외선이 강하고 비가 갑자기 오거나 자주 오기 때문에 우산을 갖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6한국 도서, 필요한 문제집 등한국 도서, 한국 문제집 등은 현지에서 구매하기 힘들고 한국 배송 등을 통해 구매해야 합니다.
간단히 읽을거리는 추후에 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구매보다는 e-book 등을 추천합니다.



1필요 예방주사, 반입 허가증 등서류 준비 및 입국 전 준비를 위해 약 6개월 정도 준비 기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AVA에 검사 및 예방접종, 어떠한 서류 신청 및 제출해야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https://goo.gl/v77kM2)
자세한 사항은 Singappre AVA (www.ava.gov.sg) 또는 한국촌 반려동물 카페 (goo.gl/xGN5EG) 참고 부탁드립니다.
※태어난지 12주가 안된 강아지, 고양이는 싱가포르에 데려올 수 없습니다.


2싱가포르 입국 후 일정기간 격리

1한국 기념품싱가포르인들에게 한국을 소개할 수 있는 기념품

(2019.4.18 업데이트)


회원 Q&A



singgen_q1.gif현재 싱가포르 vs 한국 물가가 감이 잘 안오는데.. 의복류(의류, 신발, 등)는 한국에 아웃렛이나 백화점 등에서 사가는게 나은가요?
피티스(**ssman10) | 2012.08.11

singgen_a1.gif




  면제품은 한국이 훨 나은듯해요. 특히 속옷종류요. 옷의 질은 비싼 것도 치룬돈 만큼의 값어치를 못하지만 무턱대고 옷을 사오시기보다 여기 적응 하시면서 장만 하시는게 나을듯 하네요. 컨테이너 등을 이용한 이주라면 기본적인 옷들, 아이가 있으시다면 면제품정도 가져 오시면 유용할거예요.
몰디브(**won426) | 2012.08.11

  저도 한국에서 오시는 김에 사서 오시는게 좋은듯해요. 여긴 패션 스타일도 다르고...질도 별로인듯합니다.
sunnykim(**h6o14) | 2012.08.11


singgen_q1.gif





9월초에 입싱합니다. 현재 해외 이사를 준비중인데 한국에서 쓰던 가전제품이 싱가포르의 전압과는 맞지 않아 못쓴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냉장고는 LG디오스 양문형, 세탁기는 LG 드럼세탁기입니다. (2009년도 산) 그리고 삼성 LCD TV(2009년도 산)는 싱가포르에서 쓰는 방식이 달라서 DVD용 아니면 안가져가는게 낫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입싱 선배님들!! 싱가포르에서 최소 2~3년은 살게 될 텐데 한국의 전자제품들을 다 팔고 싱가포르에서 새로 사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트랜스 쓰면 냉장고나 세탁기는 쓸 수 있는 것일까요? 해외이사 업체는 냉장고, 세탁기 다 가지고 가지 마라고 하더라구요. 고견 부탁드립니다.
유나지(**sone) | 2012.07.26


singgen_a1.gif








  저는 LG 디오스 양문형 일년 넘게 잘 쓰고 있어요. 참고로 트랜스 사용하고 있고 10년 가까이 된 구형 모델이예요. TV는 싱가포르에 와서 새로 샀어요.
깜찍맘(**chid28) | 2012.07.26

  냉장고 리니어 기능이 없는 구형 모델은 사용가능하나 최근에 나온 모델들은 대부분 리니어 모델이라 안됩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TV는 전압과 상관없이 안되기 때문에 여기서 구매하시는게 낫고 나중에 한국 가져가서 케이블 연결해 쓰시면 됩니다. 기타 가전은 수명에 좀 영향은 있겠지만 사용은 가능합니다. (가끔 밥통, 토스터 같은 전열기구는 금방 고장났다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요. 복불복인 듯
종이우산(**mil) | 2012.07.27

  전 이사짐업체에서 모든 걸 다 가져가라고 해서 정말 잘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냉장고 LG 는 좀 곤란하다고 하더라구요. 특히 오래된 아파트가 아니라면, 트랜스가 오히려 문제를 일으킨다고 조언을 해주셔서 김치냉장고도 트랜스 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일자산(**un) | 2012.07.30


singgen_q1.gif곧 입싱예정입니다. 소화제 타이레놀등 사가려고 하는데 또 어떤 약들이 싱가포르에서 오년정도 사는데 사가면 도움이 될까요?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누렁이(**oveq2000) | 2012.08.21

singgen_a1.gif













  타이레놀 정말 필요하구요. 파스같은거 넘 비싸서 종합감기약도 엄청 도움되더라구요. 싱가포르약이 좀 독하기만하고 효과가 없어요.
nikkiie(**kkiie) | 2012.08.21

  여기 로컬음식이 기름진게 많아서.. 저는 소화제랑 한의원에서 처방받은 가스찰때나, 그럴때 먹는 약? 자주 먹습니다. 두통약도 그렇구요! 버물리도..ㅎㅎ 마데카솔이나 후시딘은 기본이겠죠!
몽멍아(**oyoon) | 2012.08.22

  후시딘, 대일밴드(방수밴드), 소독약(빨간약), 흉안생기는(메디폼인가?~ㅎ), 글구 감기 많이 걸리시더라구요. 감기약 넉넉하게 챙기시고 약국에서 구입하실때 외국나간다면서 최근제품으로 달라그러세여~ 벌레 물린데 바르는 것도 혹시 모르니 하나 정도 챙기세요. 저도 이거저거 많이 챙겨왔는데 든든하더라구요~ 여긴 약값이 좀 비싸더라구요.
시메이life(**nkyu1233) | 2012.08.22

  소화제(한방이 최고입니다), 빨간약, 마데카솔, 알보칠(저는 피곤하면 입안이 잘 허는 편인데, 싱가포르 오고 신경을 많이 써서그런지 많이 헐었었어요. 혹시 저와 비슷하시다면 강추), 세레스톤지(벌레물린게 아니더라도 가끔 간지러울때가 있더라구요), 그리고 바르는 마이신연고(테라마이신인가? 전 동네애완견에 스치듯 물린적이 있어서...ㅎㅎ) 여자분이시라면 진통제! 감기몸살약도 챙겨오는게 좋습니다. 전 한국에서 제가 자주 썼던 약이나 연고 작은상자로 가득 가져왔어요 ㅎㅎ 대일밴드 같은거는 여기 가디언이나 왓슨스에서 많이 있더라구요.
마크툽(**eway31) | 2012.08.22

  습진약, 라미실과 같은 무좀약, 쌍화탕 같은거 진공포장해서요. 눈다래끼약, 제가 필요로 했던거예요. 약 최대한 마니 가져오세요. 전 비염있어서 지르텍 필수인데 한국에선 4천원하느데 여기선 만원 넘네요. 감기약, 목감기약, 몸살약.. 특히 감기몸살약 꼭 챙겨오세요. 소화제, 마데카솔 요론거 완전 기본.. 모기물린데 바르는 약은 왓슨스에서 샀는데 잘 낫더라고요.
씽싱싱(**oee) | 2012.08.22


singgen_q1.gif



인터넷 전화기 어떤게 좋을까요?

다음달에 입싱할려고 준비중인데 인터넷 전화기 사서 갈려고합니다. 어떤걸 사가야 사용이 잘되나요? KT? 아님 LG? 싱가포르에서는 LG를 많이 쓰나요?
salalanm(**lalanm) | 2012.04.16


singgen_a1.gif






  주로 통화하시는 분들이 어떤 통신사인지 알아보고 같은걸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같은 통신사끼리는 무료통화니까요.
레오니(**eetmia) | 2012.08.16

  일반적으로 LG를 많이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 저도 싱가포르 오기 전에 고민 많이했었는데 외국에서 사용한다 하면 다른 통신사들도 LG를 추천하더라구요. 그래서인지 LG통신사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절대적으로(^^;) 많아보입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윗분 말씀처럼 주로 통화하시는 분들과 같은 통신사로 결정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STARBUCKS~(**bibaty) | 2012.04.17

  싱가포르에서 4번 이사를 했는데요~~ 모두 LG 를쓰더군요~~ 집에 LG쓰는 곳이면 따로 공유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서 편합니다. 전화기만 들고 있으면 되거든요~~ 다른 회사거면 잘 모르겠구요~~ ㅋㅋ
철&희(**eya0705) | 2012.04.18


singgen_q1.gif


안녕하세요. 1주일 전에 입싱했습니다. 쿠쿠밥솥은 어디에서 살 수 있을까요? 따뜻하게 밥 해서 먹고 싶어요.

컴퓨터도 살 예정입니다만 어디에 가면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을까요?
hedgehog(**nglessjp) | 2012.01.09


singgen_a1.gif






  쿠쿠밥솥은 안돼요. IH방식이 틀리다나 뭐 하여튼 밥통이 터진다고 해서 저희도 쿠첸으로 바꿔서 가지고 왔어요. 쿠첸은 나라별 자동전환장치가 되어 있던데요.
훈이네(**ny17) | 2012.01.09

  쿠쿠 이번에 신제품 들고 들어왔는데, 잘 되던데요~ IH방식이요~
earlgrey(**rlgrey) | 2012.01.09

  저도 6개월 전에 입싱했는데, 쿠쿠는 전압땜에 못사고 여기와서 일제 코끼리밥솥 베스트샵(하이마트같은곳)에서 샀어요. 코끼리는 쿠쿠보다도 훨 비싸요.. 압력도 아닌데 400불넘게줬답니다 끙; 근데 위에 댓글대로 쿠쿠에서 새로 나왔으면 지인 통해서 받는 것도 방법이시겠네요.
lunapark(**oyu82) | 2012.01.16


singgen_q1.gif





며칠 전 입싱했습니다. 살 것 들이 있는데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맨날 다른 분들 글만 읽다가 처음 글을 남기네요. 저도 여기서 도움 받은 것 이상으로 빨리 다른 분들께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수건재질로 된 샤워가운, 빗, 거울, 망으로 된 빨래통, 사무실에서 신을 만한 밑창두께 1인치 정도되는 슬리퍼(한국엔 흔하죠), 손톱깍이, 스태플러랑 그거 뜯어내는 닭발같은거 사려는데요. 어디서 구해야할지요?

그리고 Sengkang 주변에는 한국식당 없나봐요? 컴파스포인트 4층 호커센터 코리안음식점은 빼구요... 한국음식이 맞나 싶었어서요^^;; 그럼 더운데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원방(**oveumuch) | 2011.07.06


singgen_a1.gif






  셍캉에 사시나 봐요. 셍캉 MRT와 붙어있는 쇼핑몰 3층에 있는 Popular에서 문구류는 구입하시면 되구요, 사무실에서 신으실 슬리퍼는 2층에 있는 World of Sports에서 구입하실 수 있을겁니다. (한국처럼 막 신을 저렴한 것들은 없습니다.) 손톱깍이, 빗 등은 2층 Watson에서 있을거구요.
유후(**omoon) | 2011.07.06

  저도 한국에서 오시는 김에 사서 오시는게 좋은듯해요. 여긴 패션 스타일도 다르고...질도 별로인듯합니다.
정배(**ngjjang19) | 2012.07.06

  닭발....ㅋㅋㅋㅋ 재밌는 표현이네요. 즐거운 싱가포르 생활 하시길 바래요~ 저렴한 가격의 생활용품은 다이소에서 구입하시면 부담없을 듯 하네요. 제가 아는 다이소 매장은 오차드 ION, 도비갓 Plaza singapura가 생각이 나네요.
tessa(**atever35) | 2012.07.07


singgen_q1.gif





뿌리는 모기약, 바퀴벌레약 & 좀벌레약 사 가지고 가야 하나요?

다음 달에 입싱하는데, 음.... 아래 하얀벌레 동영상을 보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뿌리는 모기약, 바퀴벌레약, 좀벌레약, 곰팡이 제거제.. 기타 등 등..이런 거 한국에서 사 가지고 가는 게 좋을까요? 요즘 여름되니까 한국에서는 1+1에, 특가에 가격 엄청 저렴하거든요.. 싱에 있는 게 성능이 좋은지, 한국산이 좋은지 구매 관련 조언좀 해 주세요~

아, 물먹는 하마(제습제)도 많이 사 가지고 가는 게 좋을까요? 짧게나마 답변 부탁드립니다 ^^
씽초맘(**opy78) | 2011.06.25


singgen_a1.gif





  일반적인 초록색병 스프레이나 하마 제습제등의 인터내셔널 브랜드 제품들은 여기 슈퍼에 팔아요. 근데 하마제습제로 감당이 안되실꺼에요. 습기가 싫음, 제습제를 하나 구입하셔야할꺼에요. 틈틈이 틀어서 제습시키면 뽀송하니 좋아요. 벌레는 생각보다 많지 않은듯 하구요. 모기는 거의 없고, 바퀴는 아주 가끔씩 밖에서 한번씩 날아 들어오던데, 집안 관리하기 나름인 것 같아요.

얼마 전부터 테라스랑 창가에 화분들을 둬선지, 작은 도마뱀들이 나타나서 괴롭히네요. 얘들이 들어와서는 그 주변에 자리잡고 한참동안 (몇 주 정도)을 그냥 거기서 살다가, 사라지곤 하더라구요. 저렴한 한국에서 구입해 오시거나, 그 공간에 다른 짐 (싱가포르에서 구하기 힘든 것들)을 넣어 오실지는 본인께서 결정하셔야할것 같네요.
sarang(**chelle1024) | 2011.06.25


singgen_q1.gif



입싱 전에 예방접종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7월 입싱을 앞두고 있습니다. 입국 전에 한국에서 꼭 맞고 가야할 예방접종이 있을까요? 검색을 하다보니 뎅기열같은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하던데... 어른과 아이 모두 미리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것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혜자매맘(**olfor) | 2011.05.05


singgen_a1.gif  아이들 예방접종에 관한 기록은 꼭 가져 오셔야 해요. 간염예방 접종 꼭 하시고요.
맛깔(**rchizorim) | 2011.05.06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

NO.40

기타정수기가 필요한가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인애(chosunrookie) 2006-09-18
추천수 : 23 조회수 : 1,119

싱가포르에 콘도를 얻어 2년간 살게 됐습니다. 가족은 저와 아내, 다섯 살난 아들까지 총 3명입니다. 집에 정수기를 구입해야할지 모르겠네요. 혹시 장만해야 한다면 싱가포르와 한국 어디서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여기서 렌트하는게 나을까요. 제 개인적으로는 …

  • A

    >싱가포르에 콘도를 얻어 2년간 살게 됐습니다. > >가족은 저와 아내, 다섯 살난 아들까지 총 3명입니다. > >집에 정수기를 구입해야할지 모르겠네요. > >혹시 장만해야 한다면 싱가포르와 한국 어디서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여기서 렌트하는게 나을까요. > >제 개인적으로는 water dispenser를 싱가포르에서 rent할까 생각중인데 괜찮을까요. > > 제 경우엔  브리타 정수기 - 주전자형 - 를 들어 올때 필터 넉넉히 구입해  와서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여기도 팔지만 한국 G마켓에 비하면 무지 비싸요. 3식구라면 그리 많이 필요 하지 않을테니  적극 권하고 싶네요. 참고로 제 친구는 캔우드걸루 샀는데 좀더 저렴하고 브리타필터와 호환이 가능하답니다!!!     

  • A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싱가포르 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싱가포르에 콘도를 얻어 2년간 살게 됐습니다. >> >>가족은 저와 아내, 다섯 살난 아들까지 총 3명입니다. >> >>집에 정수기를 구입해야할지 모르겠네요. >> >>혹시 장만해야 한다면 싱가포르와 한국 어디서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여기서 렌트하는게 나을까요. >> >>제 개인적으로는 water dispenser를 싱가포르에서 rent할까 생각중인데 괜찮을까요. >> >> >제 경우엔  브리타 정수기 - 주전자형 - 를 들어 올때 필터 넉넉히 구입해  와서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여기도 팔지만 한국 G마켓에 비하면 무지 비싸요. 3식구라면 그리 많이 필요 하지 않을테니  적극 권하고 싶네요. 참고로 제 친구는 캔우드걸루 샀는데 좀더 저렴하고 브리타필터와 호환이 가능하답니다!!!     

Q

NO.39

기타렌트시 어찌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매미맴맴() 2006-08-26
추천수 : 6 조회수 : 1,114

집을 렌트할때 유학원에서 정착비용을 지불하고 집소개를 받게 되었는데요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따로 지불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럼 비용이 합리적인것 같지 않아서오  제가 잘 몰라서문의 드려요 부동산과 계약시  전화 가스 인터넷등 문의 해서 처리  할 수 있는지요   …

  • A

    부동산 중계수수료는 한달 집세의 50%, 전화, 가스, 인터넷 서비스 다 처리해 주는 게 원칙입니다.  어디서 들었는데 유학원에선 다 따로 돈을 받는다고요...이상하다고 생각한적이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부동산 중계수수료를 따로 받는다면 정착료는 대체 무엇에 관한건지요? >집을 렌트할때 유학원에서 정착비용을 지불하고 집소개를 받게 되었는데요 부동산 > 중개수수료는 따로 지불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그럼 비용이 합리적인것 같지 않아서오  제가 잘 몰라서문의 드려요 >부동산과 계약시  전화 가스 인터넷등 문의 해서 처리  할 수 있는지요     

  • A

    보통 집을 구할때 에이전트에게 연락하시고 원하시는 부분을 말씀하시면 집을 여러가지 구해서 보여드립니다.  부동산소개비 필요없습니다.  에이전트를 소개해주고 유학원에서 수수료를 받는것 같습니다.  그러지 마시고 직접 에이전트에 연락하시고 혹시 영어가 안되신다면 한국촌 사이트에 있는 한국인 에이전트에 연락하셔서 집을 구하세요. 일단 집이 구해지면 전화랑 가스등도 다 해결 하실수 있을 겁니다.  인터넷은 콘도에 따라 만약 새집이면 직접 신청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별로 어렵지 않으니 고민 안하셔도 될겁니다.  참고로 저흰 올 초에 와서 새집이라 인터넷 저희가 신청했습니다.  하나도 안 어려워요. 부동산 수수료는 1년 계약시 2주 렌트비와 같고 2년계약시 한달 렌트비와 같습니다. 혹 더 궁금하신것 있으면 연락주세요. 이메일 aebiollo@gmail.com     

Q

NO.38

기타콘도렌트바로할수있나요?ㅠㅠ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아이셋() 2006-08-22
추천수 : 26 조회수 : 1,528

28일에 입싱인데요 아직 애들학교가 정해지지않아 비자가 없는데....비자없이 콘도를 렌트할수가 없는건가요? 아님 또 다른 방법이 있나요 몇일정도는 호텔에 있을수있지만 바로 집을 얻구싶은데...ㅠㅠㅠ 좋은방법좀 갈켜주세요     

  • A

    가능합니다. 단지 계약서에 명기해야 하구요.. 일정 기간안에 비자를 제출 해야 합니다.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싱가폴에 사시는분이 구해주시기 전에는) >집보러가면 주인이나 에이전트들이 >계약기간 이상으로 유효한 비자(또는 패스)를 보자고 합니다.. > >서비스아파트나 호텔에 머무시면서 >학교 정하고 학생비자(패스)받고 >부모님비자(패스) 받고나서 렌트가 가능합니다. > >미리 봐 두시는건 가능하겠지만 >계약은 본인 명의로는 안 됩니다. > >혹시 다른 방법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28일에 입싱인데요 >>아직 애들학교가 정해지지않아 >>비자가 없는데....비자없이 콘도를 렌트할수가 없는건가요? >>아님 또 다른 방법이 있나요 >>몇일정도는 호텔에 있을수있지만 >>바로 집을 얻구싶은데...ㅠㅠㅠ >>좋은방법좀 갈켜주세요 >     

  • A

    >28일에 입싱인데요 >아직 애들학교가 정해지지않아 >비자가 없는데....비자없이 콘도를 렌트할수가 없는건가요? >아님 또 다른 방법이 있나요 >몇일정도는 호텔에 있을수있지만 >바로 집을 얻구싶은데...ㅠㅠㅠ >좋은방법좀 갈켜주세요 저도27일아이데리고들어가서호텔에묵으면서집을구해야하는데 한국에서전화통화한번나누고싶네요 016 -880-9673이거든요     

Q

NO.37

기타집 구하시는 분!!!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쟈스민(chulsmom) 2006-07-06
추천수 : 8 조회수 : 1,361

요즘 싱가폴 렌트비두 무지 많이 올랐구 언어소통이 원활치 않아 집구하는데 무척 어려움이 많으시죠? 제가 아는 한국인 여성 한분을 소개해 드릴께요 제가 이곳 아무도 아는 이 없는 싱가폴에 와서 정말 학교문제며 집문제로 많은 도움을 받았던 분입니다. 이곳 싱가폴에서 직장…

  • A

    전화번호를 남기 셔야죠 연락처 좀..... >요즘 싱가폴 렌트비두 무지 많이 올랐구 언어소통이 원활치 않아 집구하는데 무척 어려움이 많으시죠? >제가 아는 한국인 여성 한분을 소개해 드릴께요 >제가 이곳 아무도 아는 이 없는 싱가폴에 와서 정말 학교문제며 집문제로 많은 도움을 받았던 분입니다. >이곳 싱가폴에서 직장생활부터 지금 가정을 꾸리시고 10년 가까이 살고 계시는 분으로 >정말 야무지고 특히, 집 구하는문제에 가정주부로써 가정주부의 관점으로 꼼꼼히 살펴주시는 분입니다.(그때 당시 에이전트를 하지않았는데도 잘 살펴 추천해 주셨어요) >물론, 영어 소통원활하시구요. 불법아니고 정식 자격증 취득하셨습니다. >집 구하시는 분은 꼭 한번 연락해 보세요 >마음이 와 닿는 분임을 느끼실거예요     

  • A

    >전화번호를 남기 셔야죠 > >연락처 좀..... > > > > >>요즘 싱가폴 렌트비두 무지 많이 올랐구 언어소통이 원활치 않아 집구하는데 무척 어려움이 많으시죠? >>제가 아는 한국인 여성 한분을 소개해 드릴께요 >>제가 이곳 아무도 아는 이 없는 싱가폴에 와서 정말 학교문제며 집문제로 많은 도움을 받았던 분입니다. >>이곳 싱가폴에서 직장생활부터 지금 가정을 꾸리시고 10년 가까이 살고 계시는 분으로 >>정말 야무지고 특히, 집 구하는문제에 가정주부로써 가정주부의 관점으로 꼼꼼히 살펴주시는 분입니다.(그때 당시 에이전트를 하지않았는데도 잘 살펴 추천해 주셨어요) >>물론, 영어 소통원활하시구요. 불법아니고 정식 자격증 취득하셨습니다. >>집 구하시는 분은 꼭 한번 연락해 보세요 >>마음이 와 닿는 분임을 느끼실거예요 > 그분의 이메일 주소 알려드리겠습니다.  * m1chele @ naver.com  좋은인연 되세요     

Q

NO.36

기타이삿짐싸는 것좀 조언부탁드려요-해답이 없네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씽씽씽(kbravecow) 2006-07-06
추천수 : 4 조회수 : 1,436

많은 글을 읽어봤는데요 뾰족한 해답이 나질 않네요 한국에서 쓰던 물건들 대부분 가져가고 싶은데 남편은 다 정리하고 가자고 하네요 싱에서 최소 2-3년 살거구요 더 거주할지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될지 차후에 결정됩니다 한국으론 안올거구요 결혼한지 5년이 채 안되서 왠만한 …

  • A

    웬만하면 가져오세요. 한국에서 쓰던것들 대부분 여기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모터가 돌아가는 것들은 간혹 일찍 고장이 난다고들 하지만... 그외것들은 사용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습니다. 결혼 생활 5년이시면 살림들이 오래 되지도 않았을테니...처분하고 또 사자면 아깝잖아요. 이사짐 컨테이너 하나 채우시면 70,80만원 할텐데(3년전에 70만원쯤 했는데...요즘은 얼마인지 모르겠네요..)   다 실어 오시면 되죠~ 저도 가구 없는집 임대했는데...비교적 쌉니다. 뭐..가구가 없다고 해도 거실 가구(쇼파, TV, 식탁, 장식장 등등)만 없을뿐이고, 에어컨은 물론 붙밖이니깐 다 있구요, 냉장고, 세탁기, 침대등은 기본적으로 있더군요. 그래도 가져 오시는게 좋은건...여기 냉장고 참 작아요... 이곳 사람들 집에서 음식 잘 안해먹어서 그런지... 그래서 한국분들은 냉장고 따로두고 사십니다. 침대도...별로 맘에 안드실거에요...임대용으로 사둔거니깐...좋은게 별로 없겠죠? 또, 가구 있는집에 들어가신분들...사용중에 가구에 손상이 가면...나갈때 디파짓에서 물어주고 나가시는 경우도 많더군요...그러니 남의 물건이다보니...아무래도 사용하면서 스트레스 받겠죠? 참고로...이곳은 대부분 콘도가 옷장이 붙밖이로 방방마다 다 있으니깐. 옷장은 처분하시는게 좋겠네요. 가져오셨다가 필요없으신것들은 이곳에서도 처분 가능하구요. 한국촌 벼룩시장란에 보면 물건들 많이 사고 파세요. 그럼, 준비 잘 하셔서 행복한 싱가폴 생활 되시길~ >많은 글을 읽어봤는데요 >뾰족한 해답이 나질 않네요 >한국에서 쓰던 물건들 대부분 가져가고 싶은데 >남편은 다 정리하고 가자고 하네요 >싱에서 최소 2-3년 살거구요 더 거주할지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될지 차후에 결정됩니다 한국으론 안올거구요 >결혼한지 5년이 채 안되서 왠만한 거 다 쓸만한데 >짐을 최소한으로 줄여도 한번에 들고 나가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또 풀 퍼니쳐 콘도를 구하면 된다고 하는데 콘도의 가격도 더 비싸다고 알고 있는데(얼마정도 비싼지 그 차이를 생각하면) >한국에서 쓰던 물건들을 가져가는 이사비용이랑 렌트비용 더 드는 거 비하면 >가져가서 쓰다가 2-3년후에 정리해도 될 것 같은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몰라 고민입니다 >사실 새것을 산다해도 결국 2-3년 후에 옮기게 되면 또 처분해야 되는 건 마찬가지쟎아요 >도 어떤분은 가져와서 쓰는 것도 괜찮다 하고 가져가지 말라는 분들도 계시고 >입싱을 10월쯤인데 >집이 팔려서 다음달에 짐을 싸야되거든요 >그래서 팔던지 싸놓던지 하려구요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꾸벅!     

  • A

    일단 경비를 말하자면 약간의 차이는있겠지만 싱으로 오는 기본 이삿짐(배)의 가격은 80만원대 입니다. 배로 물건 나를 생각이시면 여기서 시작하는데 양이 많아지면 가격이 싸집니다. 풀컨테이너(하나를 혼자 계약하실 경우, 웬만한 짐은 다 들어가고 남습니다)의 경우는 400만원에서 왔다갔다입니다. 이사경비와 가구 마련에 드는 비용 비교해 보시고 결정하십시오( 다른 많은 분들은 싱에서도 가구가 싸다고 하시는데 제가 가구 몇 가지 마련하며 느낀것은 가격대가 다양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에서는 금액대별로 최고가에서 저가까지 다양하고 가격이 저렴해도 괜찮은 물건들을 구할 수 있었는데 여기는 아주비싸거나( 대개 맘에듬..그러나..ㅠ.ㅠ), 아님 싸거나(거의 다 맘에 안 듬...ㅠ.ㅠ)가격대비 품질의 차가 너무 뚜렷하구요. 침대는 한국서 새로 사왔는데 잘했네..하고 생각했답니다. 여기서 소파 사느라고 애먹었어요. 가격도 만만친 않고 맘에는 안차고...대신 가전제품들은 쌉니다. 그래서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여겨진 냉장고(양문형)와 텔레비젼,청소기,전자렌지(전자렌지는 가져오지 마세요.)등은 싱에서 구입했습니다. 그밖에는 10년 되었으니 쓰다 버려도 안 아까울 세탁기와 김치냉장고(아~주 좋습니다)그리고 밥솥을 가져와 잘 쓰고 있답니다. 어차피 옷장은 처분하셔야 하는데 서랍장 정도는 가져오셔도 쓸모가 있을 듯도 한데요. 그리고 노퍼니쳐와 풀퍼니쳐의 차이는 한 200불(한달에)정도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아랫분 말씀하셨듯 주인집 가구를 쓰는데 애로가 있을 수 있으므로(맘에 안든다, 가구 상태가 좋지않다, 계약종료후 수리책임문제등등..) 저도 노퍼니처를 구했는데요, 새콘도가 아니라면 많지는 않답니다. -저희는 입주 시작하는 콘도였기에 에어컨,붙박이장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또 집주인에게 맘에 안드는 가구나 필요한 가구를 바꿔 줄것을 요구하고 계약 하실 수도 있는데요, 그건 아마 월세를 올려달라고 할지도 모릅니다. 가구 구비되 있는 집이 맘에 들때 가구를 가져 올 예정이니 비치되 있는 가구를 가져가 달라고 하는 사람도 봤습니다. 흔쾌히 가져가는 주인도 있고 보관 비용과 장소의 문제로 난색을 표하는 주인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일단은 어느쪽이 이익이 될런지 따져보시고, (이사비용이 지원이 된다면 가져오시는게 나을것 같다고 생각합니다만) 에이젼트에게 가구가 없는 곳, 혹은 있는 가구도 치울 수 있는 곳을 알아봐 달라고 하세요. 꽤 많이 가지고 온 저도 초기 정착비용이 생각외로 엄청 많이 들었습니다. 초기에 목돈 들어갈 일이 참 많답니다. -거실 장식장,소파..다 한국서 사가지고 올걸..하고 후회했습니다.ㅠ.ㅠ 시간이 얼마없어서 짐꾸리시려면 바쁘시겠네요. 준비 잘하시고 건강하게 입싱하세요     

Q

NO.35

기타에이전트 비용에 대해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be happy(jean1998) 2006-06-07
추천수 : 20 조회수 : 1,174

안녕하세요..저는 지금 여기서 집 전체를 렌트하려고 에이전트와 알아보고 있는중인데요.. 궁금한게 에이전트 비용은 언제주는게 맞는걸까요? 다른 한국사람들은 살아본다음에 줘야된다고 해서 에이전트에게 한달후에 주겠다고 하니, 말도 안된다고.. 바로 계약할때 주는거라고 그러던…

  • A

    1차로 Letter of Intent 에 사인하셨고 (1개월치 계약금 지불), 그다음 2차 tenancy agreement에 사인하시면서  deposit 을 지불하실겁니다. 이때 지불하면 됩니다. 대부분 서류에도 나와 있습니다. 이때 지불 안하시면 회사에서 독촉장을 보냅니다. 아래와 같은 정보는 주지 않는것이 도움이 될듯하네요.... 어느분이신지 ....잘 모르시면 그냥 가만히 계셔요... 괴상망칙한 정보 흘리지 말고... 한달 그집에서 살다가 맘에 안들면 복비 안줄겁니까? "다른 한국사람들은 살아본다음에 줘야된다고 해서 에이전트에게 한달후에 주겠다고 하니, 말도 안된다고.. 바로 계약할때 주는거라고 그러던데.. 정말 어찌 하는게 맞는지.. 이 에이전트에게 집을 구하는게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안녕하세요..저는 지금 여기서 집 전체를 렌트하려고 에이전트와 알아보고 있는중인데요.. 궁금한게 에이전트 비용은 언제주는게 맞는걸까요? >다른 한국사람들은 살아본다음에 줘야된다고 해서 에이전트에게 한달후에 주겠다고 하니, 말도 안된다고.. 바로 계약할때 주는거라고 그러던데.. 정말 어찌 하는게 맞는지.. 이 에이전트에게 집을 구하는게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근데 이사람은 사람도 좋고.. 사실은 다른 한국사람한테 소개받은거거든요.. > >대체로 에이전트 돈은 계약시기 언제쯤 에이전트에게 주시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Q

NO.34

기타너무 몰라서 무작정 올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적응기(jessie00) 2006-05-23
추천수 : 10 조회수 : 1,219

한국지사에서 싱가포르 지사로 리로케이트합니다. 아마도 9월1일이 첫 출근일듯... 한달은 회사에서 마련한 serviced apt에서 지내겠지만 그 이후는 집을 구해야 될 것 같아요. 아는 사람 하나두 없는데 무작정 간다고 결심했습니다. 회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집에서…

  • A

    하숙 원하시면 연락주세여 9694-0212 >한국지사에서 싱가포르 지사로 리로케이트합니다. >아마도 9월1일이 첫 출근일듯... >한달은 회사에서 마련한 serviced apt에서 지내겠지만 그 이후는 집을 구해야 될 것 같아요. 아는 사람 하나두 없는데 무작정 간다고 결심했습니다. >회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집에서 지내야 할지 시내에서 지내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회사는 east쪽에 가깝구요. >방을 렌트해야 할지 홈스테이를 해야 할 지도 모르겠어요. >처음 적응하기 위해서는 한국 가족분들 있는 곳에서 홈스테이 하고 싶은 생각 굴뚝이네요. >좀 막막하고 두렵기까지 하네요...서른도 넘은 이 나이에... >아직 싱글이라 한번도 가족과 떨어져 본 적이 없어서 더 그런가봐요... >앞으로 자주자주 들려서 여러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릴께요. >꾸벅~ >     

  • A

    >안녕하세요 저의 집도 동쪽이구요.저도 싱가폴에 온지 얼마 안되서 한국사람이랑 같이 살고 싶은데요.전화주시면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조용한 새 콘도 입니다. 9694-0212 > > > >>한국지사에서 싱가포르 지사로 리로케이트합니다. >>아마도 9월1일이 첫 출근일듯... >>한달은 회사에서 마련한 serviced apt에서 지내겠지만 그 이후는 집을 구해야 될 것 같아요. 아는 사람 하나두 없는데 무작정 간다고 결심했습니다. >>회사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집에서 지내야 할지 시내에서 지내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회사는 east쪽에 가깝구요. >>방을 렌트해야 할지 홈스테이를 해야 할 지도 모르겠어요. >>처음 적응하기 위해서는 한국 가족분들 있는 곳에서 홈스테이 하고 싶은 생각 굴뚝이네요. >>좀 막막하고 두렵기까지 하네요...서른도 넘은 이 나이에... >>아직 싱글이라 한번도 가족과 떨어져 본 적이 없어서 더 그런가봐요... >>앞으로 자주자주 들려서 여러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릴께요. >>꾸벅~ >> >     

Q

NO.31

기타성실한 에어콘기사 추천합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Brian(arbitron) 2006-03-28
추천수 : 12 조회수 : 1,001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와서 처음에 에어콘 수리하느라 참 애를 많이 먹었는데요, 다행히 지금 일하는 기사를 만나서 마음 편히 지냅니다. 저는 지금 Upper Bukit Timah에 있는 콘도를 렌트해서 살고 있는데요, 아시겠지만 입주 이후에는 에어콘 점검 및 수리가 세입자…

  • A

    로컬사람을 추천 해주셨는데... 로컬 사람들은 대체로 성실 하게 잘 해주긴 한데 하드웨어쪽 부분에서는 알아서 잘 해주시는데 소프트웨어 부분에서는 언어소통에 문제가 있다보면 엉뚱한 부분을 수리 해주고 갈수가 있지요. 예를 들자면 에어컨에 문제는 없지만 바람이 세지 못하다든지 간혹 물이 고여서 떨어진다든지 우리가 눈으로 확인 할수 없는 설명이 어려운 부분에 있어서는 그사람들은 기계만 살펴 보고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는 식으로 대답을 할때는 기가 막히죠... 그럴때는 언어에 소통이 확실한 한국인 기사가 와서 해주면 등을 긁을때 여기 저기 구석,구석 잘 긁어주듯이 시원하게 처리를 원하는대로 해주니 좋겠죠...? 단지 로컬분 들보다 비용이 조금 더 비싸긴 하지만 원하는대로 해주는 수리와 청소 어느쪽이 더 좋을까요? 그리고 애프터 서비스로는 수리와 청소 전과 후를 디카로 찍어서 비교분석을 해주니 에어컨에 대해 잘모르는 사람도 그림으로 설명을 해주니 이해하기도 쉽고 편리 하더라구요 나는 이곳에 수리와 청소를 두 번 맡겨 봤을뿐 개인적으로 잘 모르는 분이에요 한국식당에 갔더니 명함이 있어서 전화로 의뢰 를 한것 일 뿐 이곳 PR 대행사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 둡니다. "BLUE & CLEAN 에어컨크리닉 서비스 센터" 구요 TEL:6749-1744  / FAX:6841-3112 입니다. 이 분 이름도 잘 몰라요...ㅎㅎ 전화 하시면 투박하게 받으실꺼에요... 그러나 확실하게 그리고 시원하게 잘 해드릴겁니다.     

Q

NO.26

기타콘도 렌트비에 대한 질문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오드리() 2005-12-17
추천수 : 14 조회수 : 1,658

년전에 싱가폴로 이사오면서, 콘도를 렌트을 했는데, 그때는 상황을 잘 몰라서 비싸게 렌트를 얻은것 같습니다... 집은 2년으로 계약을 했는데, 같은 콘도내에서 가격을 비교해보니, 한달에 500불정도 더 비싸게 렌트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럴경우 주인에게 집세를…

  • A

    첫번째는 모르겠고 두번째는 가능합니다. 저도 두달 후에 이사갈 것이어서 이번달부터 렌트비를 안 내고 있거든요. 저희집 주인은 좋은 사람이어서 집상태를 체크해 보지도 않고 렌트비 안 내도 된다고 그러네요. 집 주인마다 다른가 봅니다. 어떤 주인은 deposit 돌려줄테니 두달치 집세를 내라고 했다고 들었어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A

    중요한 내용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첫번째는 모르겠고 두번째는 가능합니다. >저도 두달 후에 이사갈 것이어서 이번달부터 렌트비를 안 내고 있거든요. >저희집 주인은 좋은 사람이어서 집상태를 체크해 보지도 않고 렌트비 안 내도 된다고 그러네요. >집 주인마다 다른가 봅니다. >어떤 주인은 deposit 돌려줄테니 두달치 집세를 내라고 했다고 들었어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Q

NO.25

기타아이들 학교 질문..리플 많이 부탁...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bluesky(pretty69) 2005-09-08
추천수 : 20 조회수 : 1,625

두달후에 싱가폴로 가게 되었습디다. 2년정도 체류 예정입니다. 갑자기 결정된 일이라 아는것이 없어서 암담하기만 하군요.. 제일 시급한 문제가 아이들 학교와 집 렌트인데요.. 현재 한국나이로 7세(1999년 5월생)과 5세(2001년 8월생) 두 아이가 있어요.. 큰…

  • A

    유학원 통해 오시는게 제일 맘은 편해요. 하지만 저도 답답할때 많아요. 영어가 된다면 과감히 오셔서 부딪쳐보세요. 호텔에 묵으시면서 알아봐도 돼요. 전 영어가 안돼서... 초1은 시험 없어요. 여기오셔서 여기 학원 보내세요. 초1부터 문법 많이 나와요. 저희 아이도 요번에 1학년 들어가요. 시험 없이요. 물로 공립 초등 입니다. 애들에겐 참 좋아요. 저처럼 비싼 집 구하시지 말고 한국촌에 나온집 알아보시면 싸게 오실수 있어요. 입학서류도 간단합니다.     

  • A

    99년생이면 올 8월에 이미 1학년이 시작되었습니다. 학기 중에 입학을 하게 되는군요. SAS나 UWC대기자 엄청 많구요. 곧장 들어가기 힘드실 겁니다. 이곳은 보니 로컬학교에 보내는 분들도 많으신것 같더군요. 로컬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가 저에게는 없습니다. 아이들은 보내고자 하는 학교에 전화를 해보세요. 아마 다 자리없다고 할걸요 특히나 ESL을 해야 한다고 하면 더 그럴거예요.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구요. 최악의 경우 학교때문에 아이들이 한달, 두달 집에서 쉴수도 있다는 생각도 하십시요 >두달후에 싱가폴로 가게 되었습디다. 2년정도 체류 예정입니다. >갑자기 결정된 일이라 아는것이 없어서 암담하기만 하군요.. >제일 시급한 문제가 아이들 학교와 집 렌트인데요.. >현재 한국나이로 7세(1999년 5월생)과 5세(2001년 8월생) 두 아이가 있어요.. >큰애는 한국에서 영어유치원을 1년정도 다니고 있고 둘째는 일반 유치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거기 국제학교는 학년이 8월에 시작된다고 하던데 큰아이가 11월에 가면 초등학교로 입학하게 되나요? 아니면 내년까지 유치원에 다니다 내년 8월에 입학하게 되나요? >여기 게시판에 보니 모두들 SAS가 좋다고 하시던데 테스트가 어렵고 대기자도 많다고들 게시판에 답해 놓으셔서 어찌해야할지.. >SAS는 처음 1학년 입학시에도 테스트를 하나요? >만약 7살 아이가 이제 1학년으로 입학하게 되면 입학시험을 치르지 않고 입학이 가능할까요?? > 만약 바로 입학이 가능하다면 처음 싱가폴에 가자마자 아이가 학교 적응이 가능할지 >궁급합니다. > 현재 아이의 영어실력은 영어유치원에서 원어민 선생님과 수업을 하고 있고 아주 어려운 문법에 대한 설명이 아니면 이해가 가능하구요.. 간단한 동화책(한페이지당 5-6줄) reading이 되구요.. 문법은 조금 알고 있는둣 합니다. 근데 speaking이 조금 어렵구요..(묻는말에는 대답할 정도는 되고 자유로운 의사표현은 안됩니다.) >이정도로 SAS나 uwc에 가능할까요? 안되면 다른 국제학교에서 적응을 하다가 sas나 uwc로 옮기는 것이 나을지(체류 기간이 짧아서 바로 입학시키고픈 욕심이 있네요 ㅎㅎ) .. 조언좀 해주세요.. >애들 학교와 유치원이 정해져야 집을 구할수 있을거 같아서요.. >또 5살 유치원도 추천해주세요.. >     

  • A

    아이들 나이를 보니 둘이 같은 학교를 함께 다녀도 되겠군요. 대부분 외국인 학교들이 유치원 과정을 함께 운영하기 때문에 같은 학교를 보내시는게 학부모 역할 하기에 훨씬 수월하실겁니다. 일반적으로 외국 경험이 없는 학국 학생들은 OFS (Overseas Family School)이나 CIS(Canadian International School)이 적응하기 쉬운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에는 렌트하시는 집의 위치에 따라 두 학교중 어느곳을 보내셔도 큰 문제 없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저도 이번 8월 학기부터 아이를 OFS에 보내기 시작했는데 잘 다니고 있습니다. 생각이 다른 분들도 계시겠지만 가능하면 아이들이 스트레스 적게 받으면서 즐겁게 외국생활에 적응하도록 도와주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번이 두번째 싱가폴 생활인데 지난번에 서울로 돌아갔을 때 아이가 한국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2년 정도 계실거면 이부분도 다른 면으로 고려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두학교의 인터넷 주소 첨부합니다. www.ofs.edu.sg www.cis.edu.sg 그리고 입학 지원할 때 한국에서 다니던 학교 생활기록부를 영문 공증 받아서 보내셔야 하므로 지금부터 바쁘게 준비하셔야 2달 후에 싱가폴에 오실 때 아이들을 바로 학교에 보내기 시작할 수 있으실겁니다. >두달후에 싱가폴로 가게 되었습디다. 2년정도 체류 예정입니다. >갑자기 결정된 일이라 아는것이 없어서 암담하기만 하군요.. >제일 시급한 문제가 아이들 학교와 집 렌트인데요.. >현재 한국나이로 7세(1999년 5월생)과 5세(2001년 8월생) 두 아이가 있어요.. >큰애는 한국에서 영어유치원을 1년정도 다니고 있고 둘째는 일반 유치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거기 국제학교는 학년이 8월에 시작된다고 하던데 큰아이가 11월에 가면 초등학교로 입학하게 되나요? 아니면 내년까지 유치원에 다니다 내년 8월에 입학하게 되나요? >여기 게시판에 보니 모두들 SAS가 좋다고 하시던데 테스트가 어렵고 대기자도 많다고들 게시판에 답해 놓으셔서 어찌해야할지.. >SAS는 처음 1학년 입학시에도 테스트를 하나요? >만약 7살 아이가 이제 1학년으로 입학하게 되면 입학시험을 치르지 않고 입학이 가능할까요?? > 만약 바로 입학이 가능하다면 처음 싱가폴에 가자마자 아이가 학교 적응이 가능할지 >궁급합니다. > 현재 아이의 영어실력은 영어유치원에서 원어민 선생님과 수업을 하고 있고 아주 어려운 문법에 대한 설명이 아니면 이해가 가능하구요.. 간단한 동화책(한페이지당 5-6줄) reading이 되구요.. 문법은 조금 알고 있는둣 합니다. 근데 speaking이 조금 어렵구요..(묻는말에는 대답할 정도는 되고 자유로운 의사표현은 안됩니다.) >이정도로 SAS나 uwc에 가능할까요? 안되면 다른 국제학교에서 적응을 하다가 sas나 uwc로 옮기는 것이 나을지(체류 기간이 짧아서 바로 입학시키고픈 욕심이 있네요 ㅎㅎ) .. 조언좀 해주세요.. >애들 학교와 유치원이 정해져야 집을 구할수 있을거 같아서요.. >또 5살 유치원도 추천해주세요.. >     

Q

NO.24

기타Driving license test에 관해 궁금합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Fran(youngshinp) 2005-08-08
추천수 : 20 조회수 : 1,081

싱가폴에서 오우너가 되기란 쉽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루한 이 나라에서 살면서 가끔 말레이시아나 주변국들로 차를 렌트해서 여행을 가는건 해볼만 할것 같네요. 이번에 한국운전면허증을 convert하기 위해 basic theory test를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그런…

  • A

    Basic Theory Test를 신청하신 곳(Singapore Safety Driving Centre Ltd)의 Inform desk에 가셔서 시험용 책자를 달라고 하시면 S$3.5인가에 판매를 합니다. 얇은 소책자입니다. >싱가폴에서 오우너가 되기란 쉽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루한 이 나라에서 살면서 가끔 말레이시아나 주변국들로 차를 렌트해서 여행을 가는건 해볼만 할것 같네요. >이번에 한국운전면허증을 convert하기 위해 basic theory test를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그런데 서점에 가도 시험 대비용 책이 팔질 않는군요. >어디가야 구입할 수 있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 A

    >싱가폴에서 오우너가 되기란 쉽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루한 이 나라에서 살면서 가끔 말레이시아나 주변국들로 차를 렌트해서 여행을 가는건 해볼만 할것 같네요. >이번에 한국운전면허증을 convert하기 위해 basic theory test를 신청해놓은 상태입니다.그런데 서점에 가도 시험 대비용 책이 팔질 않는군요. >어디가야 구입할 수 있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다까시마야4층에 기노구리야 서점 아시죠? 거기가면 캐쉬 카운터 주변에 있어요.저는 거기서 6달러 정도 주고 구입했습니다. 그린색이 믹스된 책자와 핑크색(영어,중국어로 된것)이 가장 많이 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Q

NO.22

기타콘도 렌트계약에 대해서 궁금한 것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즐겁게살자(medikor) 2005-05-28
추천수 : 24 조회수 : 1,321

안녕하세요. 곧 싱가폴에서 직장생활을 하게 되어 6월 중순에 올 예정인 사람입니다. 1) 이곳 SingaporePropertyListing.com 이란 곳에 있는 Wong Say Min 이라는 에이전트에게 콘도를 구해 줄 것을 부탁했는데 2년 계약을 해야 구하기 쉽다…

  • A

    > >1) 이곳 SingaporePropertyListing.com 이란 곳에 있는 Wong Say Min 이라는 에이전트에게 콘도를 구해 줄 것을 부탁했는데 2년 계약을 해야 구하기 쉽다고 하는데  렌트기간 및 ***사실이지만 꼭그럴필요는 없습니다. diplomatic clause(중간에 나갈 경우 대비하여 넣는 조항)는 어떻게 넣는 것이 현지 관습인지 알고 싶습니다. 대부분 2년 계약일 경우에 집여넣는 조항인데..일년일경우에도 가능합니다. ***회사에서 다른곳으로 발령이나거나, 퇴사 또는 비자에 문제가 생겨서 더이상 싱가폴에 있을수 없을경우 한달정도 기간을두고  notice를 주면 보증금을 되찾을수 있는 조항입니다. >2) 저는 월 $150하 콘도로 구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 에이전트 fee를 제가 100% 부담해야 하는지요? (에이전트는 100% tenant 부담이라고 하거든요. 제가 알기론 반-반인 듯 싶은데요) ****일년계약일경우 반달치 2년 한달치. > >3) Security deposit을 꼭 1년에 한달치, 2년 계약에 두달치를 내는 것이 관습인지, 아니면 1달치 정도로 조정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1년한달 2년 2달이 관행입니다. > >4) 저는 직장에서 가까운 Juron East쪽의 east-west MRT line상의 Chinese garden역이나 Lakeside MRT역 가까운 방2개 짜리 콘도를 구하려고 하는데 $1500/month 정도 예산이면 적정한지 (에이전트는 충분하다고 하는데 시세를 전혀 모르니까요) 알고 싶습니다. ***충분합니다. >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A

    답변 감사드립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