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163,450
  • 외환 거래 금지 방침 및 환전 / 송금 FAQ
  • 한국촌 (hankookchon)
    1. 273,505
    2. 54
    3. 0
    4. 2013-02-04 13:42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한국촌 입니다.

 

한국촌에서는 게시판을 통한 외환거래를 일절 금지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은행이나 정부의 승인을 받은 기관을 통하지 않은 외환거래는 불법이며, 한국과 싱가포르 정부에 의해 엄격히 단속 되고 있습니다특히 한국촌의 게시판들은 모든 분들께 열려있는 공간이며 많은 분들이 보시는 관계로 게시판을 통한 불법 외환 거래는 개인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있으니 불법 외환거래를 삼가해 주시기 바랍니다더불어 근래 많은 분들이 피해를 당하셨던 환전사기 방지 차원에서 환전관련 질문 형식의 또한 제한하고 있으니 회원 여러분들의 양해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환전이나 송금 관련된 문의가 종종 있어서 아래와 같이  환전/송금 FAQ 준비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한국으로 송금시 송금수수료는?

답변: DBS은행 기준으로 S$10,000까지는 Handling Commission S$10 + Telex S$20 적용됩니다. S$10,000 이상 송금시에는 Handling Commission 송금액의 0.00125% 적용 + Telex S$20 적용됩니다. Handling Commission 최대 금액은 S$120까지 입니다.

) S$30,000 송금시 수수료 = Handling Commission S$37.50 + Telex S$20 (Total: S$57.50)

싱가폴 은행들은 환율이 좋지 않으므로 싱달러를 한국에서 환전 되도록 송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질문: 한국-싱가포르 송금시 필요한 정보는?

답변: 아래는 한국에서 싱가포르 DBS은행으로 송금시 필요한 정보입니다.

은행명 : DBS

예금주 : 예금주명

계좌번호 : 은행 계좌번호

금액 : S$

은행코드: DBS SSG SG

은행주소: Shenton Way DBS Building Singapore 068809


질문: 국제 송금 수수료

한국 은행에서 싱가포르의 송금 수수료는 은행별로 차이가 있으며 아래는 한국 외환은행에서 싱가포르 외환은행 계좌로 송금할 경우의 수수료 입니다.

또한 한국 시티은행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해외송금의 경우 수수료 면제 환율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제 현금카드를 발급 받아 이용하게 경우 ATM에서 현금 인출시 USD1 네트워크 수수료 0.2% 부가됩니다. 따라서 싱가포르 달러 5,000 송금해야 경우 한국에서 국제현금카드를 발급받아 왔다면 ATM기기를 이용하여 SGD11.50 정도의 저렴한 수수료 지불 현지 통화로 현금을 찾을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은행 사이트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citibank.co.kr/index.jsp


질문: 환전을 어디에서 하는 것이 유리한가요? 은행 or 환전소

답변: 싱가폴에서는 환전소의 환율이 좋습니다. 다만 환전소 마다 환율이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여러 곳의 환율을 비교해 환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환율이 좋은 환전소 소개 바랍니다.

답변: 환율이 좋은 환전소는 보통 환전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의 환전소가 환율이 좋은 편입니다. 추천드릴만한 곳으로 Raffles MRT 빠져나오시면 보실 있는 The Arcade라는 건물의 1층과 2층에 있는 20 여개의 환전소들입니다. The Arcade 건물의 환전소들은 은행가에 위치해 있고 이용하시는 분들도 많아서 다른 보다 환율이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사오니 군데 비교하신 이용하시면 같습니다.

 

질문: 싱가폴달러를 어느 나라(싱가폴 or 한국)에서 환전하는 것이 유리합니까?

답변: 싱가폴이나 한국 모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다만 싱가폴에서 환전하실 때는 최대한 좋은 환율의 환전소에서 환전을 하는 것이 요령이고, 한국에서 환전하는 경우에는 주거래은행을 통해 좋은 환율을 받거나 은행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전 수수료 할인이나 환율 할인 정보를 최대한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는 2011 318 기준 싱가폴 환전소(Raffles MRT 빠져나오면 보실 있는 The Arcade 환전소) 한국외환은행의 환율비교입니다.

<1,000 싱달러-한화로 교환시>

싱가폴 환전소 : 863,000

한국외환은행 : 862,340

은행으로송금시(싱가폴-한국) : 875,610 (송금수수료와 Telex S$30 + 한국에서 발생하는 수수료9,000)

 

* S$10,000 이상 송금시에는 Handling Commission 송금액의 0.00125% 적용 + Telex S$20 적용됩니다.

* 싱가폴 은행들은 환율이 좋지 않으므로 싱달러를 한국에서 환전 되도록 송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공항에선 관리비용이 들기 때문에 일반 지점의 수수료에다 추가로 0.1&sim;1%포인트의 수수료를 물리고 있으므로 공항에서는 환전하지 않는 것이 유리합니다.


질문: 한국으로 거액 송금시 은행에 일정기간(3개월) 묵혀놓아야...

답변: 일반계좌는 그런 경우가 없으며, PR 이나 외국시민권자에게 발급하는 비거주자계정의 경우에는 제약을 받을 있다고 합니다.

 

질문: 금액을 가지고 한국 입국 휴대할 , 송금할 판단

(1) 싱가포르에서 원화 또는 싱가포르 달러를 휴대하여 한국으로 입국하는 방법

일단 미화 1 상당액을 초과한 금액을 휴대하여 입국하는 경우 항공기에서 배부하는 여행자 휴대품 수입신고서상 외화신고 부분에 체크하고 신고금액을 기재해야 합니다. 

세관직원이 소지한 외화 금액을 확인하고 외국환등록증(필증) 발급하게 됩니다. 법률적으로, 필증을 교부 받아야 해당 금액에 대해 국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경우 특별히 세금이라든지 문제가 없으며 금액이 아주 경우 해당 금액의 취득 원천에 대해 문의를 받거나 필요시 증빙서류를 요청할 있지만 해외에서 근로활동 수익 원천을 합리적으로 밝히실 있으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금액을 휴대하여 반입하는 경우 분실, 도난 등의 위험이 있어 안전한 방법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1) 항목의 경우 관세청 담당입니다. 전화상담이 필요하시면 국번없이 125 입니다.

 
(2) 싱가포르에서 한국으로 송금하는 경우

1) 해외의 계좌에서 한국의 계좌로 송금되는 경우

외국거주자(내국인) 경우, 증여성 송금이 아니기 때문에 금액의 한도 없이 송금하실  있습니다.

2) 해외의 계좌에서 한국의 다른 사람 명의로 송금되는 경우

증여성 송금으로 판단돼 경우에 따라 증여세가 부과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화 5만불 이상, 과거에는 기준이 미화2만불이었습니다.)

3) 해외계좌에서 미화 1만불 초과 입금 은행에서 자동으로 국세청에 통보됩니다.

국세청에서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거래 내역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필요시 송금액의 취득원천에 대한 자료를 요청합니다. 일반적 경우 연락이 오지 않으니 걱정 하셔도 됩니다.

(2) 관련사항은 한국은행 외환심사팀 또는 거래 은행의 지점 창구 직원에게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상담해 줍니다.

 

질문: 싱달러 S$2,600 원화로 환전하려고 합니다. 은행송금 or 환전소환전 어떤 쪽이 유리 합니까 ?

답변 :싱달러 $2,600 원화로 환전시에는 환전소에서 환전하는 것이 406 유리하며, S$2,600 넘는 경우에는 은행을 통해서 송금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2012 5 3 기준)

 

은행 송금시 : 2,314,504 = S$2,600 x 송금환율(S$904.04) - 로컬은행송금수수료 S$30(27,000) - 국민은행타행발수수료(9,000)

 

환전소환전시 : 2,314,910 = S$2,600 x 환율(890.35)

 

로컬은행 수수료 은행타행발수수료는 은행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있습니다)

 

*최근 환전문의하시는 분들을 대상으로한 환전사기 사건이 종종 발생하고 있사오니 가급적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하지 마시고 아래의 한국은행의 한국직원들께 문의하시거나 메일(hankookchon.com@gmail.com) 문의 주시면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국계은행>

 

신한은행 6536 1144 / 하나은행 6438 4100 /한국산업은행 6224 8188 /외환은행 6536 1633 /우리은행 6422 2000 /한국시티은행 1588 7000

 

<외국계은행>

 

POSB 1800-111-1111 /OCBC 1800-438-3333 /Standard Charterd 1800-747-7000 /UOB 1800-222-2121 /Citibank 1800-225-5225 /HSBC 1800-786-6666 


- 한국촌 -

::: 우리 따뜻한 한인 사회를 만들어 봐요! :::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Q

NO.26

기타콘도계약 추가조항 발생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Edwin(acewing) 2007-10-11
추천수 : 3 조회수 : 1,094

LETTER OF INTENT(RESIDENTIAL)을 작성했습니다. 뒷장에 Signature of Tenant란과 Signature of lanlord란에 각각 저와 집주인이 사인을 했습니다. 계약금이 지불된 상태입니다. TENANCY AGREEMENT에 사인을 해야…

  • A

    >LETTER OF INTENT(RESIDENTIAL)을 작성했습니다. >뒷장에 Signature of Tenant란과 Signature of lanlord란에 각각 저와 집주인이 사인을 했습니다. 계약금이 지불된 상태입니다. >TENANCY AGREEMENT에 사인을 해야 하는데, 집주인이 추가조항및 기존에 있던 조항을 삭제하기를 원합니다. >특히 ENBLOCK REDEVELOPMENT조항을 추가해, 만일 재개발이되면, 2달전에 NOTICE를 주면 나간다는 조건입니다. > >부동산에이전트 말로는 집주인은 TENANCY AGREEMENT에 사인하기전에 추가조항을 달 수 있고, 추가조항에 동의하지 않아 집주인의 심기를 건드리면, 계약이 성립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 >여기서 궁금한 점은, >이시점에서 계약이 파기되면, 계약금은 어떻게 되는지요? 상식적으로 intent letter에 모두 사인을 하고 계약금도 주었으면 그건 정상적인 계약으로 보아지는데 주인만이 아무 조건없이 그걸 고칠 수 있다면 그건 정상적인 계약이 아닌 것 같습니다. 님께서 상의하신 에이전트는 누구 에이전트인가요? 집주인 아님 세입자? 에이전트들은 무조건 계약이 성사되기를 원하니까 한 번 관계가 없는 에이전트에게 전화를 걸어보시죠. 여기 싱가폴에 한국인 에이전트도 있으니 그 분들께 물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에 이것도 어려우면 제가 아는 에이전트에게 물오봐 드릴께요. 저도 최근에 집을 구했는데 계약서 꾸미기 진짜 힘들더군요... 그럼 도움되시기를...     

Q

NO.25

기타왜 싱가폴 신문엔 이런 기사가 나오지 않나요? 로이터…

  • 답글 : 1
  • 댓글 : 4
답변진행중
호빵(jasminelee) 2007-09-18
추천수 : 46 조회수 : 1,985

   엠파스 > 경제/디지털 > 국제경제 >     여기를 누르시면 인쇄가 시작됩니다.   싱가포르 부동산 가격 하락가능성 커   고공행진을 계속했던 싱가포르 부동산 가격이 2009년까지 공급되는 넘쳐나는 주택들로 인하여 제 가…

  • A

    ST 9월 14일 기사입니다. Sep 14, 2007 Spore housing market heads for correction SINGAPORES housing market - which has seen prices skyrocket amid frenzied buying - is heading for a correction, as analysts predict a building boom could flood the city-state with new homes by 2009. Private home prices, which have surged to decade highs in the past 40 months, are holding for now, but analysts say the market is increasingly vulnerable to a sudden downturn in sentiment. Global property investor LaSalle Investment Management, which has US$6 billion (S$9 billion) of real estate assets in Asia, says Singapore residential property is fully priced and will consolidate before appreciating any further. By global standards, Singapore luxury apartments are very expensive. At some point, affordability and common sense have to come in, said Jack Chandler, LaSalle Investment Asia-Pacific Chief Executive Officer. Property developers and agents say fewer deals were struck last month, slowing a buying frenzy that saw people queue overnight for some projects and that pushed Singapore real estate price gains past those of regional rivals such as Hong Kong. A correction is going to take place. The question is: how severe? said Winston Liew, analyst at OCBC Investment Research. Singapore luxury homes fetched an average $16,743 per square metre (psm) in June, up 52 per cent from a year ago, against Hong Kongs 13 per cent rise in capital values to $18,286 psm. Those who bought property as a sure-fire investment are fretting. Im nervous because I dont expect prices to rise anytime soon. The signals arent good, said Charles Wong, who paid S$1.1 million (US$728,000) for a one-bedroom downtown apartment in April. Excess supply Housing supply has been tight as developers tore down old developments to replace them with newer properties, pushing thousands of displaced homeowners back to the market. According to Jones Lang LaSalle, some 3,876 private apartments will be demolished this year - more than the 3,295 new homes expected to come on to the market. These en bloc deals - where entire housing estates are knocked down - have slowed since the government tightened rules on them. Collective home sales totalled S$11 billion in the first seven months this year but dropped to S$783 million in August. Property market sentiment has been supported by Singapores long-term goal to boost the islands population to 6.5 million from 4.5 million, but analysts forecast a glut of new homes from end-2008. In terms of actual occupants, there will be excess supply by 2009, said Jones Lang LaSalle Head of Research Chua Yang Liang. He estimates there will be 11,975 new private apartments available in 2009 - nearly four times the number expected this year and double the anticipated amount in 2008. Car garages in the sky At least four out of five Singaporeans live in state-subsidised high-rise flats, leaving the private home market dependent on upper-income residents and foreigners. Investment firm Emirates Tarian Capital is betting these foreign investors, who comprise nearly half the buyers in most projects, will focus increasingly on high-end homes. Demand is going to be selective and for branded, quality projects where the quantity is limited, said Kunalan Sivapuniam, managing partner of the firm, which is investing in two high-rises including one 30-storey block equipped with individual lifts to bring owners cars up to each apartment. Developers, who usually sell their projects in stages, have held off launching their units for sale in recent weeks. If we feel the market is slowing, were not going to push the project only to have buyers back out later, Cheng Wai Keung, chairman of luxury home builder Wing Tai Holdings said. Crunch time Analysts say a global credit crunch could constrain Singapore property firms ability to offer liberal repayment schemes that allow buyers to make a 10 to 20 per cent deposit and delay the bulk of payment until the property nears completion. These deferred payment plans, introduced after a property slump in 2001, have been key to driving market growth, with up to 90 per cent of buyers in some projects opting for them. In July, the central bank warned that delayed payments plans posed additional risks to developers and their banks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default. Those risks have only grown with the US mortgage crisis. If the cost of capital rises, smaller developers will find it harder to offer deferred payment schemes, said an analyst. Singapores biggest developer CapitaLand said it would continue to offer such schemes where appropriate. CapitaLand, City Developments and Keppel Land have posted strong second-quarter profits, driven by strong contributions from their Singapore businesses. They should, however, be largely protected against a fall in housing prices as most have diversified into office property and housing developments outside Singapore. CapitaLand, for example, earns up to 80 per cent of its profit overseas. Major developers have lower gearing, sufficient cash or unutilised credit lines to prevent a squeeze, wrote Deutsche Bank strategist Gregory Lui in a recent report. -- REUTERS     

    2
Q

NO.24

기타HDB 렌탈 부동산 수수료가 얼마나 되죠?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진행중
곰(rocky) 2007-08-29
추천수 : 9 조회수 : 1,111

이번에 HDB 방하나를 구해서 이사할려고하는데.. 부동산에서 한달방값만큼의 돈을 지불하라고 하네요..1년 계약으로요.. 지금 $450에 방을 구해서 들어갈려고하는데 수수료 1년 치로 $450을 지불하라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요즘 집에대해서 말도 많고 저번에 이사…

  • A

    $2500이상의 물건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임차인이 지불할 의무가 없습니다. 단, 2가지의 예외경우가 있는데요. 1. 사정에 수수료를 주기로 약정을 했을때 2.  Co-broke transaction 이 이루어졌을때 입니다. 그리고 1년 임차에 대한 수수료는 월세의 1/2개월에 해당하는 액수 입니다. 단, 계약을 위한 법적 소요비용(스탬프 비용 등,)은 지불 하셔야 합니다. HDB를 임차하실때는 반드시 그집이 임대차를 정부로 허락을 받았는지 알아보셔야 합니다. 따라서, 450에 들어가신다면 방1개를 사용하시는것에 해당하며 이액수는 2500을 초과하지 않기에 1/2개월치만 지불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경우도 정부로 부터 허가를 받은 집인지를 먼저 확인 하시기를 바랍니다. Singapore HDB Flat / Room Rental Landlord : 1 months gross rental (1 months gross rental for lease between 12months to 24months, plus additional 1/2 month for every subsequent 12months lease. 1/2 months gross rental for lease less than 12months.) Tenant : 1/2-1 months gross rental (as service fee) (1 months gross rental for lease between 12months to 24months, and 1/2 months gross rental for lease less than 12months.) 1. Payment upon execution of tenancy agreement. 2. For Co-broke transaction : landlords agent collect commission  from landlord and tenants agent from tenant. No commission shall be collected by one agency from both landlord & tenant in the same transaction without prior knowledge or written consent of the landlord & tenant. 이번에 HDB 방하나를 구해서 이사할려고하는데.. >부동산에서 한달방값만큼의 돈을 지불하라고 하네요..1년 계약으로요.. > >지금 $450에 방을 구해서 들어갈려고하는데 >수수료 1년 치로 $450을 지불하라는데 >이게 맞는건가요? >요즘 집에대해서 말도 많고 >저번에 이사할때는 수수료 없이 이사한적도 있어서요.. >그때는 부동산이 주인 친구분이라고 그러는데..확실한 둘사이 관계나 거래는 모르겠구요 > >혹시 HDB 렌탈 수수료에 대해서 하시는분 >답변 부탁드릴께요.. > >     

Q

NO.22

기타퀸스타운& kovan ..방을 구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아슬란(min2969) 2007-08-19
추천수 : 5 조회수 : 1,202

싱가폴 온지 5개월쯤 됬는데요.. 방을 구하고 싶은데..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식의 부동산이 있나요?? 퀸스타운 근처 비싼가요?... 제 친구들 보면 300불에 잘들 구하던데..물어보긴 좀 챙피하고.. 지금 사는 호스텔..인터넷과 룸메이트가 너…

  • A

    아마 친구들이라 함은 중국애들이나 베트남 애들아닌가요? 저도 그 나라 애들이랑 방을 구하려고 해봤지만 예산이 500 넘어가는 애들 없습니다. 고로 방 못구한단 이야기죠. 구해도 한방에 2~3명씩 같이 쓰거나.... 어디서 정보를 얻으셨는지 모르겠지만 많이 틀린 정보를 얻으신거 같네요. 지금 방 하나를 300불에 구한다는 건 쓰러져 가는 아파트에 에어컨이 없거나...... 주인이 정신 나갔거나...둘중에 하나 일텐데요.... 코반은 전철로 세랑군 다음에 있는 역인데...... 학교를 어디로 다니느냐에 따라 다르죠. 퀸스 타운 근처면 MDIS일텐데 그쪽은 HBD 2+1 도 최소한 1600 이상 있어야 들어가고 상태도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오래된 아파트가 상당히 많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MDIS 학생이시라면 학교 까지 한 시간은 잡으셔야 합니다. 제가 어떻게 이렇게 잘 아냐구요? 저가 요즘 집을 구하러 많이 돌아다녀서요..ㅡ.ㅡ; > 싱가폴 온지 5개월쯤 됬는데요.. > >방을 구하고 싶은데..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우리나라식의 부동산이 있나요?? > >퀸스타운 근처 비싼가요?... > >제 친구들 보면 300불에 잘들 구하던데..물어보긴 좀 챙피하고.. > >지금 사는 호스텔..인터넷과 룸메이트가 너무너무 잔인무도극악해서..... > >정말 방구하고 싶은데요.. > >도움 주세요..아..참참..kovan 이라는곳 어때요?? > >중국애 하나가 같이 살수 있음 침대랑 사서 들어오라던데.. > >교통편 좋은가요??     

  • A

    >아마 친구들이라 함은 중국애들이나 베트남 애들아닌가요? >저도 그 나라 애들이랑 방을 구하려고 해봤지만 예산이 500 넘어가는 애들 없습니다. >고로 방 못구한단 이야기죠. 구해도 한방에 2~3명씩 같이 쓰거나.... >어디서 정보를 얻으셨는지 모르겠지만 많이 틀린 정보를 얻으신거 같네요. > >지금 방 하나를 300불에 구한다는 건 쓰러져 가는 아파트에 에어컨이 없거나...... >주인이 정신 나갔거나...둘중에 하나 일텐데요.... > >코반은 전철로 세랑군 다음에 있는 역인데...... >학교를 어디로 다니느냐에 따라 다르죠. > >퀸스 타운 근처면 MDIS일텐데 그쪽은 HBD 2+1 도 최소한 1600 이상 있어야 들어가고 >상태도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오래된 아파트가 상당히 많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MDIS 학생이시라면 학교 까지 한 시간은 잡으셔야 합니다. > >제가 어떻게 이렇게 잘 아냐구요? >저가 요즘 집을 구하러 많이 돌아다녀서요..ㅡ.ㅡ; > >> 싱가폴 온지 5개월쯤 됬는데요.. >> >>방을 구하고 싶은데..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우리나라식의 부동산이 있나요?? >> >>퀸스타운 근처 비싼가요?... >> >>제 친구들 보면 300불에 잘들 구하던데..물어보긴 좀 챙피하고.. >> >>지금 사는 호스텔..인터넷과 룸메이트가 너무너무 잔인무도극악해서..... >> >>정말 방구하고 싶은데요.. >> >>도움 주세요..아..참참..kovan 이라는곳 어때요?? >> >>중국애 하나가 같이 살수 있음 침대랑 사서 들어오라던데.. >> >>교통편 좋은가요?? > 친절한님..방구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는지 좀 알려주세요...헤헤.. 그리고 이상하게도..제주변엔 2명이서 600~700에도 잘 구하드라구요.. 물론 운이 좋았다고 꼭꼭 그러긴 햇지만..     

  • A

    신문사서 보시거나...인터넷 뒤져보면 됩니다. 그런다음 에이전트한테 전화하면 되고요... 그런데 600 ~700으로 둘이 구하면..1500 밑이겠네요? 코반이면 충분히 가능하져..ㅡ.ㅡ; 우드랜드쪽 HDB도 1500 정도면 구할수 있던데요.... > >>아마 친구들이라 함은 중국애들이나 베트남 애들아닌가요? >>저도 그 나라 애들이랑 방을 구하려고 해봤지만 예산이 500 넘어가는 애들 없습니다. >>고로 방 못구한단 이야기죠. 구해도 한방에 2~3명씩 같이 쓰거나.... >>어디서 정보를 얻으셨는지 모르겠지만 많이 틀린 정보를 얻으신거 같네요. >> >>지금 방 하나를 300불에 구한다는 건 쓰러져 가는 아파트에 에어컨이 없거나...... >>주인이 정신 나갔거나...둘중에 하나 일텐데요.... >> >>코반은 전철로 세랑군 다음에 있는 역인데...... >>학교를 어디로 다니느냐에 따라 다르죠. >> >>퀸스 타운 근처면 MDIS일텐데 그쪽은 HBD 2+1 도 최소한 1600 이상 있어야 들어가고 >>상태도 그다지 좋지 못합니다. 오래된 아파트가 상당히 많으니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MDIS 학생이시라면 학교 까지 한 시간은 잡으셔야 합니다. >> >>제가 어떻게 이렇게 잘 아냐구요? >>저가 요즘 집을 구하러 많이 돌아다녀서요..ㅡ.ㅡ; >> >>> 싱가폴 온지 5개월쯤 됬는데요.. >>> >>>방을 구하고 싶은데..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우리나라식의 부동산이 있나요?? >>> >>>퀸스타운 근처 비싼가요?... >>> >>>제 친구들 보면 300불에 잘들 구하던데..물어보긴 좀 챙피하고.. >>> >>>지금 사는 호스텔..인터넷과 룸메이트가 너무너무 잔인무도극악해서..... >>> >>>정말 방구하고 싶은데요.. >>> >>>도움 주세요..아..참참..kovan 이라는곳 어때요?? >>> >>>중국애 하나가 같이 살수 있음 침대랑 사서 들어오라던데.. >>> >>>교통편 좋은가요?? >> > > > >친절한님..방구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는지 좀 알려주세요...헤헤.. > >그리고 이상하게도..제주변엔 2명이서 600~700에도 잘 구하드라구요.. > >물론 운이 좋았다고 꼭꼭 그러긴 햇지만..     

Q

NO.21

기타현지 부동산 취득하셨거나 하실 분들 아래 기사 참고 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jjw(jjw7227) 2007-07-31
추천수 : 15 조회수 : 1,692

"해외부동산 취득.보유.처분도 납세대상"<국세청> 세금안내면 최고 40% 가산세.자금소명 부담 (서울=연합뉴스) 이상원 기자 = 해외부동산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해외부동산 투자 수익에 대해 국내에서는 납세의무가 없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

  • A

    >"해외부동산 취득.보유.처분도 납세대상"<국세청> > > >세금안내면 최고 40% 가산세.자금소명 부담 > >(서울=연합뉴스) 이상원 기자 = 해외부동산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해외부동산 투자 수익에 대해 국내에서는 납세의무가 없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망된다. > >국세청은 31일 개인이 해외에서 취득한 부동산과 관련해 국내에서 신고.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문답식으로 알기 쉽게 정리한 `해외부동산과 세금 팸플릿을 제작, 이미 해외부동산을 취득한 개인 2천600여명에게 직접 우편으로 송부.안내했다고 밝혔다. > >국세청은 전국은행연합회와 협조해 해외부동산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개인들도 해외부동산 취득 신고.수리 업무를 담당하는 외국환거래은행 각 영업점의 외환창구 및 PB 센터에서 직접 안내받을 수 있도록 각 은행에 팸플릿을 배포했고 자체 홈페이지(www.nts.go.kr)에도 상세한 안내서를 게재했다. > >국세청은 해외부동산 취득.처분 등과 관련한 납세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투자수익에 대한 세금과 함께 정상 세액의 최고 40%의 부당신고 가산세를 내야하고 취득자금도 소명해야 한다며 성실한 납세의무 이행을 당부했다. > >국세청에 따르면 자금능력이 없는 유학생 미성년 자녀나 배우자 명의로 해외주택을 취득하는 등 송금 명의인과 해외 현지에서 부동산을 취득한 명의인이 다를 경우 증여세 과세대상이 된다. > >또 거주목적으로 취득한 해외부동산을 타인에게 임대해 소득이 발생하면 국내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를 신고.납부해야 한다. 다만 현지국가에서 임대소득과 관련해 세금을 납부했다면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 >이 경우 해외 현지 세율이 국내 세율보다 낮으면 양국의 세액 차이 만큼의 세금을 국내에서 내야 하고 해외의 세율이 국내보다 높으면 세금을 낼 필요는 없지만 해외에서 더 낸 세금은 돌려받지 못한다. > >해외부동산을 처분해 양도소득이 발생하면 해외 현지에서 양도소득세를 비과세해도 국내에서는 신고.납부해야 한다. 해외 현지에서 신고.납부했으면 국내에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 >이와 함께 해외부동산을 직계존비속에게 명의이전하거나 제3자에게 대가 없이 처분해도 증여세 과세대상이 되고 사망으로 명의이전을 할 때는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된다. > >아울러 해외부동산 취득 명목으로 송금된 자금을 자녀에 대한 증여 또는 유학 경비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신고내용과 달리 자녀 등 타인 명의로 부동산을 취득하면 외국환거래법 위반이 된다. > >국세청 관계자는 "해외부동산 투자 광고를 보면 투자 유치를 위해 투자대상국의 세금 감면제도만 알리고 국내의 납세의무는 제대로 전달하지 않고 있다"며 "실제 해외부동산과 관련해 상담 전화를 해 온 예비 투자자들 중 대부분이 국내에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이 관계자는 "개인의 해외부동산 취득 한도 확대로 투자자들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세금을 계산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수익률 손해, 세금 미납에 따른 가산세 부담 등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적 대응 차원에서 팸플릿을 제작해 배포했다"고 덧붙였다. > >올해 상반기 해외부동산 취득규모는 1천387건에 5억8천100만달러로 지난해 전체 취득규모인 1천268건, 5억1천400만달러를 넘어섰다. > >leesang@yna.co.kr > >   한국에 거주하면서 해외에 부동산을 취득한 경우에만 해당하는 사항입니다. 비거주자(온 가족이 싱가폴에 거주하고 생활기반이 싱가폴)면 국제조세협약에 따라 싱가폴 세법에 따르고, 부동산 취득시 한국에서 돈을 가져 올 때도 부동산 자금에 대한 신고가 아니라 "대외지급수단매매신고"를 하고, 내 재산을 반출하는 확인증을 한국은행에서 발부 받아 송금하고 한국에 내야 할 세금은  없습니다. > >     

Q

NO.18

기타임대료가 2500불 이상이면 임대임만 수수료 내는 것 …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호빵맨맘(imlioba) 2007-06-03
추천수 : 8 조회수 : 1,177

콘도 월세가 2500불 이상이면 2년계약할 때(1년 계약도 물론) 부동산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집주인만 지불한다는데.. 맞나요?  제가 그런 내용을 읽은 적이 있는 것 같아서요.  그런데 유학원에서 2500불짜리 계약하더라도 수수료 임대인도 낸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 A

    임대료 2500불 이상일때 에이전트 수수료는 집주인(임대인)만 내는 것이 맞습니다. 저도 작년에 영주권자인 한국아줌마가 정착서비스 하면서 자기네 로컬 부동산 에이전트한테 수수료 한달치 임대료의 반(1년 계약했거든요)을 주라고 해서 지불 했다가 수개월 후에 알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에이전트 한테 전화해서 `너 어떻게 설명할거니?` 라고 했더니만 한국 아줌마가 알아서 한다고 했답니다. 다음날 찾아와서 울면서 잘못했다고 수수료 돌려주고 갔습니다. 아무리 돈이 궁해도 같은 민족끼리 사기 치는 일은 없어야 겠습니다. 어떤 유학원인지.. 혹시 동일인일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 A

    정말인가요? 저도 유학원에서 소개해준 한국인 에이전트하고 계약을햇는데요 작년 11월에 계약햇습니다 (2년계약) 월세 2500불에 계약했고 그 에이전트말로는 2700부터 임대인만 수수료를 지불하는거라 해서 저도 그 에이전트한테 2500불 복비로 줫는데요 사실이라면 뒷목잡고 쓰러질일이네요 어찌해야하나요     

  • A

    >콘도 월세가 2500불 이상이면 2년계약할 때(1년 계약도 물론) 부동산에 지불하는 수수료를 집주인만 지불한다는데.. 맞나요?  제가 그런 내용을 읽은 적이 있는 것 같아서요.  그런데 유학원에서 2500불짜리 계약하더라도 수수료 임대인도 낸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  답 부탁드립니다. 답변드립니다.. 지금현재는 2500 불이 중요한게아니구요 2500불짜리 집을 구할수있느냐가 더중요한것이구요 ~ 현재 시세는 집주인이 2500불 이라하드라도 에이전 수수료를 못내겠다하면 임대인이 내야합니다. 집가진사람이 칼자루 쥐고있는 세상이 된것이죠..만약에 그걸 속이 고 계약했다면 꼭 받아내세요 .저도 에이전트 하지만 그건 아닙니다. 확실하게 정보주고 확실하게 하고 싶은사람중에 하납니다. 이젠 더이상 그러면서 속지마세요  참고하세요 ~ 더필요한 질문있으시면 메일이나 쪽지주세요~ 참고 하시라고 제가 시세 드립니다.. 만다린가든 5000불정도 코스타 델솔 3000불이상 Cote DAzur 4000불이상 ~5000 탄종루 5000 불정도 Astoria Park 3000불정도 DEcosia = 적어도 3000불이상 적어도 2500 불짜린 없단 말이죠 있어 봐야 진짜 찾기 힘듭니다.. 그리고 에이전트도 요즘은 렌탈에 관심없습니다. 집팔면 더 이익인데요 참고 하시라고 하나더 ~ 토요일자 Strait Times 보시면 렌탈은 정말 찾기 힘듭니다.. 원칙이 중요한게 아니구요 ~ 현재 임대 분위기가 더중요한듯합니다.. 요즘은 콘도 사는것보다 HDB렌트 하는게 더힘들지도 모르겠네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