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부동산
  • 싱가폴서 집사신분들 돈을 어떻게 가져오셨나요?
  • Joyrous (rachel77)
  • 질문 : 3건
  • 질문마감률 : 66.67%
  • 2020-08-15 11:59
  • 답글 : 2
  • 댓글 : 4
  • 8,924
  • 0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집사신분들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개인적으로 보고 있는집이 나이도 있고 CPF가 워낙 적어  은행융자가 안되어 대부분 현금으로 사야해 현금을 한국에서 가져와서 싱으로 바꾸어 사야하는데 한국서 돈 보낼때 거래은행통해 부동산 매입대금이라해 가져올수있는 돈이 미화 30만불 인가요 ,더가져올수있나요? 그리고 어떻게 어떤 은행통해 받을수있을까요? 

세무서에서 세금납부 확인서받고 싱가폴 거주비자와 계약서 은행에 제출하면 되나요? 그리고 지금 현행법 바뀐 부동산법에 해외사둔 집도 1주택으로 들어가게 되는지요? 

더 알아야하거나 도움주실만한 내용들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려운 코빗19가운데서도 건강지키며 행복한 싱생활되길 기원드립니다.

  • [질문자 채택답변]
  • Re: 싱가폴서 집사신분들 돈을 어떻게 가져오셨나요?
  • kylrie! (kylriehan)
  • 답변 : 520건
  • 답변채택률 : 15.38%
  • 2020-08-18 11:54

저도 필요한 부분이라 알아봤는데 영주권/시민권일 경우 해외재산 반출에는 제한이 없더라구요. 

한국에 있는 재산에 대해서 세금납부 여부를 증명해야될 부분이 있고 이 부분은 각자의 재산이 어떻게 축적되었는지 다르니 한국의 세무사분과 상의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그 재산에 대해서 한국에 모든 세금이 납부되어있는지 정리만되면 재산반출 액수는 문제 없다고 답변을 받았어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셨는지 저도 궁금하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질문자 채택답변]
  • Re: 싱가폴서 집사신분들 돈을 어떻게 가져오셨나요?
  • 럭키데스 (jijins)
  • 답변 : 1건
  • 답변채택률 : 100%
  • 2020-08-18 16:16

안녕하세요 쪽지드렸습니다

댓글목록

Johe님의 댓글

Johe (angelcho)

저도 궁금한 부분인데 쪽지 부탁드려도 될까요?

지상낙원님의 댓글

지상낙원 (nitro77)

저도 같은 상황입니다. 쪽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인텔님의 댓글

인텔 (intel)

저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쪽지 부탁드려도 될까요?

싱운라이러님의 댓글

싱운라이러 (yjb210)

해외부동산도 주택수 포함인가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2

부동산PR 부동산 구매 문의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완료
욜롤리(m97stone) 2019-12-28
추천수 : 0 조회수 : 4,946

안녕하세요.    혹시 PR 신분으로 ADSD 5% 납부하고 resale 콘도 구매하신분 계신가요? 싱에 오래있을것 같은데 월세는 아깝고.. HDB resale구매는 3년을 기다려야 하니 어찌 해야할지 고민중입니다. 세금내고 대출이자 내면서 10년 들고있으면..…

  • A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 비슷한 사례들은 많지만, 개인의 상황 (소득, 연령)에 따라 융자 조건이 다르고, 집에 따라 월세가 다르며, 사는 시점에 따라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 일반화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감가상각에 대해 말씀하신 것으로 보아 회계 분야에 상당한 지식을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공장 건물이나 기계와 달리, 집은 10년이 지나도 집값이 상승합니다. 우스개 소리로, ‘사용하고도 값이 올라가는 것은 집 뿐이다’,라고 합니다. 지난 10년간(2009-2019) 싱가포르 전체 콘도의 연평균 상승률은 5.3%에 달합니다. 이 이전에는 (2004~2014) 연평균 7.9%에 이르기도 하였습니다.    비슷한 사례를 현재 시점에서 예를 들어 말씀 드리겠습니다. [예1] $1.2m의 콘도를 사신다면, 영주권자의 경우 각종 세금을 포함하여 총 약$1.3m의 금액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이 집에서 사신다면 월세를 받지 않지만, 현재 사는 월세를 내지 않기 때문에 계산상으로 월세를 받는 것으로 계산해 봅니다.) 월세를 평균 정도인 $3,500이라고 보면, 10년동안 각종 세금 및 경비를 제하고 월세 소득 (또는 세이브)는 약$348k가 됩니다. 즉, 집값이 하나도 오르지 않았다 하더라도 약$348k을 벌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집값이 10년동안 연3%로 상승했다면, 집값 상승에 의한 추가 수익은 각종 세금 및 비용을 제하고 $285k가 됩니다. 최근 Morgan Stanley의 분석에 의하면, 싱가포르 집값은 2030년에 현재의 2배가 된다고 분석하였습니다. M-S의 분석에 따르면, 집값 상승에 의한 추가 수익은 각종 세금 및 비용을 제하고 $1,072k가 됩니다. 이 경우 현재 $1.3m을 투자하여 10년 동안 $1.4m이상의 수익을 올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예2] 위와 똑같은 콘도를 50%의 금액인 $600k를 30년상환으로 연 2%의 금리로 융자를 받았을 경우를 보겠습니다. 현금 $700k가 필요하며, 향후 원리금상환으로 매월 $2,220이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월세($3,500)와 월 비용($2,220+$600)의 차액에 의한 10년간 소득 또는 세이브는 $82k가 됩니다. 집값 상승에 의한 추가 수익은 각종 세금 및 비용을 제하고, 10년동안 연3%로 상승했다면 $447k 가 되고, M-S의 분석에 따르면 $1.23m이 됩니다. [예3] HDB의 경우에는 집의 연한, 위치, 정부 정책에 따라 일반화가 어려우니, 저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의 싸이트를 방문하시면 여러가지로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https://www.corealconsulting.com/latest-news      

  • A

    PR 이고 현재 부동산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서 부동산 등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같습니다. 지난 3년간의 콘도 오름세를 보자면 위치에 따라서 그리고 어떤 콘도 이냐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 에 첫 집이라면 잘 알아보시면 은행 이율은 굉장히 좋은 조건 찾으실 수 있을 것이며 어차피 매달 나가는 대출금은 CPF 로 대체하시면 됩니다.    위의 분이 1.2M 짜리라면 총 1.3 정도가 필요할 것이라고 하셨으나 경험에 의하면 그 이상 필요하실 것입니다. 세금, 대출이자 내는 것보다 매달 나가는 월세를 생각하신다면 사실 답은 나와 있지 않나 싶네요.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