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사업/직장
  • 한국 대학원 졸업하고 바로 싱가포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데 몇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 흑흑흑 (rktkek456)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100%
  • 2020-08-15 22:56
  • 답글 : 2
  • 댓글 : 1
  • 13,679
  • 0

안녕하세요. 전자공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현재 대학원에서는 컴퓨터 싸이언스 전공 석사 과정으로 재학 중인 대학원생입니다.


졸업 예정일은 내년 2월이구요.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는 대부분이 서비스직이나 무역쪽이 대부분이라 대학원을 졸업한 엔지니어 채용 관련해서는 특히 신입쪽으로는 정보가 거의 없는 것 같아 질문이 좀 많네요ㅠ

 

 

1. 졸업 후 싱가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데, 싱가폴 같은 경우 채용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한국 같은 경우 대기업 공채는 짧게는 3~4개월 길게는 6개월 정도 걸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 실리콘 밸리에 있는 글로벌 기업은 1년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는것 같던데 싱가폴 같은경우는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제가 만약 내년 1월이나 2월에 싱가폴에서 일을 시작하고 싶다면 적어도 몇개월 전부터 cv와 레쥬메를 리크루터에게 보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국은 보통 상반기, 하반기 나워서 채용 공고가 많이 열리는 시기가 있는데, 싱가포르는 보통 언제 쯤 채용 공고가 많이 열리는지 알 수 있을까요?

 

 

2. 요즘 링크드인에 올라오는 채용 공고를 보면 대부분이 최소 1년에서 2년의 실무 경력을 요구하던데, 싱가폴에서는 석사 과정 중 진행한 프로젝트도 경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3. 조금 현실적인 질문인데, 만약 (정말 만약...) 싱가폴에서 잡 오퍼를 받는다면 적어도 얼마의 연봉을 제안 받았을 때 넘어가는게 맞나요? 물론 이건 사람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생각하기로는 해외취업은 장기적으로 더 좋은 커리어를 쌓기 위한 선택인데 한국에서 더 좋은 대우를 받고 좋은 커리어를 쌓을 수 있다면 한국에 남는게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싱가폴에 간다면 한국에 있을 때보다는 영어에 익숙해지고 실리콘 밸리로 넘어 갈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 같은데 이런 점을 고려 했을 때 엔지니어나 리서처로서 싱가폴 취업의 연봉 마지노 선을 얼마로 잡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다니고 있는 대학원의 연구실 졸업생 기준으로 석사 졸업생 열에 여덟 아홉은 대기업에 입사해서 이걸 기준점으로 삼으려 하는데, 싱가포르에서 외국인 신입으로 한국 대기업급 연봉을 기대하는건 무리일까요?

 

 

4.최근 싱가포르가 자국민 우대 정책을 강화해서 외국인들이 들어 갈 수 있는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들었는데, 이 말이 STEM분야 직군에도 해당되는 말인가요? 올해 들어서 바뀐 비자 규정을 보니까 WP와 SP비율은 줄었지만 EP비율은 따로 언급이 없는 것 같아 궁금합니다.


 

5. 마지막으로 싱가포르에서는 졸업예정자 신분을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네이버 블로그에서 읽었는데, 이게 정확한 정보가 맞나요? 만약 맞다면 학위 수여가 확정 된 상태에서 구직을 시작해야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로나 이후로 상황이 너무 많이 바뀐 것 같네요. 작년 부터 꾸준히 링크드인에서 채용 공고를 확인했었는데 싱가포르에서 외국인 신입으로 들어가는 문이 더 좁아진것 같습니다...ㅠ
  • [질문자 채택답변]
  • Re: 한국 대학원 졸업하고 바로 싱가포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데 몇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 Innao (gmlakd20)
  • 답변 : 37건
  • 답변채택률 : 21.62%
  • 2020-08-17 04:25

1. 졸업 후 싱가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데, 싱가폴 같은 경우 채용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상황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한국 미국과 채용 프로세스는 비슷합니다

  

2. 요즘 링크드인에 올라오는 채용 공고를 보면 대부분이 최소 1년에서 2년의 실무 경력을 요구하던데, 싱가폴에서는 석사 과정 중 진행한 프로젝트도 경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프로젝트 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같은 시기에 한국 대학원생을 학교 프로젝트까지 경력으로 인정해주면서 비자 발급해주고 채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3. 조금 현실적인 질문인데, 만약 (정말 만약...) 싱가폴에서 잡 오퍼를 받는다면 적어도 얼마의 연봉을 제안 받았을 때 넘어가는게 맞나요? 


급여 질문의 답은 본인 마음속에 있습니다. 다른사람이 대답해 줄수 있는 질문이 아닌거 같아요. 실리콘벨리가 최종 목표라면 한국에서 경력을 잘 만들고 미국으로 직접 가는게 어떨까요. 싱가포르가 미국보다 취업이 쉽지 않을수 있는데 굳이 싱가포르를 거쳐서갈 필요가 있을까요.   

 

4.최근 싱가포르가 자국민 우대 정책을 강화해서 외국인들이 들어 갈 수 있는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들었는데, 이 말이 STEM분야 직군에도 해당되는 말인가요? 


요즘 내셜널리즘은 세계적인 추세 입니다. 외국인 취업이 쉽지 않고 기업들도 가급적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를 선호합니다. 물론 구직자가 회사가 꼭 필요로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면 다르지만. 

 

5. 마지막으로 싱가포르에서는 졸업예정자 신분을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네이버 블로그에서 읽었는데, 이게 정확한 정보가 맞나요? 만약 맞다면 학위 수여가 확정 된 상태에서 구직을 시작해야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회사별로 다릅니다. 다만 외국 대학 졸업 예정자를 미리 뽑는 경우는 흔치 않은거 같아요. 

 


댓글목록

흑흑흑님의 댓글

흑흑흑 (rktkek456)

답변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바로 미국에 가는 것 보다 싱가폴에 있는 미국회사에 들어가서 미국으로 트랜스퍼 하는게 더 쉬울 것 같아서요. 실제로 주변에서 아는분이 그렇게 미국에 가셔서 저도 그렇게 하려 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싱가폴로 가려는 이유는 제가 한국에서 일을 시작하고 한국 직장에 뿌리 내리기 시작하면 해외로 나가기 점점 어려워 질 것 같아서요.

  • [답변]
  • Re: 한국 대학원 졸업하고 바로 싱가포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데 몇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 somehh (baek9900)
  • 답변 : 20건
  • 답변채택률 : 5%
  • 2020-08-17 18:07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오시는게 훨씬 연봉협상에도 유리하고 취업이 용이할것 같아요

컴공이면 한국에서도 좋은 일자리 많이 있을것으로 사료되어, 2-3년 정도 경력쌓고 업계 네트워크를 쌓은뒤,

이직을 알아보시는게 좋을듯해요


신입으로 오면 연봉협상도 어렵고, 취업자리도 제한이 될것 같네요. 참고로 최근 EP신규발급도 매우어려워 지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2506

기타영주권 신청서 작성 중 질문이 있습니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입싱무지개(l17915388) 2020-09-24
추천수 : 0 조회수 : 8,913

안녕하세요영주권 신청서 작성중인데 몇 가지 질문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1. Local Correspondence Address 에는 현재 싱가포르 거주지를 적는 것 같은데, Residential Address in Country/Place of Nationality 사…

  • A

    안녕하세요, 사실 신경이 많이 쓰이시죠?작년 초에 했던거라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사실 그렇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최소한 제 경험으로는 말이죠.차례차례 제가 아는 선에서 말씀드릴게요.1. 네, 맞습니다. 한국에 혹시 거주지를 유지하고 계시면 그 주소를 넣으시고, 만약 거주지가 없으면 예전에 사셨던 주소를 적으셔도 됩니다. 이게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아보이는게 확인을 요구한 적이 없습니다.2. Residential Phone No 는 집전화 번호,  Office Phone No 는 사무실 전화 번호입니다. 직장이 있으시면 직장 번호 넣으세요.3. South Korea 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저는 서류 어딘가에  Korea 이렇게 적은 적이 있는데 Korea, South 로 자기들이 알아서 변경했구요, 영주권 블루 카드에서 그렇게 적혀있습니다.3 번이 두 개네요. 학위는 네, 학사면 Bachelor of 전공 쓰시면 됩니다. 그리고 Ethinic Language (if any) 에 저는 NA 라고 했습니다. 한국졸업학교 이름을 한국어로 적어도 무관할 것 같구요.4. 전 한 개의 항목을 적었습니다만 서류 제출 안 했고 문제 없이 지나갔습니다. 중요한 건 학사/석사/박사 학위증이지 이런 멤버쉽은 아예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는 분위기였네요.5. 4번과 마찬가지로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 내부 교육으로 받으신 자격증이고 동종업계에서 인정되는 것이면 Trade Certficate 로 하시면 될 듯 합니다. 서류를 굳이 제출하고 싶으시면 HSK 자격증이랑 같이 제출을 하셔도 됩니다. 제가 볼 때는 그리 중요하거나 의무사항이 아니니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6. 네, 10년동안 거주하신 주소를 현재부터 과거 순으로 나열하시면 됩니다.7. 기록은 시간 순서대로 (in chronological order) 표기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학위도 그렇고 주소도 그렇고. 현재에서 과거로 올라가면서 나열하시면 됩니다.결국 여권, 현재 싱가포르 체류 신분, 출생증명을 위한 가족관계 및 기본증명서, 학위증명서, 6개월치 월급명세서, 현 직장 재직증명서, 세금기록 등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만 잘 갖춰지면 심사는 무난히 진행됩니다. 그 다음은 물론 복불복이죠 - 왜 승인 또는 리젝이 되는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으니까요. 그래도 6개월이상 넘어가면 승인될 확률이 있다는게 제 경험입니다만 9개월 펜딩에 리젝당한 경우도 들어봤기에 케이스바이케이스죠.그럼 시기가 점점 이민자에게 팍팍해지는데 어서 접수하시고 그냥 잊고 기다리시는게 좋겠네요. 행운을 빌어요.

    1 채택답변
Q

NO.2499

기타이번달에 입싱예정입니다.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완료
이루고(assalsj) 2020-09-07
추천수 : 0 조회수 : 10,228

안녕하세요. 처음 인사드립니다.오늘 EP 비자가 나와서 슬슬 입싱 준비를 하려고합니다.이번해 초에 관광비자로 들어가서 비자 진행을 하다가 시간이 부족해 한국으로 귀국 후 이제야 비자가 나왔네요.현재 싱가포르로 입국하면 시설격리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요?그리고 입…

  • A

    MoM 으로 부터 입국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Ministry of Manpower (MOM) 승인 email MOM approval  emails이 오면 이걸 출력해서 입국 할 때 보여줘야 합니다. 입국허가를 받은 날로부터 +/- 1일 이내에 싱가폴에 도착해야 하고, 만약 이 기간내에 도착을 못하면 다시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인천-싱가폴 비행기편이 매일 있는 것이 아니니 항공편을 잘 알아보고 입국허가날짜를 받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SG ARRIVAL CARD WITH ELECTRONIC HEALTH DECLARATION [via Singapore Immigration & Checkpoint Authority (ICA) ]https://eservices.ica.gov.sg/sgarrivalcard/건강확인서랑 입국신고서를 도착 3일 전에 작성합니다. SG mobile·         도착때 연락가능한 싱가폴 핸드폰 번호가 있어야 합니다.  14 days Quarantine at designated facilities This is to confirm that Ministry of Health (MOH) has just released that travellers entering Singapore from 29 August 2020, 0000 hours, who have recent travel history, including transit, to the Republic of Korea, within the last 14 days will be required to serve a 14 day Stay-Home Notice (SHN) at dedicated SHN facilities instead of their own place of residence. 시설격리 비용은 2,200부터 이고 시설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회사담당자가  MoM에 도착날짜를 알려주면 나중에 인보이스가 나온다고 합니다. Covid-19 test 시설격리 해제 직전에 코로나19 검사를 하게 됩니다. 비용은 자가부담이고 세금포함 200 SGD 까지 나올수 있다고 합니다.LATEST UPDATE FROM SINGAPORE GOVERNMENT/ Electronis monitoring device:원래 전자팔찌를 착용하게 되어 있었는데 시설로 가면 이건 안하는 것 같습니다.   https://www.mom.gov.sg/covid-19/additional-responsibilities#must-do 이 모든 과정을 준수하도록 할 의무가 회사/고용주에게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회사에 문의를 해서 MoM 입국허가부터 차례 차례 하셔야 할 듯 합니다.

    2 채택답변
Q

NO.2498

생활눈검사받고 싶은데 한국분이 하시는 안과나 안경점 알려 …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moom(mijc) 2020-09-04
추천수 : 0 조회수 : 4,591

안녕하세요. 항상 한국촌을 통해서 싱가포르생활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일인입니다.나이가있으니 점점 눈도 피로하고 침침하고 눈이 밝게 보이는 날이 많아 지지않아서눈 상태를 검사받고 싶어 이렇게 글 올립니다. 저는 안경을 착용해 본 적이 없습니다.그래서 검사도 받아 지금…

  • A

    싱가폴에서는 자외선이 강해서 한국에 있을때보다 더 시력이 약해지는것 같습니다.심한 안구건조증, 속눈썹찔림.눈 시림, 익상편으로 싱가폴안과를 다녀본 사람으로 이 답변이 도움이 됬으면 좋겠습니다.일단 한국분이 하시는 안과나 안경점은 없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영어가 가능하신 분과 동행해서 안과를 가시는게 좋을것 같고 마운트 알바니아쪽에 안과 전문의들이 많습니다.NOBEL EYE CLINIC, EAGLE EYE CLINIC 등등 아이 클리닉 전문의가 많은데 예약접수 없이 가실수는 없고 일단 동네 병원에 가셔셔 가이니의진단을 받은후 가이니의 진단서를 가지고 추천해주는 안과전문의에 예약받고 가는게 일반적입니다.저 같은 경우는 NOBEL, EAGLE EYE CLINIC 두 곳 다 가봤는데 싱가폴은 안과쪽으로는 전문의들의 수준이 높았던것 같습니다.아무쪼록 좋은 치료 받으셔셔 눈 회복이 빨리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채택답변
Q

열람중

사업/직장한국 대학원 졸업하고 바로 싱가포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완료
흑흑흑(rktkek456) 2020-08-15
추천수 : 0 조회수 : 13,680

안녕하세요. 전자공학 전공으로 학부를 졸업하고 현재 대학원에서는 컴퓨터 싸이언스 전공 석사 과정으로 재학 중인 대학원생입니다.졸업 예정일은 내년 2월이구요.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는 대부분이 서비스직이나 무역쪽이 대부분이라 대학원을 졸업한 엔지니어 채용 관련해서는…

  • A

    1. 졸업 후 싱가폴에 취업하는게 목표인데, 싱가폴 같은 경우 채용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상황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한국 미국과 채용 프로세스는 비슷합니다  2. 요즘 링크드인에 올라오는 채용 공고를 보면 대부분이 최소 1년에서 2년의 실무 경력을 요구하던데, 싱가폴에서는 석사 과정 중 진행한 프로젝트도 경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어떤 프로젝트 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같은 시기에 한국 대학원생을 학교 프로젝트까지 경력으로 인정해주면서 비자 발급해주고 채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3. 조금 현실적인 질문인데, 만약 (정말 만약...) 싱가폴에서 잡 오퍼를 받는다면 적어도 얼마의 연봉을 제안 받았을 때 넘어가는게 맞나요? 급여 질문의 답은 본인 마음속에 있습니다. 다른사람이 대답해 줄수 있는 질문이 아닌거 같아요. 실리콘벨리가 최종 목표라면 한국에서 경력을 잘 만들고 미국으로 직접 가는게 어떨까요. 싱가포르가 미국보다 취업이 쉽지 않을수 있는데 굳이 싱가포르를 거쳐서갈 필요가 있을까요.    4.최근 싱가포르가 자국민 우대 정책을 강화해서 외국인들이 들어 갈 수 있는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들었는데, 이 말이 STEM분야 직군에도 해당되는 말인가요? 요즘 내셜널리즘은 세계적인 추세 입니다. 외국인 취업이 쉽지 않고 기업들도 가급적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를 선호합니다. 물론 구직자가 회사가 꼭 필요로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면 다르지만.  5. 마지막으로 싱가포르에서는 졸업예정자 신분을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네이버 블로그에서 읽었는데, 이게 정확한 정보가 맞나요? 만약 맞다면 학위 수여가 확정 된 상태에서 구직을 시작해야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회사별로 다릅니다. 다만 외국 대학 졸업 예정자를 미리 뽑는 경우는 흔치 않은거 같아요.  

    1 채택답변
  • A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오시는게 훨씬 연봉협상에도 유리하고 취업이 용이할것 같아요컴공이면 한국에서도 좋은 일자리 많이 있을것으로 사료되어, 2-3년 정도 경력쌓고 업계 네트워크를 쌓은뒤,이직을 알아보시는게 좋을듯해요신입으로 오면 연봉협상도 어렵고, 취업자리도 제한이 될것 같네요. 참고로 최근 EP신규발급도 매우어려워 지고 있습니다.

Q

NO.2492

사업/직장SHN 근무기간 포함 여부

  • 답글 : 2
  • 댓글 : 4
답변완료
솔베이지(s4013107) 2020-08-12
추천수 : 0 조회수 : 9,589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New Hire 로 싱가폴 9월에 입국 예상하고 있는데요.SHN 2주간의 자가격리 기간이 근무기간에 포함되서 근무시작 일자가 SHN 시작일로 되는지 궁금하네요. 저와 비슷한 경우이셨던 분이 계시다면 어떤 케이스 이신지 공유해 주 실수 있…

  • A

    제가 동일 케이스인데 shn 끝나야 ep 활성화 할 수 있고 그제서야 일 시작(고용 시작)할 수 있습니다. (즉 휴가에 해당 없고 그 기간은 visitor신분)  비자 액티베잇이 안돼요. 한달 사이에 바뀌었을진 모르겠지만 여튼 그렇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shn 끝나고 첫날 비자 액티베잇 하고 그 날부터 사진찍고 지문 찍는것 신청도 가능하다고 했고 여튼 shn 기간은 고용 기간이 아닌 것으로 압니다.여기 참고하세요. https://www.mom.gov.sg/covid-19/advisory-for-employers-and-employees-travelling-to-and-from-affected-areasFor IPA holders, you need to wait for them to complete their 14-day SHN before you can get their passes issued. For IPA holders of(이하 생략) 

    3 채택답변
  • A

    MoM 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https://www.mom.gov.sg/faq/work-permit-for-foreign-worker/can-i-start-work-if-i-havent-received-my-work-pass-card-but-have-my-notification-letterCan I start work if I haven't received my work pass card but have my notification letter?Yes. The notification letter is a temporary approval before you get your card. A valid notification letter allows you to start work and also enter or leave Singapore.The notification letter has a validity period of 4 weeks, which is more than enough time for you to receive your work pass card. 

    1
Q

NO.2489

생활싱가포르에서는 코스트코나 이마트 같은곳이 없나요?

  • 답글 : 4
  • 댓글 : 4
답변완료
언제나열심히(spc4100) 2020-07-28
추천수 : 0 조회수 : 5,719

이제 조금씩 싱가포르에 적응하는 초짜 입니다.다름이 아니오라 여기서는 이마트나 코스트코와 같은 여러 제품을 한곳에서 파는 곳이 없는지요페어프라이스처럼 중형 슈퍼마켓을 가보긴 했으나 특정 제품들만 모아서(예를 들어 용산과 같은 심림) 파는곳은 있는데 여러가지를 한곳에 모…

  • A

    아! q&a에서 검색해보니 저와 같은 질문을 하신 분들이 있으시네요 ^^구글 맵 사진으로 좀 찾아봤는데 Giant Hypermarket - Suntec City 가 제가 생각한 곳과 비슷한것 같습니다.혹시 다른곳도 있다면 추천을 부탁 드립니다.거리나 교통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보니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 A

    제가 동쪽에서 살아서 동쪽 기준으로 말씀 드릴게요. 일단 기본적으로 Fair Price Xpress 와 Giant Hypermarket이 말씀 하신 이마트나 코스트코에 가까울 것 같고요, 제가 가본 곳 중에서는Fair price Xpress - Kallang wave mall (Stadium 역)Giant Hypermarket - Tempines (IKEA 근처, Bedok 역에서 셔틀 버스 있음)이 제일 크고 가전 제품 포함해서 이것 저것 팔아요.이밖에..Fair price finest - Jewel (수입품많음)Fair price finest - PLQ (지하철역 붙어 있어서 접근성 편리)Fair price finest - Bedok (지하철역 접근성 좋음)Cold Storage - Great World City (전자제품 등 안파는 슈퍼 중에서는 제일 큰 듯...)Cold Storage - Parkway Parade (지하철역 없음, 그냥 슈퍼치곤 큰 편)Cold Storage - Aperia (그냥 슈퍼치곤 좀 큼..)전 주로 동쪽 기준으로 설명 드린 거지만, 아마 다른 곳도 훨씬 많이 있고 그쪽 거주분들이 더 많이 아실거에요그냥 참조 바랍니다

    2 채택답변
  • A

    비보시티에 FairPrice Xtra 가 hypermarket 인데 한국처럼 두 층으로 구성되어 식료품은 주로 1층 나머지 물건들은 2층에서 팔아요. 우연히 가 보고 한국이랑 비슷하다 생각한 적이 있어 말씀드려요.https://www.vivocity.com.sg/stores/fairprice-xtra/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