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사업/직장
  • 주재원 계약 시 고려사항 문의드립니다.
  • OK_OK (okok8080)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100%
  • 2023-08-12 22:30
  • 답글 : 2
  • 댓글 : 0
  • 3,372
  • 0

안녕하세요. 2024년 1월부터 주재원으로 2년간 싱가포르에서 일할 예정에 있어서, 이와 관련하여 문의를 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신랑과 동일한 회사에 근무 중이며, 신랑과 함께 주재원 (동일 업무, Chief Engineer/ Lead Manager)으로 나갈 예정입니다. 

현재 회사와 이와 관련하여 네고중에 있어,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업무 시간 및 휴가 관련

현재 덴마크에서 근무중이라 주 37시간 근무, 휴가가 29일입니다. 혹시 싱가포르의 경우 법정 근무시간이 얼마인지 (주 40시간으로 확인은 했으나, 자세히 나와있는 자료를 찾지 못했습니다.), 법정 휴가는 몇일인지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Chief Engineer와 Lead Manager이면 대략적인 연봉이 어떻게 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혹시 레퍼런스로 사용할만한 자료가 있을까요?)


- 거주 관련 (회사에서 주거 제공 예정)

 싱가포르 내 지사위치는 Queenstown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직 결정된 것이 없지만, 기존의 주재원을 한국에서 했었는데 그 당시 회사 주변에 아파트에서 거주했었는데요, 혹시 도심이 아닌 외각으로 나가게 된다면 가격이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지 궁긍합니다.

싱가포르가 작은 나라인것은 알고 있지만, 혹시 외각지역으로 나갈 시 차량관련하여 네고 가능할지에 관해서 확인하고 싶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아이는 없고, 주변에 공원이나 테니스, 수영장이 있는 콘도에 관심이 있어 대략적인 가격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 생활비 관련

2 명이 생활하는데 대략적으로 어느정도 생활비가 드는지 궁금합니다.

저희는 둘다 소비를 많이 하는 편은 아니고, 식사도 직접 만들어 먹는 쪽입니다. (주 1회 외식)

운동은 둘 다 테니스만 하고 있고, 기회가 된다면 골프를 배우고 싶지만 꼭 필요한 사항은 아닙니다.

혹시 가사 도우미 관련하여, 저희는 주 2,3 회만 도움을 받고 싶은데 혹시 이 경우 도우미분을 찾기 어려운가요?


- 의료 보험 관련

싱가포르는 국가 의료보험이 잘 안되있다고 본것 같아서, 혹시 개인적으로 보험을 해야할 경우 어떤 보험이 있고, 가격이 어느정도인지 알고 싶습니다.


- 연금/ 세금 관련

현재 저희는 Expatriate contract 가고자 하는데요, 이 경우 연금을 내는것의 의무 사항인가요? 

덴마크에서 내고 있는 연금을 유지하고자 하는데, 그렇게되면 2개국 양쪽으로 내야하는 상황이 생기는 것이라, 회사와 조율을 해야할것 같아 알고 싶습니다.


- 물가 상승률/ 환율 관련

저희가 2년 계약을 하게되는 매년 물가 상승률 대비하여 계약을 변경할 수 있는데, 대략 물가상승률이 (코로나 이후 상황 제외) 어느정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월급을 덴마크 본사에서 지불하면, 그에따라 싱가폴 환율 변화에 따라 받게되거나 고정환율을 따르게 되는데, 어떻게 정하는 것이 좋은이 알고 싶습니다. (5년 환율 변화를 보았지만 어떻게 하는것이 맞는 것인지 결정이 서지 않습니다.)


- 추가 사항

혹시 추가적으로 회사와 네고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자 채택답변]
  • Re: 주재원 계약 시 고려사항 문의드립니다.
  • 늘공 (coolpp)
  • 답변 : 63건
  • 답변채택률 : 4.76%
  • 2023-08-13 13:14

쪽지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질문자 채택답변]
  • Re: 주재원 계약 시 고려사항 문의드립니다.
  • macarios (macarios12)
  • 답변 : 24건
  • 답변채택률 : 16.67%
  • 2023-08-15 11:28

업무시간/휴가

업무시간은 회사 마다 다르고, 제 경험 상 보통, 주 40 시간이 기본이고, 요즘엔 유연하게 재택하는 곳도 많습니다. 휴가는 보통 18일부터 시작하며, 병가 14일 별도로 주어집니다. 병가의 경우 하루는 MC 없이 가능하고, 이틀 이상의 경우 MC 제출이 요구 됩니다. 


거주

사실 살다보면, 소위 시내라 하는 오차드나 downtown에 갈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 한국에서 강남 갈 일 자주 없는 것처럼.. 집도 무조건 시내가 비싼 것은 아닙니다. 요즘 MRT(전철)가 east coast 쪽으로 생겨서 그 쪽이나, 유럽인들이 선호하는 Roberson quay 쪽이 비싼 편입니다. 콘도는 요즘 보통 방 두개가 4000불 시작이며, 쇼핑몰이 연결된 주상복합 콘도는 보통 6000~7000, 좀 비싼 동네는 9000불 정도 합니다. 차량의 경우, 라이센스 포함 보통 20만불에서 시작이며, 만약에 자가 부담일 경우, upfront fee 제외하고 월 1500 ~ 2000 불 정도 지불이 필요 합니다. 


생활비

두 분이시고 외식이 잦지 않으시면, 월 2~3000불 보시면 되고, 나머지는 가스 전기료는 약 150, 핸드폰+wifi 약 150 (플랜에 따라 다름), 소득세는 첫해는 안내시고, 다음해 부터 보통 10% 부과됩니다


의료보험

CPF라고 해서 싱가포르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는 의무적으로 소득세 이외에 이 부분을 내야 하고, 이는 의료와 교육비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를 내지 않는 외국인의 경우, 의료사보험이 필요합니다. 보통의 회사보험은 주로, 수술비 입원비 등이 커버가 가능하고, 외래 비용은 보통 회사의 Flex benefit으로 충당이 됩니다. 외래는 GP clinic의 경우 보통 100불, specialist의 경우 200 불에서 시작합니다. 외래까지 커버되는 사보험은 따로 찾아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연금

앞서 언급드린 CPF에 연금도 포함입니다. 외국인은 이에 해당이 안되며, 요즘 외국인도 장려하고 있는 SRS 의 경우, 의무는 아니고 본인 부담으로 연금 적금을 부으면 소득세가 감면되는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물가상승률

최근 코로나 이후 수입품의 경우 수입국에 따라 약 10~20프로 정도 오른 경우도 많지만, 일반적으로는 레포트 확인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최근에 GST가 상승하였는데, 코로나 이전 7%에서 현재 8%이고, 내년에 9%로 오를 예정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2749

기타국제학교 가디언비자 불가한 상황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민트초코칩(kek821005) 2023-12-01
추천수 : 0 조회수 : 331

퍼스 국제학교에 입학허가서를 받고 입학금까지 입금한 상황인데 가디언비자가 불가하다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부모의 비자에 따라 입학이 불가한 학교는 알고있었는데 이런상황은 전혀 알지못했던 거라 너무 당황스럽네요. 학교에서는 환불도 안 된다는 입장이고 1월 입싱에 학교를 다…

  • A

    아이의 학업과 연관이 되어있어 제가 보기에도 너무 안타까워서 답변 드리는데,이미 아이는 입학허가를 받고 입학금을 지불한 상태에(즉 아이는 학생비자를 받을수있기 때문에 싱가폴 입싱 및 거주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서 환불도 안되고 무엇보다 중요한건 아이가 학교를 가야하는것이니, 아이부터 비자가 필요없는 싱가폴 로컬사람이나, 원하신다면 같은 한국인 PR자를 선택해서 홈스테이방식으로 보호하면서 학교를 보내고 차후에 이 학생 부모님?(친지) 비자 문제를 차차 생각해보시는것도 괜찮을것같은데요... 제가 알기로는 아이의 부모님이라면 당연 순위로 아이의 가디언이 될수있는거죠, 다른 사람일지라도 관련되는 서류를 잘 갖춰서 신청해서 제출하면 허가가 나겠죠, 그러기까지 시간이 걸리는것이니까...  

Q

NO.12746

부동산불법임대인지 조언 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밀키7(milky79) 2023-11-20
추천수 : 0 조회수 : 1,070

안녕하세요,집주인은 없고 테넌트들끼리 사는 콘도에 몇달 전에 방 하나를 임대해서 들어왔고, Stamp duty도 Singpass로 로그인해서 결제했습니다.계약한 사람을 집주인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며칠 전 자신이 실제 집주인이다.라는 사람이 나타났습니다.자신은 한사람이…

  • A

    실제 집주인이 현재 상황을 보고서 미리 경고를 해준 것이기 때문에 저라면 이사할 집을 알아보겠습니다. 신고할 것 같지 않다고 하는 것은 짐작일 뿐 집주인은 자신의 집을 재임대해서 영업하고 있는 그 테넌트를 곱게볼 리는 없거든요. 콘도와 HDB 임대계약은 6개월 이상인데 그 집에 단기로 머물다가 가는 사람들이 있다거나 하는 상황이라면 이웃들 중에 누군가가 소리소문없이 신고할 수도 있고 집주인도 자기가 그 현장을 본 이상은 조치에 따라야 할 것입니다. 저라면 적어도 PlanB를 준비해 둘 것입니다. 

    1
  • A

    stamp duty, 인원제한 이런거 상관없이 그 분이 실제 집주인이라면 집주인 동의없이 한 subletting 이라서 불법입니다. 거기다 집을 개조까지 했다면 벌금이 더 커질것 같습니다. 실제 집주인은 https://www.sla.gov.sg/regulatory/property-ownership 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1 채택답변
  • A

    집주인이 스리슬쩍 그런말을 던지고 갔다는건 힌트를 준거죠. 사실 집주인 입장에선 당장 월세 잘 들어 오고 월세가 괜찮은 가격이라면 현 메인 테넌을 쫓아낼 이유는 없어요.  문제는 집세가 상승하거나 월세를 올려 받고 싶늘때 현 메인 테넌을 언제든 쫓아낼 키를 쥐고 있는거죠. 디파짓 다 몰수하고 원나복구나 손해배상 까지도 청구할수 있죠. 서브렛한 입장에서 메인테넌과 집주인 사이분쟁이 생기면 당장 방을 빼야할 위험도 있고 내 디파짓도  돌려받는다는 장담을 못하고… 집주인이 힌트 주고 갔네요.  

    1
Q

NO.12738

사업/직장EP비자 수속중 발생한 이슈 질문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완료
크랜필드(hsho92) 2023-11-07
추천수 : 0 조회수 : 1,013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트에 이어 다시한번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ㅎㅎ 양해 부탁드려요~저를 채용하는 회사에서 visa agent통해서 EP발급을 진행중에 있는데요. 중간에 agent한테 연락받고 application form 채워달라길래 작성하여 제출했습니다. 갑자기 …

  • A

    법령으로 규정되어 있지않은 어디까지나 회사 역량이기때문에 무조건 visa 관련 비용은 모두 회사가 부담해야하는 근거는 없지만,통상적으로 근무를 위한 비자발급, 임시거처에 대해서는 회사가 지원하는것이 보통 관행이긴 합니다.다만 비자발행 프로세스가 변경됨에 따라 회사측에서도 아직 관련 규정이 없거나 혹은 인사부서와 에이전트간의 의사소통이 안되었다던지 등 여러가지 사유로 인해 부득이하게 질문자님께서 먼저 지불을하고 진행 중이실거로 생각이 듭니다.따라서 다른 회사와 비교하는것 이전에 어차피 입사 확정이시고 그에따른 절차진행중이시니 인사팀에 정중히 상황설명하고 추후 환급이 진행되도록 요청하시는게 더 빠른 답변을 받으실 것을 보입니다-

    1 채택답변
  • A

    EP 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개인이 돈을 내는 경우는 전혀 일반적이지 않아요. 개인이 먼저 내는 겨우라면 비용 처리에 대해서 명확하게 전달 받아요. 즉, 결국에 회사 부담이 맞습니다. 지금처럼 비자 과정에서 매끄럽지 않다면 채용 매니져와 먼저 얘기하시는게 훨씬 더 효율적이예요.HR은 급하지 않고 비자 과정 중에 중간에 발생한 비용에 대해서도 아웃소싱 줬으니 크게 관심이 없을 수 있습니다. 채용 프로세스의 비용을 줄이는게 HR은 KPI기도 하니 굳이 먼저 나서지 않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님의 채용 매니져는 입장이 달라요. 채용한 직원이 소프트 랜딩할 수 있도록  HR에 가장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이예요. HR에 컴플레인도 가능하고 일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푸쉬도 가능해요. HR입장에선 채용 매니져는 내부 고객이기도 하니 채용 매니져에게 비용 과정 중에 개인 비용이 발생했고 처리여부를 물어보세요. 이건 매니져가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예요.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