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기타
  • SMU의 MPA 과정 및 ERC의 MBA 과정
  • 금동이 (emsoojongkim7)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11-05-16 13:55
  • 답글 : 0
  • 댓글 : 6
  • 2,057
  • 24
한국에서 중견 건설회사의 회계 업무를 4년째 담당하고 있는 33세 직장인(남)입니다. 대학은 이른바 명문대라는 곳을 나왔는데 학과공부에 소홀해서 평점은 3점대초반으로 좋지는 않네요. 전공은 경제학이었구요. 싱가포르 유학 및 취업을 생각하고 있는데, 현지 사정에 밝으신 분들께 여쭙고 싶은 점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1. SMU의 MPA (Master of Professional Accountancy) 과정 - SMU는 싱가포르 3대 로컬스쿨이라는 것은 알구요, 그만큼 레벨이 있다는 것두요. 그런데 이 과정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어서요. 아시는 분 있으시면 이 과정의 경쟁력이나 전망이 어떤지 평가 부탁드립니다. - 학위 취득 후 소정의 연수 과정을 거치면 회계사 자격증을 준다는데, 말 그대로 소정의 연수 과정인가요, 아니면 회계법인이나 회계사사무실에 취업해서 경력(시보?)을 쌓아야 한다는 얘기인가요? 2. ERC Institute의 MBA 과정 유학원들을 통해 근래 많이 홍보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성적 우수자는 유수의 현지 기업에 취업보장이라는 조건 때문인 듯 하네요. - ERC Institute의 현지에서 평판과 신뢰성이 어떤지요. 교육과정의 내실과 경쟁력은요? - Master 과정 75/100 이상의 성적이면 장학금 수여와 함께 현지 유수 기업에 취업을 보장한다는데, 이 조건이 과연 믿을만 한 건지요? 의심을 하자면,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점수를 짜게 줄 수도 있고, 오퍼되는 일자리의 질이 저급할 수도 있겠구요. - ERC에 제휴되어 있다는(달리 말해 취업시켜 줄 수 있다는) 기업체들의 목록이 다음과 같은데요, 다른 건 잘 모르겠고, UBS와 우리은행이 있는게 이채롭네요. 다른 기업은 현지 기업들 같은데 전반적으로 어떤지요. 그리고 과연 이 리스트도 신뢰할 만 한지? 1. Andy Ong : ERC CEO ERC Group of Companies ERC Holdings Entrepreneurs Resource Centre ERC Consulting ERC Institute ERC Executive Search Gryphon Capital Management 2. Kenny Yap : Executive chairman & Managing Director Qian Hu corporation Ltd 3. Lydia Ong : Director El-elyon Management Pte Ltd 4. Douglas Foo : Founder & Chairman Apex-Pal International Ltd 5. Paul Stefansson : Executive Director UBS 6. Alvin Ch’ng : Vice President E-news MediaCorp News Pte Ltd 7. Louis Aw : Group Managing Director Container Bridge Pte Ltd 8. Roger Lim : CEO Webvisions Pte Ltd 9. Julian L. sandt : CEO Orchid Capital 10. Adam Khoo : Founder & CEO Adam Khoo Learning Technologies Group 11. Yeo Nai Meng : Managing Director GPS Online 12. Yoon Byung Chul : Founder & CEO Woori Financial Group, Korea’s 2nd Largest bank 13. Sonu Shivdasani : Chairman & CEO Six Senses Hotel Resorts & Spas 14. Chanitr Charnchainarong : Vice President Vnet Capital Co. 15. Rena Udomkunnatum : Founder & Owner FQNL Thailand 16. Swake Srisuchart : Chairman & CEO Power Line Engineering Public Company Ltd, Thailand 17. Dr Richardus Eko Indrajit  : Chairman Stmik Perbanas Indonesia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00

기타연봉 조건 다시 질문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14
답변진행중
mika03(febalis) 2011-07-09
추천수 : 18 조회수 : 4,555

지난번에 연봉 관련 문의를 드렸는데.. 쉽지 않네요. 그리고 조건이 매년 계약 갱신입니다. 회사에서는 여건이 나쁘지 않으면 매년 갱신은 어 싱가폴 쪽 오퍼가 거의 현재 환율로 억대이상 넘어가는 것이라서 좋아했었는데, 막상 최근 10년간 환율을 따져보니 평균7천 정도로 …

  • A

    사회생활 조금 더 경험해 본 사람의 하나로써, 물론 전적으로 개인적인 내용이니 정답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만, 행여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몇글자 남겨봅니다..   말씀하신 연봉수준은 한국이나 싱가폴이나 얼추 비슷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삶의 질 측면에서는 한국이 좀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보는 사회생활은 대학생활과 나름 비슷해서 대학생활 처음 1~2년은 전공보다는 기초를 다지는 교양과목 위주로, 나머지는 전공을 결정해서 가는 것처럼, 사회생활도 처음 4~8년정도의 경력이 되면 자기 적성이나 미래를 고려해서 중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리라 생각됩니다..   일단 연봉도 중요합니다만, 경험상 다음 몇가지는 고려해 보시는 게 어떨까요.. -. 연봉대비 생활수준..  이건 어느정도 댓글로 이해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흔치 않은 경우이긴 합니다만, 때론 미래를 위해 이 부분의 희생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더 멀리 뛰기위해 뒷다리에 힘 빠~악~ 주고 움츠렸다가 뛰는 것과 같죠.. -. 자신이 추구하는 미래를 위해 필요조건인지 충분조건인지..  내가 결정하게 될 미래가 내 인생에 있어서 마이너스로, 또는 제자리 걸음으로, 아님 중요한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할지..  이건 자신을 보는 관점입니다..   -. 자신을 원하는 조직에게 있어서 나의 value는 무엇인지..  (한국에서 파견된 주재원을 제외한  해외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우리는 용병이라 부릅니다만)에게는 이게 상당히 critical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에게 뭔가 특별한게 있는지..  그게 언어가 될 수도 있구요, 그 조직에게 필요한 능력이나 경력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구요, 여러가지 경우수가 있습니다만, 그걸 빨리 파악하시든지 아니면 그걸 유추해 보시면 조직에서 내게 무얼 바라는지를 아실 수 있을테고, 자신이 가야할 길도 분명해지겠죠..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직장생활을 계속 하신다는 전제하에 매 6개월마다 자신의 resume를 한번쯤은 점검해 보세요..  단순히 남에게 보여지는 resume를 말씀드리는게 아닙니다..  자기 자신과의 약속에 얼마나 충실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자연스럽게 이는 타인이 보는 시선으로 이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발전된 모습이 없거나, 또는 일관성없이 직장생활을 하신 분에게 면접관은 흥미를 쉽게 잃을거라 생각됩니다..   요약해서 말씀드리자면 용병(우리 처지를 빗대어)에게 있어서 칼자루를 누가 쥐느냐에 따라 deal의 질이 달라집니다..  현명한 판단으로 미래에 웃으실 수 있길 바랍니다.. -. >지난번에 연봉 관련 문의를 드렸는데.. 쉽지 않네요. >지금 싱가폴 쪽은 네고 결과  하우징 서포트 없이 월급이 8200 SGD 로 결론 났고요. >그리고 조건이 매년 계약 갱신입니다. 회사에서는 여건이 나쁘지 않으면 매년 갱신은 어렵지 않다고 하고요 >한국은 서울에 IT 대기업에서  오퍼가 났는데, 연봉이 정확하게 6천만원입니다. 성과급 이런거 모두다 포합해서요. >정규직이고 나름 안정적인 직장이라고 알려진곳이고요. > >현재 연봉으로보면 싱가폴 쪽 오퍼가 거의 현재 환율로 억대이상 넘어가는 것이라서 좋아했었는데, 막상 최근 10년간 환율을 따져보니 평균7천 정도로 봐야 할것 같기도 하고... > >한가지 또다른 주변에서 가끔 듣는 조언이 싱가폴쪽 IT 경력이 한국에서 별로 인정못받는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한국으로 다시 취업하기도 힘들다고 하기도 하고, 지금 나이가 30대 중반이라는 점도 걸리는 점이고요. >미국에 산지가 이제 10년인데, 이제 더 살고 싶지 않아서 정리할려고 합니다. >어떤게 좋은 선택일까요?     

    4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