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사업/직장
  • 싱가폴 취업관련
  • 럭셔리미쓰리 (ryeppojin)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15-12-02 16:09
  • 답글 : 4
  • 댓글 : 6
  • 4,139
  • 0

현재 한국에서 외국계 기업 재직중인 여사원입니다. 무역관련 쪽에서 일하고 있구요 참고로 2년 됐습니다.

싱가폴이라는 나라,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져 있어 참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고 생각듭니다. 지금 한 살이라도 더 어릴 때 외국으로 나가 경력을 쌓고 싶은데요,  하여, 싱가폴 취업에 관하여 선배님들에게 조언을 듣고자 해서 글을 적어봅니다.

1. 현지인들이 많이 이용한다던 JOB street이나 linkedin 을 이용해 보았는데, 연락도 잘 안오고 여기저기 들어보니 외국인들에게 비자를 잘 안준다더군요. 혹시 Job을 구할 때 보통 어떻게 구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 에이전시들과 상담도 해보았는데 급여문제가 굉장히 걸립니다.보통 싱달라 2000이 안된다고 하던데,, 초봉을 이정도 받나요? 제가 알기론 집값이 어마어마한 나라인데.... 싱달라 월 2000이 안넘으면, 다들 어떻게 생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한시라도 빨리 싱가폴에서 일하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톨킨 (rings)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25%
  • 2015-12-02 21:00

원하시는 답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만..

업/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졸업 후 2년이라는 기간은 실무경력으로 인정받기 어렵지않나 생각합니다 (해외 취업시).
따라서 질문하신 분의 경우, 한국에서 싱가폴의 잡을 찾는 것을 감안할 때, 직접 지원하기 보다는 에이전시를 통해 잡을 찾는 것이 비교적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급여는 회사마다 또 하는 일에 따라 천차만별이니 같은 업/직종이 아닌 이상 조언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대략 보고 들은 바를 말씀 드리면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싱가폴 4년제 대학 졸업생인 경우 신입사원 급여의 중간 그룹이 3천초반에 형성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에이전시가 말한 2천은 3년제 폴리테크닉 졸업생 또는 그와 동등한 레벨의 구직자에게 적용되는 임금 수준 같습니다. 그럼에도 생활이 가능 한 것은 현지인들은 부모와 동거하기 때문에 주거비가 들지 않기 때문이겠고, 동일한 임금이라면 외국인들의 생활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가늠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오브코사 (totalart)
  • 답변 : 24건
  • 답변채택률 : 0%
  • 2015-12-02 23:16
에이젼시 사기꾼 많습니다 조심하세요. 4년제 졸에 2년 경력이면 못받아도 4천이상은 받습니다. 받아주느냐 안받아주느냐가 문제죠. 직접 apply하시길 추천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yolo.alice (unme88)
  • 답변 : 8건
  • 답변채택률 : 0%
  • 2015-12-03 15:05

다른 건 모르겠고요.

에이전시 믿지 마세요.

에이전시는 질 좋은 일자리 취업시키는게 아니라 그냥 무작정 취업시키는게 목적이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소개해주지도 않고요.

자기일처럼 챙겨주지도 않습니다. 알선료로 내는 비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요.

(직접 경험담입니다.)

 

한국에서도 취업 쉽지 않잖아요?

아직 도전하신지 얼마나 되신지는 모르겠으나

좀 더 도전해보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 싱가폴 취업관련
  • 꼬꼬1208 (million09)
  • 답변 : 239건
  • 답변채택률 : 20.5%
  • 2015-12-04 00:02

안녕하세요.

저는 기계 공학을 전공하고 현재 싱가폴 로컬에서 건설 설계쪽에 일을 하고있는 한국인 노동자입니다^^

남일 같지가 않아서 몇글자 남깁니다.

우선 현지인이 많이 이용하는 잡스트릿이나 링크드인은 말그데로 현지인이 많이 이용하는 것입니다.

외국인에 대한 오퍼를 찾을수는 있지만 거의 원하는 잡을 매칭할수 있는 경우는 드물고요. 대부분 Permanent입니다.

외국계무역회사라고 하셨는데 회사에서 법인이 어떻게 나눠져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외국 본사나 혹시 싱가폴 이 있다면 해외 사업부 주재원 파견 쪽으로 관심을 가져보시는건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장단점이 있지만 확실히 대우가 다릅니다.)

우선 글로벌 업체가 아닌 일반 로컬 업체 HR부서에서 주변 사람의 추천 없이 외국인(한국인)을 서류만 받아서 면접까지 보는 경우는 0%에 가깝구요.(드물게 몇몇 케이스를 보긴 했지만 로컬에서도 얼마든지 인력을 구할 수 있는데 굳이 귀찮게 서류를 만들고, 외국인 채용에 대한 규제를 커버해가면서 외국인을 채용하고 싶어하는 회사는 드뭅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일부 대기업은 OPEN DAY를 통해서 국적에 상관없이 한국의 채용 설명회 같은 방식으로 당일에 바로 인력을 뽑는 경우도 보았습니다만 정보를 구하기가 정말 어려우실 겁니다.

한국인이라는 점은 함께 일하는 친구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수 있는 매우 강력한 장점 중에 하나이지만

한국인 노동자에 대해서 고용주들에게 인식이 매우 나빠지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 한국인이 저를 포함 3명이 었습니다만 한 명이 3개월 차에 치과 치료를 목적으로 한국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아 본사에 들어갈때 마다 그 친구 어디갔냐고 저한테 물어봅니다. 제가 휴가라도 제출하면 한국으로 영원히 돌아가는거냐고 리자인 레터는 어디있냐며 장난으로 말하곤 합니다./

와이프 회사는 사원수 7000명 규모의 대기업인데 재작년부터 한국인 채용을 금지한다는 써큘러가 돌았다고 합니다. 이유인 즉 1년도 못채우고 떠나는 사람이 태반이고 몰래 도주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와이프 회사는 교육비에 대한 2년의 본딩이 있습니다. 와이프가 입사한 후 3년이 지난 지금 같은해에 입사한 30여명 정도 되었던 한국인들이 현재 3명 남았다고 합니다.^^ 꼭 한국인만 그런건 아니지만 근태나 아무튼 퇴사 관련래서는 문제가 많았다고 합니다.

 저도 그동안 로컬 친구(나이가 저보다 20살은 많습니다^^)가 HR로 있는 회사에 두군데 정도에 학교 후배 한국인을 소개 시켜 줬습니다만 어느날 갑자기 연락이 와서 그 사람이 연락이 안된다고 해서 곤란했던 적도 있습니다.

아무튼 무역쪽은 한국 에이전시쪽으로도 오퍼가 자주 올라 오던데 가급적이면 한국에이전시 보다는 로컬에이전시를 추천드립니다. 뭐 소개라는 게 말이 말이 소개지 사람팔아서 장사하는 애들이라 그 직업 자체가 사기꾼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래도 정말 아무 연고도 없이 직업을 구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감사한 직업입니다^^ 믿을 만하지는 않지만 우선 입싱하시는데 확실한 해결책이라 생각합니다.

급여 문제가 굉장히 걸리실 겁니다. 2000달러 안되는거 맞습니다. 싱가폴 로컬 대학을 졸업하고 입사를 해도 초봉은 3000전후입니다. 또한 외국 대기업의 해외 사업부에 입사를 하더라도 3000 그 이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실력이 있으시다면 업계에서 금방 두곽을 드러내실 겁니다. 추후에 이직 제의를 받는다면 현재 급여에 2배는 기본이고 3배까지도 가능합니다.(제 경험입니다) 그때는 귀찮게 들어보지도 못한 공증받은 서류 이런거 요청안합니다 그냥 최종 학교 졸업증명서랑 여권사본, 통장사본, 현재 직장에서 비자 cancel letter만 달라고 합니다.

 

집값이 어마어마 하지만 월세를 내고 방을 쉐어하면서 대부분 살아가구요. 저는 운이 좋게 홀 유닛을 렌트하는 기분으로 방을 쉐어하고 있지만 그 전엔 지금보다 2배의 돈을 방값으로 내고 말도 안되는 방에 살았습니다. 예전에 방 승계글 올린적 있으니 한번 찾아보시면 '헉' 할겁니다^^

한국에서는 매우 저렴한 가격 국산차나 여유가 좀 되신다면 벤츠나 bmw같은 차를 살수 있지만 여기선 3년~5년 정도 운행 가능한 중고 벤츠가 한국에서 동급 모델 새차 가격이더군요ㅋ 아무튼 차를 타도 한국처럼 불법주차를 할 수도 없고 어차피 주차장까지 많이 걸어야하고 시내는 원웨이 시스템이 많고 특히 길위에서 ERP라고 써있는 표지판이라도 보이면 그자리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싶어집니다 ㅎㅎ 그냥 지하철이랑 버스가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것 같습니다.

한국인의 생활 수준은 매우 높지만 싱가포리안은 국민 소득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한번 살아 보시면 껍데기만 화려하다는 것을 많이 느끼시게 될겁니다. 아무튼 1000불 정도면 기본적인 의식주 생활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다지 화려한 라이프 스타일이 아닙니다. 더 낮은 금액도 가능하지만 월 1000불은 되어야 '아 내가 싱가폴 노동자구나'하는 느낌이 나실 겁니다. 물론 월 1000으로 어떻게 살어 하시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충분히 나만의 독립된 공간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혼자 조용히 공부하고 잠자고 씻고 할수 있는 삶이 가능하십니다. 그 밑으로 내려가려면 운이 좋으시거나 아님 '내가 지금 신분제 사회를 살고있는 노예인가' 싶을 겁니다^^

또한 2200미만은 wp로 시작하시게 되는데 굉장히 차별적인 대접을 받는 다는 느낌을 많이 받으실 겁니다. 계좌 오픈이나 휴대폰 개통, 기타 기본적인 공공 서비스를 받는데 있어서요. 저는 모든 명의를 와이프껄로 해서 그런거 없었는데 같은 wp 애들 말 들어보면 똑같은 데이터플랜을 사용해도 요금이 다르고(할인율 때문입니다.) 계좌도 처음 오픈할때 보증금액이 다르고 신용카드는 아예 불가능 합니다.

작년까지만해도 제가 관광와서 3일동안 쓴 호텔비만 2000불 정도였는데 지금은 그 반 정도로 한달을 살아 가고 있습니다. 물론 의식주 이외에 외식과 문화 생활을 위해 그것보다 훨씬 더 쓰지만 기본 의식주 해결 비용을 말씀 드리는 겁니다.

제가 처음 입싱할때 회사 사장이 정말로 싱가폴에서 일하고 싶은게 진심이냐고 물어본 기억이 납니다. 별 의미 없이 들었는데 지금은 왜 그런지 알 것 같습니다. 외국인 노동자로 살아간다는건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어떤 계기로 입싱을 결심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단지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져 매력적인건 공항에서 롤스로이스 픽업 서비스로 마리나베이 쪽에 있는 다양한 5성급 호텔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다음날 벤츠 택시를 타고 오차드 거리를 쇼핑하며 양팔과 다리가 무거워 질때 쯤 한국에서 보기힘든 이국적인 식당에서 신선한 재료로 만들어진 식사를 하며 다른 테이블에 앉아 이름 모를 음식을 맛있게 먹던 하얀 피부에 파란 눈동자를 가진 아이들을 떠울리며 창 밖이 훤히 보이는 욕실에서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고 하루의 피로가 풀릴 때쯤 느낄 수 있는 매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출퇴근 길에 서울 사당역 만큼은 아니지만 비슷한 지옥철을 타고 지금껏 단 한번도 맡아보지 못한 체취를 온몸에 베이며 뒷쪽에 빈공간이 많지만 문 근처에서 절대로 움직이지 않는 인디안과 차이니즈를 보며 잠시 화가나려는 찰나 어디선가 들리는 영어인지 중국어인지 호켄인지 알수 없는 사람의 목소리를 접하셨을때 드시는 생각은 아마 매력 그 이상일 겁니다.^^ 

그냥 제 경험에 비추어서 두서없이 몇글자 적어봤습니다만 글이 상당히 길어졌네요^^ 

글쓰신 분이 시작하려는 길이 저랑 비슷한것 같아서 그렇게 시작해서 이렇게 사는 삶도 있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이제 6개월 밖에 안되었지만 아직은 희망적인게 더 많네요^^ 

그리고 면접볼때 제가 사장한테 했던말입니다 다양한 문화가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이 나라가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댓글목록

john.kim님의 댓글

john.kim (kcs0213)

제가 싱가폴 살면서 느꼈던 소감을 정확히 적어주셨네요. 지옥철같은 MRT 타기 싫어서 풍골까지 가서 거주하고 출퇴근을 30분 이르게 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expat인 입장이라 칼퇴를 하더라도 별말 안들었겠지만 현지에서 취업한다면 특히 wp같은 저임금 노동자였다면 야근은 다반사이겠지요.

껍데기라는 말 백번 동의합니다. Telok Ayer나 CBD에서 가끔 보이는 한국 여행객들이 생각나네요. 살면서 한두번 스쳐 지나가는 것과 사는 것은 천양지차니까요. 친구와 가족이 있는 한국이 좋아요. 지금은 시드니에 뿌리내리고 살지만 저라면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면 한국을 택하겠습니다.

꼬꼬1208님의 댓글의 댓글

꼬꼬1208 (million09)

네^^ 그치만 전 친구와 가족이 있는 한국보다는 여기(?꼭 싱가폴이 아니어도 됨)가 좋은것 같네요. 잠시 멈춰서 그동안 제 과거를 반성도 할수 있고, 쓸데없는 인간관계가 정리되는 느낌이 너무 좋네요^^ 가족이 그립긴 하지만 한국으로 여행을 가는게 그렇게 무리는 아니여서^^ 그냥 한국에도 거점이 있고 여기도 거점이 있는 그런 느낌이 너무 좋네요^^ 물론 제껀 없지만 ㅎㅎㅎㅎ

john.kim님의 댓글의 댓글

john.kim (kcs0213)

네 무슨 말씀인지 알겠습니다. 저도 약간의 희생을 통해 더 넓은 시야를 갖게 된다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희생이 약간의 범위를 넘어선다면 그건 재고할 필요가 있겠지요. 싱가폴은 겉과 속이 다른 나라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임금의 노동자와 그걸 바탕으로 화려한 겉을 유지하는 일부 부유층의 세상 말입니다. 잠시가 아니라 언젠가 싱가폴을 제 2의 정착지라고 생각하는 날이 오면 여러 불합리함이 더 크게 다가오리라 생각합니다.

kca님의 댓글

kca (cba123)

윗글에 나온 내용들이 실제로 살아가는 한국인들이 느끼는 감정인듯 싶어요.
관광으로 와서 잠깐 느끼는거랑 외국인으로 살아가는건 많은 차이가 있는것 같네요.
얼마전 다큐프로그램에서 해외취업에 관한 특집을 다룬적 있었고, 그 방송을 통해 많은 한국 청년들이 희망과 꿈을 가지게 되었다고 들엇어요 (페이스북에서 쉽게 찾아볼수 있엇네요).
캐나다, 대표적인 복지국가들인 북유럽 국가들, 아시아국가로는 싱가포르, 일본등이 소개되더군요.
제가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느낀점은 두가지엿어요.

첫번째는 많은 한국청년들이 구직을 원하고 있고, 한국내 이미 취업한 청년들도 힘든 업무환경속에서 근무를 한다는거였고

두번째는 성공적인 해외취업만 방송에 보여졌을뿐, 그 외에 힘든점,리스크등등에 관한 부분은 전혀 방송에 나오질 않더라구요.해외취업을 하면서 가장 먼저 고려해 보아야할 사항인데도 말이죠.
방송을 보면서 해외취업에 관한 희망만 키워주고 한국내 취업에 대한 불만만 키워줄거란 생각이 들엇어요.

지나치게 과열되고, 경쟁을 해야만 하는 한국보단 싱가폴이 업무 강도가 약한건 사실이지만, 실생활에 관한 기대 수준은 한국에 비해 못미치는게 대부분의 여기 거주하고 계신분들이 가지는 공통점이라 생각되네요. (모든게 비싸고, 어디 아프기라도 하면... 생각하기 싫어지네요)
잘 준비하시고 성공적으로 취업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꼬꼬1208님의 댓글의 댓글

꼬꼬1208 (million09)

네^^ 공감 감사합니다^^ 다큐~ 저도 예전에 학창시절에 해외 봉사활동 다니면서 많이 몇편 촬영해 봤습니다.
당시에는 해외자원 봉사를 널리 알리고 많은 대학생들이 참여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짧게 몇편을 제작해보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정말 좋아보이게 포장하려고 했던것 같습니다^^

작가의 주관으로 어디까지나 보는 이들에게 작가가 원하는 마음 한 구석의 공감과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짜집기 된 터라 카메라가 비치지 않는 반대편의 모습은 실제로 그곳에 있었던 사람만 알수 있죠^^

많이 고생해보신 분들이 좋은 의견으로 좋은 커뮤니티를 운영해 나간다면 싱가폴 한인 사회의 미래는 밝을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전 현재의 한인 사회는 좀....^^

암튼 타지에서 몸아프면 제일 고생입니다.
몸조심 하시고 대부분의 현지 의료서비스 또한 정말 믿기 힘든 정도로(국군병원 수준) 엉성하기 짝이 없으니 부디 아프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정반장님의 댓글

정반장 (manshu)

정말 솔직담백하게 잘 적어주셨네요. 잘 읽었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38

사업/직장현지에서 취업하신 분들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진행중
쨩(kimsoohee92) 2016-02-29
추천수 : 0 조회수 : 3,831

한국에이전시를 통해서 취업준비를 하다가 이런저런 문제가 많아 무작정 혼자 싱가폴에 가서 직접 취업을 하려고 합니다 지금 싱가폴에서 취업하신 분들중 현지에서 어떻게 취업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뷰티전공이라 샵쪽으로 가고싶은데요 영어를 좀 못해도 가능할까요 ㅠㅠ 현지 에이…

  • A

    뷰티 쪽이면 facial massage 말씀하시는 건가요? 제가 그쪽으로 취업한건 아니고 몇군데 마사지를 받아 봤는데 영어 잘하는 사람이 별로 없던데요. 대부분 중국이나 말레시아에서 온 젊은 여성 들이었습니다. 잘은 모르겠지만 여기 샵에 직접 이력서 보내도 되지 않을까요? 좋은 직장 구하시길 바랍니다.     

    1
  • A

    조금이나마 도움이될까 싶어서 답변남겨요. 저도 뷰티쪽이 아니라 자세한 답변은 못드리지만.. 제가 취업한 이야기를 조금 해드리자면.. 저는 맨처음 올때는 한국에이전시 통해서 왔는데  근무환경 및 여러가지 문제때문에 딱 6개월 채우고 그만둔다고 말한다음에 관광비자로 있으면서 제가원하는 5성쪽 호텔로 이직에 성공했습니다 기간은 약 2개월정도 걸렸네요 (2015. 12월 1일~  2016. 2월4일 )  시기가 너무 안좋아서 힘들었어요 중간에 한국에이전시 및 현지에이전시 도 이용해봤지만.. 믿음직스럽지도 못하고 이상한 일자리만 알선해줘요.  자기들의 목적은 직업만 알선하면되니깐 구직자 입장을 생각안해요. 저는 관광비자 있으면서 비자기간이 끝나가니깐 심적으로 많이 불안했어요  에이전시 비용도 엄청비싸요; 정말 좋은 에이전시 만나면 다행인데 세상일이 자기가 원하는데로 대는게 아니잖아요 저는 그래서 에이전시 이용안하고  혼자서 싱가폴에있는 4~5성 호텔 이력서 다넣어서 연락와서 면접보고 합격했 어요. 제가 드리고싶은 말은  준비를 많이하고 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무작정 오셔서 이력서 넣고 구한다는게 말처럼 쉽지가 않은거같아요.,  숙식 비용도있고  이력서 넣을때  영어가안되면  면접을 봐도 의사소통이 안되니 깐 떨어질뿐이에요.  시간 및 돈 버리고 비자기간 끝나면 한국으로 돌아가야할지도 몰라요.   중국분이나 말레시아 분들은  싱가폴이 쓰는 언어종류가 많으니깐 영어를 좀 못해도 중국어나 말레시아 어 하면되는데 한국인은 영어라도 안되면 의사소통이 안되잖아요.,. 자기가 중국어를 잘하지않는이상. 영어 못하면 무시도 많이하고 계약서 작성할때 불이익을 받을수있어요.. 오시기전에 싱가포르 잡 사이트도  참고해보시구요.,  원하시는 직종으로 취업하시기를 기원합니다. Linkedin  ,  jobstreet  ,  indeed , jobsdb 등등..          

    1
  • A

    뷰티 전공은 아니지만 도움이 될까해서 글 남겨요. 제 친구들중 몇몇이 뷰티쪽이라서 그쪽으로 취업을 했는데요 싱가폴 내에서 뷰티쪽은 영어보단 중국어를 훨씬 많이 보더라구요. 항상 친구들 면접 후기 보면 다들 중국어를 그렇게 묻는데요. 어찌어찌 취업을 했는데 일하는 얘기들 들어보면 직원들이 영어를 못하는 직원이 정말 많고 다들 중국인이라고 마리나 쇼핑몰등 유명한 곳에서는 영어나 중국어를 정말 잘하셔야 할거예요. 특히나 뷰티는 손님을 케어하는 동안 계속해서 손님과 대화를 주고 받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그리고 제 친구들은 에이전시 통해서 취업을 했는데요 ㅇㅔ이전시를 통한다고 하더라도 영어실력이 어중간하니까 많이 힘들어는 했어요. 힘들어는 했지만 다들 취업했구요.   혹시 혼자하실거면 한국촌이나 싱가폴 현지 취업사이트들에서 보고 직접 이곳저곳 여러곳에 이력서 넣고 면접보러 다니시면서 취업하셔도 좋을거예요! 혼자서 하면 아무래도 이것저것 신경도 많이 써야하고 번거롭고 에이전시 통하는 것 보다 훨씬 힘들지도 모르지만 본인이 정말 하고자하는 의지가 강하다면 혼자서 하든 에이전시를 통하던 분명 할 수 있을거예요! 그리고 윗분 말씀도 정말 중요한 거 같아요! 저는 에이전시를 정말 잘 만난거 같아요. 하지만 싱가폴도 선진국이다뭐다 하지만 막상 살아보니.......하하하하 믿을 수 없는 에이전시 정말 많습니다. 케어도 잘 안해주는 곳도 너무 많구요. 잘 따져보고 이것저것 많이 알아보시길 바래요! 화이팅하세요!^^      

    1
Q

열람중

사업/직장싱가폴 취업관련

  • 답글 : 4
  • 댓글 : 6
답변진행중
럭셔리미쓰리(ryeppojin) 2015-12-02
추천수 : 0 조회수 : 4,140

현재 한국에서 외국계 기업 재직중인 여사원입니다. 무역관련 쪽에서 일하고 있구요 참고로 2년 됐습니다. 싱가폴이라는 나라,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져 있어 참 매력적인 부분이 많다고 생각듭니다. 지금 한 살이라도 더 어릴 때 외국으로 나가 경력을 쌓고 싶은데요,  하여…

  • A

    원하시는 답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만.. 업/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졸업 후 2년이라는 기간은 실무경력으로 인정받기 어렵지않나 생각합니다 (해외 취업시). 따라서 질문하신 분의 경우, 한국에서 싱가폴의 잡을 찾는 것을 감안할 때, 직접 지원하기 보다는 에이전시를 통해 잡을 찾는 것이 비교적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급여는 회사마다 또 하는 일에 따라 천차만별이니 같은 업/직종이 아닌 이상 조언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대략 보고 들은 바를 말씀 드리면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싱가폴 4년제 대학 졸업생인 경우 신입사원 급여의 중간 그룹이 3천초반에 형성되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에이전시가 말한 2천은 3년제 폴리테크닉 졸업생 또는 그와 동등한 레벨의 구직자에게 적용되는 임금 수준 같습니다. 그럼에도 생활이 가능 한 것은 현지인들은 부모와 동거하기 때문에 주거비가 들지 않기 때문이겠고, 동일한 임금이라면 외국인들의 생활은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가늠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 A

    에이젼시 사기꾼 많습니다 조심하세요. 4년제 졸에 2년 경력이면 못받아도 4천이상은 받습니다. 받아주느냐 안받아주느냐가 문제죠. 직접 apply하시길 추천합니다.     

  • A

    다른 건 모르겠고요. 에이전시 믿지 마세요. 에이전시는 질 좋은 일자리 취업시키는게 아니라 그냥 무작정 취업시키는게 목적이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소개해주지도 않고요. 자기일처럼 챙겨주지도 않습니다. 알선료로 내는 비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요. (직접 경험담입니다.)   한국에서도 취업 쉽지 않잖아요? 아직 도전하신지 얼마나 되신지는 모르겠으나 좀 더 도전해보세요!      

Q

NO.31

사업/직장일본계 IT 업체를 지망하고 있습니다.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완료
향링(kanghl1007) 2015-11-23
추천수 : 0 조회수 : 2,429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국가와 학교에서 지원을 받아서 해외취업 프로그램으로 싱가폴에 가게 된 대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정한 에이전시와 현재 인터뷰를 보며 잡 매칭을 진행하고 있는데, 저는 IT 업체의 customer service 쪽으로 1지망을 두고 있습니다. 제가 …

  • A

    답변 부터 해드리자면, 일본계 IT업체를 지망하신다면 싱가폴이 아니라 처음부터 일본으로 가셔야 합니다. 일본어 능력 N2 이상 자격증이 있으시다면 바로 취업을 도전해 보시고, 없으시다면 자격증 부터 준비하세요. 연수프로그램을 취소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기간은 최대한 짧게 (6개월 또는 1년미만) 잡으셔서 돌아가신 후에 일본 취업에 매진하세요. 절대 2년의 시간을 낭비 하지 마세요, 고생한 것에 비해 얻을 수 있는것이 너무 없어 보입니다 (월 1800의 급여는 차치하고). 또한 customer service 분야는 추천하지 않습니다만 굳이 이 분야를 원하신다면 Non-SQL DB, 네트웤, OS관련 교육이수/자격증 취득을 먼저 하시면 더 나은 기회를 접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프로그래밍의 자질이 없다고 판단되면 시스템 또는 네트웤 관련 직종을 선택하세요. 어중간한 프로그래밍 실력으로는 취업이 된다 하더라도 어중간한 포지션으로 지내다 조기 은퇴 당합니다.  마지막으로, 커스터머 서비스는 IT에서 최후의 보루(?)입니다. 한 번 발을 담그면 다른 직종으로 변경이 매우 어렵습니다. 길게 보시고 신중하게 선택 하세요. 노파심에 몇자 적었습니다.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쪽지로 답변 해드립니다.      

    채택답변
  • A

    아주 오래전에 일본 전자 기업들이 싱가포르에 엄청 투자를 한적이 있었습니다. 시내에 일본 사람이 넘쳐 났습니다. 지금은 한적한 쇼핑몰 이지만 클라키 근처 리안코트가 일본 관련 고급 쇼핑몰로 유명했습니다. 지금도 몇몇 일본숍 들이 있지만. 일본의 경기 침체와 한국, 대만, 중국 의 추격으로 일본 전자산업의 위상이 예전 같지는 않은거 같아요.  죄송 IT 취업에 관해서는 잘 모릅니다.             

  • A

    안녕하세요, 최근에 미국 IT회사 CS에 오퍼를 받았던 경험이 있어서 몇자 적어봅니다. 1. 일본IT회사를 입사하려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 싱가폴에는 다양한 국적의 IT회사 많고, 업계특성상 미국 IT회사가 많습니다. 일본어를 사용하시기위해 일본IT회사를 가시려는 것은 일차원 접근인 것 같습니다. 미국 IT회사도 일본어 및 한국어를 필요로하는 자리가 많습니다.   2. 에이전시라면 채용을 하고, 본인이 직접 비용(수수료)를 제공해야하는 경우인가요 ? $1,800은 우선 싱가폴에서 생활하기 너무나 적은 임금입니다. 보통 Customer Service는 No Experience Required라고 명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IT 경력이 없는 신입으로 입사하는 자리였는데 $3,600 제시 받았습니다. 그런 수수료 요구하는 에이전시 이야기 듣지마세요. 직접 일자리 공고를 찾아 지원해 보세요.   3. 위에 말씀 적으신 분대로 처음 직군을 택하면 다른 직군으로 옮기기가 어렵습니다. 저도 그런 경우를 대비하여 최종 오퍼를 받았지만 거절한 케이스입니다.   더욱 궁금한 사항 있으시면 쪽지주세요.          

Q

NO.30

사업/직장홍콩대 출신 학생 싱가폴 취업 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dimsumyamyam(pjw7109) 2015-11-22
추천수 : 0 조회수 : 3,751

안녕하세요. 현재 홍콩대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싱가폴 취업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많은데 싱가폴에 대한 컨택이나 정보가 없어서 실례를 무릅쓰고 여기다 이렇게 여쭤봅니다. 저는 저널리즘과 정치학을 복수 전공한 학생입니다. 대학때 3개의 외신에서 인턴을 했습니다.…

  • A

    1. NUS, NTU 등을 졸업하면 취업 비자가 자동으로 나오나요? 아주 특수한 경우 (싱가포르 장학생) 를 제외하고 자동은 아닙니다. 그러나 비자신청과 취업에 장점은 되겠죠.   2. 저는 외신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일하기 좋기로 뽑힌 top-tier 회사에서도 인턴 경험이 있습니다. 혹시 취업을 제안받으면 초봉을 어느정도 불러야 하는지 감이 안오네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급여가 얼마인지는 직업군별, 회사별로 많이 다릅니다. NUS 졸업생 월급이 $3000이 좀 넘습니다. http://news.nus.edu.sg/press-releases/8673-nus-graduates-enjoy-high-employment-rate-and-better-salaries   3. 일단 싱가폴에서는 좋은 대학들이 많아서 굳이 해외 대학생을 채용할 이유가 별로 없다고 합니다 ㅠㅠ 보통 싱가폴에서 대학 나오신 분들은 어느 분야에 취업하시나요? (아니면 한국 돌아가시나요 많이?). 혹시 싱가폴에서 직장을 다니신다면 해외에서 대학 나온 학생들도 많이 있나요? 현재 싱가포르 실업율이 높기 때문에 외국인 대학생이 곧바로 현지 회사에 취업하기가 쉽지않습니다. 그러나 싱가포르 특성상 전문직 취업기회는 항상 있으니 홍콩이나 중국에서 몇년 좋은 경력을 쌓은후 싱가포르 회사 나 외국기업 에 지원하면 어떨까요. 싱가포르 은행에서 한국관련 인력이 필요하면 헤드헌터를 통해서 한국에 있는 경력자을 뽑아옵니다.      4. 싱가폴에서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일하는 sector (아니면 한국인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한국분들이 많이 일하시는 분야가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채택답변
Q

NO.29

사업/직장중국어와 취직에 관한 질문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농푸!(nod91) 2015-11-18
추천수 : 0 조회수 : 2,346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중국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유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싱가폴에서 인턴쉽이나 취업을 하고 싶은데, 싱가폴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아 이렇게 질문을 드리게 됬습니다. 저는 고등학생때부터 중국에서 유학을 했으며, 현재 북경 소재에…

  • A

    기업 관계자로 답변드립니다   1. 중국어는 만다린을 사용합니다. 간혹 남방계 중국인이 있어서 광동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 중국어로 가능합니다. 다만 영어를 못하는경우 좀 취업이 어렵겠지요... 3. 중국대학 졸업장은 비자승인이 되는데 장시간 소요됩니다     위조 졸업장이 적발되어서 강화가 되었다고 하네요.. 4. jobstreet에서 찾아보세요......      

  • A

    1. 싱가폴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국어는 부통화 (Mandarin)입니다. 중국계 싱가포리안 조상들의 영향으로 福建話즉 중국 복건지방언어도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교육시설에서 배우는 언어는 표준어인 부통화입니다. 2. 싱가폴취업에 영어는 필수입니다. 싱가포리안은 크게 중국계 말레이시안계 인도계가 있습니다. 영어는 공통적으로 배우는부분이고 필수로 제2개국어(중국어 말레이시아어 타밀어 중 택1)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계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중국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이지요. 한마디로, 영어를 필수로 잘 하셔야하고, 중국어나 다른 제2외국어는 부수적인 것입니다. 3. 중국에 유명한 대학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싱가폴은 중국의 북경대나 칭화대 보다도 순위가 높은 대학들을 보유하고 있죠. 또한, 싱가폴에는 정말 세계각국에서 인재들이 들어오기 때문에 특정나라 학위를 좋고, 나쁘게 본다는 인식은 따로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나라를 떠나 그 대학의 네임밸류가 좋다면 더 취업이 유리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4. LinkedIn    JobsDB    JobStreet   제가 개인적인 소견을 더하자면, 중국에서 1~2년 정도 원하시는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 오시면 더욱 취업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Q

NO.27

사업/직장싱가폴 취업에 관해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new style(veogml123) 2015-11-14
추천수 : 0 조회수 : 1,937

현재 싱가폴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사람입니다. 졸업하고 여기서 일을 할까 고민중에 있는데요 제가 디플로마 성적이 많이 않좋습니다. 거의 c나 d를 받았는데요 혹시 이게 취업하는데 지장이 있나요? 한국취업은 있을거 같은데      

  • A

    물론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 성적이 좋은 학생이 유리하겠지만 한국과 다르게 성적이 크게 좌우하지는 않습니다.  싱가포르도 경기침체로 잡마켓이 좋치 않습니다. 특히 비경력 20-30대 실업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과는 반대로 이공계열 취업이 비지니스 계열보다 훨씬 열악합니다. 이는 현지 산업이 제조업 보다는 금융 서비스 중심인데 기인합니다. 짧은 소견으로 유학생에게 싱가포르 취업 (대기업중심) 에 관한 조언을 한다면, 첫째는 영어 입니다. 영어를 잘못하면 아예 기회조차 주어지지않습니다. 중국어와 같은 제2 외국어가 도움이 될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현지대기업에서는 영어만 씁니다. 영어시험 점수는 별 의미가 없고 인터뷰에서 본인의 영어실력을 평가받게 뵙니다. 둘째는 현지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격증이나 교육수료 입니다. IT certificate (MS 오피스 이런거 아니고 SAP 운용 같은 특정전문분야), 물류 (APICS), 금융회계 (CFA,CPA,ACCA) 는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꾸준히 있습니다.       세째는 한국기업 입니다. 이제 한국기업들도 국제화 되어서 비싼 주재원 보다 현지고용을 많이 합니다. 대부분의 한국기업에 주재원과 한국분들 현지직원이 같이 근무하십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입니다. 요즘대학생들 많이 안쓰럽습니다. 힘내세요.                   

Q

NO.26

사업/직장무비자로 들어와서 취업활동 질문합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종이사전(han804) 2015-11-14
추천수 : 0 조회수 : 4,250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싱가폴에 취직하고자 합니다. 무비자로 들어와 스스로 이력서를 돌리며 취업할동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하여 글올립니다. 무비자 체류자가 싱가폴에서 구직 활동을 할 수 있는지요? 무비자로 1년까지 체류할수 있다 되어있는데 그렇…

  • A

    요새 비자 잘 안나온다고 들었어요. 저희회사도 근무중인 외국인 직원들 비자 만료되는 직원들 상당수가 비자 연장을 안해주는지 안되는건지 이유는 모르지만 여튼 연장이 안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다른 회사들도 비슷하다고 들었구요. 기존 체류 여부로 입국거부도 심심치 않게 볼수있는데 한국에서 취업해서 비자 받아 들어오는게 안전할것 같아요.     

  • A

    무비자 체류 90일입니다. 1년이 아니라... 그리고 여기서 90일간 체류하다가 잠시 주변국이나 한국에 다녀오는식으로해서 장기체류 하는 사람들이 재입국시에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구요. 한국촌 글들 읽어보시면 요새 추이를 좀 아실수 있을거에요. 한국에서 싱가폴에 있는 직장을 구하시고 정식으로 취업비자를 받아서 들어오시는게 가장 좋을듯합니다. 저도 한국에서 스카이프 및 전화면접을 통해 잡을 구했고 정식으로 EP서류 진행된 후에 들어왔습니다.          

  • A

    싱가폴에서 무비자로 입국해서 구직활동 하는것은 엄연히 불법입니다.    한국에서 이력서 보내고 면접 다 통과되고 비자가 나온다고 확정 된 서류가 있으신 다음에 오시는게 좋으실 듯 합니다. 요새 심해져서 비자가 없는데 리턴티켓이 없으면 입국거부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NO.21

사업/직장한국전문대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lee7789(rkelrkel789) 2015-09-19
추천수 : 0 조회수 : 2,277

미래에 싱가폴에서 일할려고 계획중입니다. 아직 대학교를 안다녀서 질문 할께요 한국에서 2년제 대학이랑 여기서 외국대학 어드밴스디플로마 끝낸거랑 같나요? 전공은 호텔경영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에서 전문대 졸업후 싱가폴에 있는 외국대학 배첼러로 들어가서 졸업후…

  • A

     일단 얼마전 제가 공부할려고 알아본바는 한국에서 4년제를 나와도 싱가폴 외국대학교 배첼러 들어가기가 쉽지 않아요. 토플이나 아에일츠를 요구합니다. (아이엘츠 6.0이상) 물론 아이엘츠를 더 선호하구요. 한국은 영어기반 대학교가 아니라면서 말레이시아의 대학교 나와도 싱가폴에 오면 디플로마부터 시작하라고 하는말에 좌절했지요.. 좀 자존심도 상하고  듣는데 기분이 어~~엄청 나빠서.. 나 IT전공이라서 모든 책들을 원서(영어)로 공부했다는 쓸데 없는 소리했다가 더 자존심 상해했지만요 .. ^^;;;;;;;;;;;; 직장구하시고 이민까지 생각하신다면 더더욱 싱가폴에서 하나하나 관련한 준비를 하는것을 추천합니다.        

  • A

    안녕하셔요? 저도 이왕 싱가포르에서 자리를 잡겠다고 하시면 이곳에서 공부를 하시는것이 여러모로 더 첩경이 아닐까 합니다. 졸업후 취업은 한국이나 싱가포르이나 본인이 얼마만큼 준비가 되어있느냐가 가장 큰 관건이지만, 무엇보다 싱가포르 대학은 영어로 수업을 한다는것이 취업을 앞두고는 가장큰 메리트가 되지않나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Q

NO.19

사업/직장취업관련 조언부탁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chipore(shjt2589) 2015-08-23
추천수 : 0 조회수 : 2,163

안녕하세요 2010년 중국에 유학을가서 대학교를 입학한뒤 현재 군복무중에있습니다. 요즘들어 미래에대해 생각해보면서 궁금증이 발생했습니다. 많은 선배님들계실텐데 몇가지 질문 올려봅니다!   1. 중국에서 대학을졸업하고 싱가폴에서 취직을 할생각인데 중국어라는 무기가…

  • A

    포지션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좀 더 구체적으로 어떤일을 하려고 하는지 질문을 올려주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 A

    안녕하세요 ? 우선 위에 답변 주신 분 말씀대로 어떤 industry 그리고 포지션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그래도 General한 사항을 바탕으로 말씀드릴게요.   1. 중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싱가폴을 취직할 생각인데 중국어라는 무기가 메리트가 되는지 ?   기업에서 중국어를 못하는 한국인 보다는 중국어를 잘하는 한국인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싱가포리안 70%이상이 중국계이고 모두 Mandarin을 구사하기 때문에, 이것은 '무기'라기 보다는 의사소통이 좀 더 원활해지는 '수단'정도 일 것입니다.   발상을 전환해서 오히려, 한국어를 잘하는 것이 position에 따라 메리트가 될 수 있겠지요?   2.영어가 많이 부족한데 싱가폴기업이나 서양 기업에 취직하려고하면 영어면접이 많이 걸릴까요?   네.영어가 부족하시면 싱가폴 취업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싱가폴은 중국어 영어 말레이시아어가 공용어로 알려져 있지만, 회사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이나 교육 등은 모두 영어로 이루어집니다. 영어는 싱가폴기업 서양기업에 취업하시려면 필수 입니다.   이 역시 포지션이 엔지니어이시거나 회계쪽이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지만 그래도 Written English는 무조건 갖추셔야하고 이 외에 다른 포지션은 Speaking도 원활해야 가능합니다.   3. 중국 대학을 졸업한사람으로써 싱가폴행이 효율or 비효율인지    싱가폴행이 효율적인지 아닌지는 본인의 목표가 무엇인지에 달려있습니다.   싱가폴에 와서 얻으시려는 것이 무엇인가요 ? 이 부분을 잘 생각해보시고, 어디에서 취업을 하는것이 좋을지 고민해보시면 어느정도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화이팅하세요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