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촌 상단 로고

싱가포르 최대의 한인정보 사이트!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통합검색

지식Q&A

  • ~
  • [질문]
  • 답변완료
  • 사업/직장
  • 직장 계약서 관련
  • waltervon (kainstory2)
  • 질문 : 3건
  • 질문마감률 : 66.67%
  • 2016-08-22 13:29
  • 답글 : 4
  • 댓글 : 9
  • 2,372
  • 0

안녕하세요

 

저는 오는 9월로 싱가포르에 온지 1년되는 현지업체에서 세일즈 마케팅 직무로 일하고 있는 27살 직장인입니다.

요즘 고민이 많아서 이글까지 올리게 되었네요

처음회사에 왔을때 한국인 직원이라고는 아무도 없고 직원들 모두 한국마켓에 대해서는 까마득한 채 막연히 한국마켓쉐어를 올리고자 저를 뽑게 되었고 처음들어온 저는 상당히 막막했던 기억이 납니다.

고객명단 조차 없는 상태에서 상부에서는 매일 실적으로 압박하였고 말도 안되는 실적을 목표로 주며 달성하라고 매일 스트레스를 주었지만 주말에도 쉬지않고 고객리스트 명단을 짜보고 나름 분석도 해보며 세일즈를 시작한지 3개월째에 대형 프로젝트 2건 외 여러 프로젝트 및 고객을 확보 할 수 있었습니다.

여기까지만 진행되면 참 좋을텐데 회사에서는 갈수록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해서 지쳐갑니다.

한국대기업에서 잠시 일을 했던 경험때문인지 보통 출장 비행기 값이나 교통비 정도는 회사에서 지원해주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회사에서는 한국&홍콩 출장시 비행기값은 제 돈에서 지불하라고 하더군요 호텔에 머물러야 하는데 그 비용조차도 제가 부담하는게 조금 어이가 없습니다.

또 회사에서 영업용 차량이 없다보니 시간상 방문할 수 있는 업체가 한정되어 있는데도 3시간안에 2군데 이상을 방문하라는 등 요즘 너무 지치는 군요

계약서에도 몇년이상 근무하도록 못을 박아놔서 당장 이직도 할 수 없습니다.

교민 선배님들은 이런시기에 어떻게 대처하셨는지 넘기셨는지 공유 부탁드립니다 ㅠ

     
  • [질문자 채택답변]
  • 직장 계약서 관련
  • 가자가자미래로 (brightfuture)
  • 답변 : 11건
  • 답변채택률 : 36.36%
  • 2016-08-22 14:47

자꾸 이런 식이면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겠습니까?? 얼마나 일할 때가 없으면 저런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도 일을 할까 그것도 주말에도 미친 듯이... 이런 시각이겠죠. 진짜 올려논 글만 보면 심하게 말해서 노예죠. 

염장지르는 게 아니라 정확하게 말하면 

그런 주말에도 나와서 일하는 열정이면 한국이나 미국 일본등 같은 데서 충분히 성공하죠. 

그리고 출장비와 호텔비와 필요시 차량지원이나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등 같은 공공대중교통이용금액등 당연히 회사규모와 아무런 상관없이 회사업무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 지극히 당연히 지원하는 거랍니다. 한마디로 급여를 주는 것처럼 당연한 법적인 회사의 의무와 책임이랍니다. 

한국대기업에서 근무는 커녕 글 작성한 분은 사회생활 시작자체가 싱가폴에서 처음인게 분명한 것 같은 데,  

 

나도 오지랍 그만부려야지 하면서.. 진짜 답답하군요... 왜 그런 열정으로 우리나라 한국에서 아님 미국 일본등 그런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훨 많고 훨씬 정상적인 기업시스템을 가진 그런 나라들에서 지금과 같은 열정으로 도전하고 일하지 않는 지??

솔직히 이해가 안되는 군요.  이건 뭐 외국까지 와서 구멍가게같은 곳에서 완전 남 좋은 일이나 시키고 싱가폴에서 로컬회사따위 경력은 냉정하게 말해서 향후 커리어에 아무런 도움도 의미도 없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왜? 다른 곳으로 소위 한국이든 미국이든 일본이든 다른 회사들 다른 다국적기업 대기업에 지원하면 그 전회사의 규모와 자본금등 간단하게 낱낱이 다 확인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다른 후배들에게도 항상 하는 말이지만 어디서 어떻게 사회생활을 즉 자기경력을 시작하는 지가 사실 은퇴시까지 평생 직장커리어 전체를 좌우한답니다.  

     

댓글목록

waltervon님의 댓글

waltervon (kainstory2)

전에 대기업은 단기인턴식이였으니 여기서 처음시작하는게 틀린말은 아니네요 아무튼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이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감이 잡혔어요 시간내서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자가자미래로님의 댓글의 댓글

가자가자미래로 (brightfuture)

27살이면 조카나 한참 막내동생인데 진짜 이런 친구들 이용해먹는 사람들 정말 죄받아요... 안타까워서 참...

멍구망구님의 댓글

멍구망구 (dlghtjr86)

이건 말도 안되는 회사같아요. 글쓴분께서 열심히하신것 같은데, 그 열정으로 다른회사를 알아보실수는 없을까요?

lamy님의 댓글

lamy (lumiere)

분노와 공감을 느낍니다
한국인이 호구인지 .. 외국인을 호구로 아는건지 ..
예전에 저도 교통비 관련해서 달라고 했는데 싱가폴 직원만 주더군요
정말 어이가 없어서... 차별하지 말고 똑같이 안주던가 해야지 ..

waltervon님의 댓글

waltervon (kainstory2)

공감과 조언들 너무 감사드립니다. 저도 이런글 쓰는게 너무 싫지만 하소연할곳도 없으니 쓰게 되는군요 놀랍게도 회사규모는 나름 큰 편입니다 ㅎㅎ 다만 직원들에게 돈을 안쓸뿐이죠 저희도 교통비 없습니다 ㅎㅎ 이직하고 싶지만 바보같이 계약서에 사인을 해버려서

  • [답변]
  • 직장 계약서 관련
  • 기쁨 (ccayjhsg)
  • 답변 : 4건
  • 답변채택률 : 25%
  • 2016-08-22 14:57
정말 어의가 없네요 ㅠ 어떻게 출장비를 본인이 내라하죠?? 이럴때 싱가폴에 정이 떨어지네요.      

댓글목록

waltervon님의 댓글

waltervon (kainstory2)

한국같은 경우는 너는 어차피 휴가가는거나 다름없고 집도 거기있으니 못주겠다는 군요 ㅎㅎ

  • [답변]
  • 직장 계약서 관련
  • 지남철 (netsori)
  • 답변 : 9건
  • 답변채택률 : 0%
  • 2016-08-22 16:06

글 읽다, 내속이 뒤집혀서 글남깁니다. 조카뻘 될것 같은데요....

일단,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는 회사라고 할 수 없는 곳인것 같습니다. 출장관련 상황만 놓고 봤을때 말이죠.

일단, 서두리지 마시고, 일도 열심히 하지 마시고,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내가 싱가폴에 꼭 머물고 싶은지..

만약, 싱가폴이라는 나라에 정착 하고 싶다? 가정도 꾸리면서 말이죠... 그렇다면,  NUS 나 NTU 에 파트타임 석사과정에 다니세요. 입학준비 하시고,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2년 고생 하시면, 훨씬 좋은 직장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부모님께 도움이 못얻을것 같으시면, 일단, 다른회사로 이직하시고, 학교 다니세요.

 

꼭 싱가폴이 아니라, 외국이면 된다 싶으시면, 일본, 호주등지로 이력서 날려 보세요. 특히 일본에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말이 다 옳다고 볼수도 없읍니다만, 경험을 적어 봤습니다. 혹, 로컬 회사라고 하셨지만, 한국 오너인가요?

그렇다면, 회사이름좀 남겨주세요. 그럼, 건승하세요 

 

 

 

 

     

댓글목록

waltervon님의 댓글

waltervon (kainstory2)

안녕하세요 저에겐 대선배님이시겠군요 반갑습니다 그리고 조언감사합니다. 계약서에 서명만안했어도 당장 이직했을텐데 1년을 더 기다려야 할 것 같네요 요즘 같은 무더위 항상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 직장 계약서 관련
  • junphoto (million09)
  • 답변 : 239건
  • 답변채택률 : 20.5%
  • 2016-08-22 16:09
이건 진짜 말도 안되는 내용이네요ㅋ

지금 말씀하신 내용은 무슨 밴더계약을 따낸 개인사업자가 일하는 환경같네요.

보통 회사에서 회사업무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받으러 가도 여비를 지원해줘야하고,

세미나 같은데서 발표를 하거나 전시회 출품, 학회에 논문을 내도 회사 규정에 의거해서 급지별로 교통,숙박, 식비가 나옵니다.

사무실이 아닌 다른 근무지로 보낼경우 교통비 지급은 당연한것입니다.

보통 한국의 대기업은 회사 사택 입주자나 통근버스 이용자를 제외하고는 출퇴근 교통비도 지급해주는데요.

이나라에서도 출장이 잦은 경우 택시비 영수증이나 그런걸 다 클레임 할수있습니다.

특히 포지션이 영업이면 판매촉진을 위해 일정 판공비를 부여하는데 그런것도 없이 무슨 영업을 하라는건지..

무슨 개인 사업도 아니고 통신비, 교통비, 식비는 지원해줘야 영업하러 다니든지 말든지 하죠ㅋ

하다못해 설계팀에있는 사람도 프로젝트 관련 미팅에 참석해 식사를 하면 식비를 클레임하고, 프로젝트 사이트가 먼곳을 정기적으로 가야하는경우 차를 지원해주는데요ㅋ

영업을 어떻게 하라는건지...

진짜 말도안되는 회사같네요ㅋ     

댓글목록

waltervon님의 댓글

waltervon (kainstory2)

놀랍게도 회사규모는 상당한 편입니다. 오히려 개인사업자 밑에서 일했으면 사정 다 아니 오히려 화는 나지 않았을거 같네요 ㅎㅎ 교통비 지원이 없으니 늘 mrt타고 다닙니다 한국 mnc기업 프로젝트도 이번에 진행중인데 공항오시면 픽업해드려야 할텐데 회사차 한대도 안내줘서 난감하네요 아무튼 감사합니다!

junphoto님의 댓글의 댓글

junphoto (million09)

진짜 날로 먹을려고 하네요. 완전 강도 같은 심보네요ㅋ
저라면 너무 괴씸해서 회사돈 횡령이라도 하던지 근무 땡땡이라도 했겠네요 ㅋ
실적도 좋으신것 같고 능력도 있으실것 같은데
모쪼록 빠른 시일안에 좋은 회사로 이직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1030

사업/직장안녕하세요 residential 183일 관련..

  • 답글 : 4
  • 댓글 : 5
답변진행중
young9(juffy77) 2016-08-26
추천수 : 0 조회수 : 3,398

제가 입싱한 날짜는 올해 5월 10일이구요,    계약서상 계약한 날짜랑 일 시작 한 날짜는 5월 16일입니다.   정말 이 회사에서 단 하루도 더 일하고 싶지가 않아서 정말 딱 183일만 채우고 이직하고 싶은데,   기준이 싱가폴 도착한 5월 10일 기준으…

  • A

    체류일 관련해서는 워낙말들도 많고 실제로 이기간을 딱맞춰서 해보신 분이 몇이나 될지 그래서 정확한 정보가 없는 것 같습니다만 제생각에는 근무시작일 부터 근무종료 시점까지로 계산되지 않나 생각되네요. 근무를 시작하지 않았음은 관광 비자상태여서 소득세 산출 대상에 아닐것이고 근무시작후 메디컬리브나 애뉴얼 그외에 퍼블릭 할리데이등 회사에서 인정하는 급여 지급 휴가를 떠나 해외에 체류하시더라도 싱가폴에서 회사에서 지급하는 소득이 발생하고 있으니 그부분이 개인소득세에 산정이 되지않을까요?? 한국에서 짧게 공부했던 지식을 근거로한 그렇습니다만 이나라 개인소득세법이 어떻게 제장되어있는진 모르겠네요ㅎ 그리고 해외취업성공 장려금은 산업인력공단에서 인정하는 취업 서류 인증 방식이 세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로 공증후 영사확인 두번째로 아포스티유 인증(공증을 폐지하는 제도인데 공증이랑 비슷한 방식) 세번째가 현지 Kmove센터를 통한 확인입니다. 첫번째 공증서류 영사확인은 현지에서 한국공증협협회에 등록된 변호사에게 취업서류(계약서, 재직증명서, 워킹비자)를 들고가 공증을 받은후 대사관에서 진위확인도장을 받는 방법입니다. 공증비용이 발생하구요. 당일 바로 처리가 됩니다. 두번째 방법은 해보지를 않아서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모르겠지만 공증절차를 조금 편하게 하려고 만든것 같습니다. 세번째 방법은 싱가폴에 있는 k move 관련 기관에 서류(계약서와 재직증명서)를 우편혹은 방문으로 전달하시면 현지 담당직원이 서류를 확인하기위해 해당회사에 전화인터뷰를 통해 취업사실을 확인하는것입니다.(일주일에서 보름가량 걸린다네요) 이렇게 세가지 방법중에 한가지로 인증하시면되구요. 이렇게 복잡하게 서류를 인증하여 관련서류를 준비하여 잘 접수를 하시더라도 본인 가족의 소득분위(한국의 재산정도)가 높아 장려금 지원이 반려될수도 있으니 부모님이 좋은 집을 소유하셨거나 넓은 땅을 가지고 계셔서 재산세 납부액이 많거나 동생이나 출가전인 형이나 누나가 고액연봉을 받고계시는 경우이니 잘확인하셔서 신청하시면 되실것 같네요. 혹시 이런 사유로 반려되신다면 전입신고를 하셔서 세대주를 분리하시면 되니 당황인하셔두 되구요 또한 이번에 신청을 못하시더라도 추후에 회사가 바뀌어 다른회사에서 새비자를 받으시면 그때다시 신청하셔도 되니 너무 염려안하셔도 될것 같네요.      

    3
  • A

    1번은 저도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괜히 질문작성한분이 혼동하실까봐 말씀을 못드리겠습니다.   2번 해외취업장려금 질문에 대해서 답변을 드리자면, 복불복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일단 걱정되는 것은, 2달전 노티스를 하고 작성자분이 6개월을 채웠을 때, 이제 사임하고 나가는 시점에서  회사에서 재직증명서를 과연 떼어줄것인가? 이러한 차질이 걱정, 또한 떼어주더라도 다음이 문제입니다. 공증절차를 걸치고 k-move에 신청되어서 지급신청을 기다리는 도중 k-move에서 확인차 회사에 전화를 했을 때, 이미 지금 이사람은 resign하고 없다라고 전달이 되어버리면 2차 지급은 커녕, 1차 받은 장려금도 회수당하고 penalty도 부여받을수 있습니다.(거짓으로 재직하고 있다고 했을 시) 제 생각에는 조금 더 버티셔서 장려금 받고 그만 두시던가, 정 아니겠으면 2차는 지원 안하시는게 낫다고 사료됩니다.      

    1
  • A

    소득세를 Resident Tax Rate로 적용받는 날짜를 확인하시려면 회사와의 근로계약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계약서에 근무개시일이 명시가 되어 있으면 그게 기준날짜이고요, 계약서에 언급이 없다면 계약서서명일이 기준날짜 입니다. 입싱한 날짜는 관계가 없읍니다. 관광비자로 입국을 하셨으니.. 좀더 확인하고 싶다면, 회사의 HR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비자종류에 따라 Levy, CPF 등의 납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몇일부로 근무시작했다는 신고기록이 있읍니다.      

    1
Q

열람중

사업/직장직장 계약서 관련

  • 답글 : 4
  • 댓글 : 9
답변완료
waltervon(kainstory2) 2016-08-22
추천수 : 0 조회수 : 2,373

안녕하세요   저는 오는 9월로 싱가포르에 온지 1년되는 현지업체에서 세일즈 마케팅 직무로 일하고 있는 27살 직장인입니다. 요즘 고민이 많아서 이글까지 올리게 되었네요 처음회사에 왔을때 한국인 직원이라고는 아무도 없고 직원들 모두 한국마켓에 대해서는 까마득한 …

  • A

    자꾸 이런 식이면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겠습니까?? 얼마나 일할 때가 없으면 저런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도 일을 할까 그것도 주말에도 미친 듯이... 이런 시각이겠죠. 진짜 올려논 글만 보면 심하게 말해서 노예죠.  염장지르는 게 아니라 정확하게 말하면  그런 주말에도 나와서 일하는 열정이면 한국이나 미국 일본등 같은 데서 충분히 성공하죠.  그리고 출장비와 호텔비와 필요시 차량지원이나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등 같은 공공대중교통이용금액등 당연히 회사규모와 아무런 상관없이 회사업무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 지극히 당연히 지원하는 거랍니다. 한마디로 급여를 주는 것처럼 당연한 법적인 회사의 의무와 책임이랍니다.  한국대기업에서 근무는 커녕 글 작성한 분은 사회생활 시작자체가 싱가폴에서 처음인게 분명한 것 같은 데,     나도 오지랍 그만부려야지 하면서.. 진짜 답답하군요... 왜 그런 열정으로 우리나라 한국에서 아님 미국 일본등 그런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훨 많고 훨씬 정상적인 기업시스템을 가진 그런 나라들에서 지금과 같은 열정으로 도전하고 일하지 않는 지?? 솔직히 이해가 안되는 군요.  이건 뭐 외국까지 와서 구멍가게같은 곳에서 완전 남 좋은 일이나 시키고 싱가폴에서 로컬회사따위 경력은 냉정하게 말해서 향후 커리어에 아무런 도움도 의미도 없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왜? 다른 곳으로 소위 한국이든 미국이든 일본이든 다른 회사들 다른 다국적기업 대기업에 지원하면 그 전회사의 규모와 자본금등 간단하게 낱낱이 다 확인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다른 후배들에게도 항상 하는 말이지만 어디서 어떻게 사회생활을 즉 자기경력을 시작하는 지가 사실 은퇴시까지 평생 직장커리어 전체를 좌우한답니다.        

    5 채택답변
  • A

    정말 어의가 없네요 ㅠ 어떻게 출장비를 본인이 내라하죠?? 이럴때 싱가폴에 정이 떨어지네요.      

    1
  • A

    글 읽다, 내속이 뒤집혀서 글남깁니다. 조카뻘 될것 같은데요.... 일단,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는 회사라고 할 수 없는 곳인것 같습니다. 출장관련 상황만 놓고 봤을때 말이죠. 일단, 서두리지 마시고, 일도 열심히 하지 마시고,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내가 싱가폴에 꼭 머물고 싶은지.. 만약, 싱가폴이라는 나라에 정착 하고 싶다? 가정도 꾸리면서 말이죠... 그렇다면,  NUS 나 NTU 에 파트타임 석사과정에 다니세요. 입학준비 하시고,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2년 고생 하시면, 훨씬 좋은 직장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부모님께 도움이 못얻을것 같으시면, 일단, 다른회사로 이직하시고, 학교 다니세요.   꼭 싱가폴이 아니라, 외국이면 된다 싶으시면, 일본, 호주등지로 이력서 날려 보세요. 특히 일본에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말이 다 옳다고 볼수도 없읍니다만, 경험을 적어 봤습니다. 혹, 로컬 회사라고 하셨지만, 한국 오너인가요? 그렇다면, 회사이름좀 남겨주세요. 그럼, 건승하세요               

    1
Q

NO.1025

부동산1년 계약시 양쪽 agent fee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labsf(labsf) 2016-08-15
추천수 : 0 조회수 : 1,828

안녕하세요 입싱후 우여곡절 끝에 알맞은 유닛을 찾아 계약할 예정입니다 고수님들 아래 질문 사항 답변 부탁드립니다 1. 1년 계약( 2600/m)집주인 agent와 저희 세입자 agent 가 있으면 세입자는 fee로 한달 입대료의 절반의 절반 (집주인 agent는 집주…

  • A

    계약서를 충분히 확인 하시고 싸인 하시길 바랍니다. 1년 계약시  한달 월세+데파짓(한달월세) 내는것이 정상입니다  에이젼피를 내는 경우는 에이젼을 고용 하셔서 집을 찾으셧을 경우 그리고 계약서 완료와  모든과정을 에이젼이 책임주고 해줘야 합니다   첫달에 워렌피 가 있구요  한달 거주시에 이상이 생길경우 에이젼이 책임지고 해결해 줘야 합니다. 그냥 드리는것은 안되겟죠 ?  왜 나눠서 내는지는 몰르겟지만  보통은 집주인이 냅니다  집주인이 에이젼을 고용해서 임대해준 것이기 때문이져  에이젼에게 부탁해서 집을 찾은 경우가 아닐 경우   임차인이 에이젼피 내지는 않습니다  방 구하실 경우는 다릅니다  계약서 안에는 집주인 IC,ACCOUNT NUMBER 가 기재되 있어야 합니다  복사본 달라고 하면 줍니다  그리고 수표 로 하시든 이체를 하시든  이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계약서 와 일치해야 합니다. 정식 증명서 보다는 계약서를 우선으로 합니다.  집주인 싸인과 임차인 싸인이 반드시 계약서 모든 페이지에 싸인이 되야 합니다  경험상으로 에이젼이 반달치의 절반을 달라는 경우는  돈을 더 받고싶다고 밖에 생각되지 않네요   에이젼 고용해서 1년 계약하시면 한달 의 반값의 월세를  에이젼피로 에이젼에게 주는것은 맞습니다. 집이 정말 맘에 드신 다면 그냥 계약하시길 바래요 ..  좋은집 구하시길 바랍니다        

    1
Q

NO.1021

부동산resale flat 구매시 payment 절차는 어떻…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bittersweet3(bittersweet) 2016-08-05
추천수 : 0 조회수 : 2,299

안녕하세요, 내년 싱가포리안 약혼자와 혼인을 앞두고 있습니다. 요즘 한창 BTO vs resale flat 을 두고 이것저것 알아보고있는데 BTO의 겨우 그 과정이나 절차가 비교적 명확한 편인데.. 리세일은 도무지.. 계약금을 치루고 난 이후 어떤식으로 나머지 집 …

  • A

    리세일 플랫도 절차도 큰 차이는 없어요.  우선 셀러에게 1000불을 옵션피로 지불하면 에이전이 hdb에 리세일신청들어갑니다.  그리고 밸류에이션절차가 끝나면 보증금으로 4000불 더 셀러에게 지급하고 hdb에서 1번째 2번째 어포인먼트 날짜를 잡아줍니다.  대금지급은 두번째 어포인먼트에 하는걸로 기억하는데.. 바이어가 오너에게 직접 건네는게 아니라 hdb officer앞에서 lawer가 바이어/셀러측 모두 모인상황에서 진행해 줍니다.  Loan은 은행에서 할지 hdb loan을 신청할지에 따라 현금을 집값의 10% 준비할지 20% 준비할지 결정됩니다.  hdb론을 받으면 10%만 캐쉬지급하고 나머지는 lawer가 대출은행이나 HDB loan 파트와 알아서 진행해 줍니다.  대략 기간은 빨리 잡아도 4달정도 걸립니다.  모든 절차를 HDB 입회하에 진행하니 시일이 오래걸려도 사기위험은 전혀 없다고 보면 됩니다.  대출상환은 개인통장에서 매달 빠져나가게 할수도 있고 CPF계좌에서 자동이체 할수도 있어요.     

    1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