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사업/직장
  • 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쪽)
  • zimh@ck (zimhack)
  • 질문 : 1건
  • 질문마감률 : 0%
  • 2016-10-12 09:54
  • 답글 : 4
  • 댓글 : 5
  • 2,562
  • 0

안녕하세요. 현재 입시를 치르고 있는 재수생 입니다.

 

지금 입시 공부를 해야할 시기에 취업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많이 이를 수도 있겠지만

 

제 고민에 대해 답변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전 2007년~2008년 2년동안 (초4,초5) 싱가포르에서 지냈습니다. 10년 정도 지난 지금도 그 경험을 잊지 못하고 있고요.

 

10년 동안 한국에 지내면서 이 어렸을 적 경험이 아직도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것 때문인지 앞으로 제가 성인이 되면 싱가포르에서 생활을 할까 생각도 들고요.

 

 

저는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쪽 분야에 관심이 컸습니다.

 

중학생 때 프로그래밍 언어를 독학해서 지역대표로 전국정보올림피아드 대회에 나간적도 있습니다.

 

그 쪽 분야에 관심이 큰 만큼 앞으로 진로도 관련 분야로 갈 생각입니다.

 

이번에 지원할 학과도 마찬가지로 컴퓨터공학과와 관련된 학과들 입니다.

 

 

지원한 여러 곳 중에서 하나는 군과 체결되서 만들어진 학과로

 

4년 대학 다니고 졸업 후에 7년동안 기술장교로 복무를 해야합니다. (의무복무 3년 + 장학금 수혜기간 가산복무 4년)

 

어떻게 보면 7년 장교 복무는 메리트가 될 수도 있겠지만, 싱가포르에서 취업시에 이게 경력으로 인정이 되지 않을 것 같아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제가 이 학과를 지원안했다면 이런 고민을 하지 않았을 텐데, 막상 지원하고 1차 합격까지 되고 이제 곧 2차 면접이 다가와서 고민이 되더군요...

 

한국군 장교 복무 경력이 싱가포르에서 취업시에 경력으로 인정이 되는지요?

 

그리고 이것이 경력으로 인정이 된다면, 큰 메리트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큰 메리트가 없다면 다른 평범한(?) 컴퓨터공학과에 진학해서

 

1학년 마치고 빨리 군문제를 해결하서 그 후 경력을 국내서 쌓고 싱가포르 취업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취업할 업종은 당연히 정보 관련 쪽 입니다.)

 

 

물론 제가 무조건 싱가포르에서 취업(생활)하겠다는 말은 절대로 아닙니다.

 

아직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대학생활하다보면

 

그냥 국내에 있을지 아니면 다른 나라 취업을 생각할지 등 다른 생각으로 바꿔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싱가포르 취업을 목표로 잡고 한다는 전제하에서 고민이 생겨서 질문글을 올립니다.

 

나이도 어린 학생이 올린 질문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D

     
  • [답변]
  • 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쪽)
  • Urbanzakuma (wjdilsu)
  • 답변 : 38건
  • 답변채택률 : 5.26%
  • 2016-10-12 16:12
아시다시피 싱가폴도 징병제를 채택한 나라입니다. 그만큼 군필자를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있죠. 하지만 스펙으로 사용하기엔 힘듬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IT 분야 쪽의 대접은 굉장히 좋은편이며 관련 분야 경험을 최고로 칩니다. 싱가폴 취업을 희망 하신다면 영어, 관련 분야 학위와 경험을 준비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댓글목록

zimh@ck님의 댓글

zimh@ck (zimhack)

장기복무도 스펙으로 사용하기엔 어렵다는 말씀이신가요?

이 학과에 합격되면 갈지 말지 계속 고민되네요...ㅠㅠ;;

Urbanzakuma님의 댓글

Urbanzakuma (wjdilsu)

관련 분야에서 복무하신다면 되겠지만 일반적인 장교 복무라면 학교 동아리 이상의 스펙으로서의 가치는 없을겁니다

zimh@ck님의 댓글의 댓글

zimh@ck (zimhack)

아..당연히 IT 분야 쪽으로 복무할 것입니다.

학과명도 국방정보공학이라 배울 내용도 컴퓨터공학과와 거의 비슷합니다.



다만 걱정되는게 우선 (글에서 질문한것처럼) 이거 자체가 메리트 일지 아닐지 고민이고

이 7년 동안 차라리 한국에서 여러 곳에 인턴을 해서

(장교 복무라는 한가지 경력보다는) 여러가지 경력을 쌓는것이

취업할 때 더 유리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대학 입학도 안했는데 벌써 이런 고민하고 있으니 힘드네요...쩝;;ㅠㅠ

아무쪼록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답변]
  • 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쪽)
  • 리겔 (obliqua)
  • 답변 : 15건
  • 답변채택률 : 6.67%
  • 2016-10-12 22:47

7년동안 기술장교로 복무 (의무복무 3년 + 장학금 수혜기간 가산복무 4년) 라면 군장학생이나 마찬가지 일텐데

우선 군생활이 본인과 잘 맞을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셔야 할 것 같고요. 7년 군생활 짧은 시간 아닙니다.

복무 마치면 대위제대 할텐데 군생활하고 사회생활하고는 많이 다릅니다.

     

댓글목록

zimh@ck님의 댓글

zimh@ck (zimhack)

답변 감사드립니다. ^^

고등학교 생활 3년이랑 지금 현재 재수기간 해서 약 4년동안 기숙사 생활을 해왔습니다.

특히 고등학교 때 기숙사 생활 3년 동안은 온갖 똥군기(?) 같은 것을 겪어서 그런건지

군생활에 적응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걱정되는게 이것이 제가 나중에 싱가포르에서 취업할 때 경력이 될 수 있을 만큼 도움이 될지 고민이 됩니다...

차라리 7년이라는 그 기간동안 여러 곳에 인턴하면서 여러 경럭을 쌓는게 더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 [답변]
  • 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쪽)
  • junphoto (million09)
  • 답변 : 239건
  • 답변채택률 : 20.5%
  • 2016-10-13 19:30
지금부터 최소 7년 반 뒤인데 너무 아득하네요. 7년전이면.... 7년 후에는 컴퓨터가 일초에 처리할수있는 데이터 량이 테라바이트 급 이상이 될것같네요ㅋ 아무튼 전공명이 정확히 영문으로 뭐로 표기되는지 모르겠지만 군복무기간에 했던것을 경력으로 인정해줄지는 모르겠지만 대학다니면서 관련 기초이론을 탄탄히 배우시고 군 복무기간에도 기술을 꾸준히 익히시고 하신다면 군대에서 배우시는 기술이 7년뒤에도 시대의 흐름에 어긋나지않는 분야라면 굳이 경력을 인정해주지 않더라도 실력으로 원하는 자리를 찾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댓글목록

zimh@ck님의 댓글

zimh@ck (zimhack)

답변 감사드립니다. ^^ 늦게 확인했습니다.

저도 님께서 답변해주신 내용처럼 군 7년 생활 동안 따로 시대의 흐름에 맞게 제 실력을 따로 쌓을 수 있고 나중에 싱가포르에서 원하는 자리를 찾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다만 그 "실력"을 쌓아 왔다는 것을 경력처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없다는 것이 좀 걱정이 됩니다.

제가 아직 너무 어려서 그런 것인지 괜히 걱정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 [답변]
  • 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쪽)
  • singularitie (plum101)
  • 답변 : 4건
  • 답변채택률 : 25%
  • 2016-11-18 04:57

비슷한 직종에 있는 사람으로 조언을 해드리자면, 일반 대학교 컴퓨터 공학과나 전산학과에 진학하는 것이 낫겠다는 의견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학과는 군대내 혹은 군대와 관련된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우수한 인재를 양성해서 가능한 오랜기간동안 군대 내에서 일해줬으면 하는 취지로 만든 학과 입니다. 의무 복무기간이 끝난 후에도 관련된 곳에서 일할 것을 기대하면서 만든 학과라는 것이죠. 향후에 진로를 이쪽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즉 일반 IT 회사에서 일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면 굳이 이 학과가 메리트는 없어보입니다.

2. 군대는 폐쇄적이고 비밀을 취습하기 때문에, 나중에 군대를 마치고 다른 곳에 가서도 자신이 어떤 일을 했는지 자세하게 말할 수 없습니다. 군대에서 중요한 일을 할 수록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 때문에 경력을 활용하기 힘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면접에서 자신이 어떤 프로젝트를 맡아서 했었는지 설명할 수 없다면, 경력으로 인정받기 힘들겠죠.

3. 군대를 해결하는 방법은 다양하고, 더 짧게 복무하면서 경력도 인정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학부 과정중에 산업기능요원으로 3년 복무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일반 기업체에서 일하기 때문에, IT 업체에서 일한 경력을 쓸 수 있습니다. 혹은 학부 후에 석사를 2년 갔다와서, 전문연구요원으로 3년 복무하여 총 5년동안 석사학위와 경력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전문연구요원은 없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언제가 막차인지 확인 해보실 필요는 있습니다.) 혹은 굉장히 드문 경우기는 하지만, 석사를 2년 갔다와서, 3년동안 사관학교 교수로 복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정보올림피아드 독학으로 전국대회까지 나가셨다면, 여기 있는 옵션 중에 1가지는 쉽게 하실 수 있을 것이고, 어떤 옵션을 선택하셔도 7년보다 짧고, 경력면에서도 낫습니다. 또한 심지어 현역으로 가시더라도 잘 알아보고 특기병 지원하시면 군대 내에서 프로그래밍을 계속하면서 자기계발을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가능성을 열어 놓으십시오. 아직 입학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현재는 싱가폴에 일하고 싶다고 하지만, 학부 4년동안 생각에 많은 변화가 올 수 있습니다. 공부에 뜻이 생겨서 박사 유학을 가게 될 수도 있고, IT쪽 전문 변호사를 목표로 로스쿨에 진학을 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전산직렬 행정고시를 준비하게 될 수도 있구요. 친구랑 같이 창업을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창업은 실패해도 타격이 크지 않은 어린 나이에 하기 좋습니다. 군대 7년 뒤에는 걸어야 할 것이 많아서 쉽지 않죠.) 학부 졸업후에 IT 관련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합니다. 하지만, 만약 군대 관련 학과로 진학하고 7년동안 의무복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면 앞에 선택지 중에 상당수는 접고 가는 것이 됩니다. 꼭 그 학과에 가야하는 확고한 이유가 없다면,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 아쉽게 느껴집니다.

 

잘 고민하시고, 부디 좋은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54

사업/직장호텔취업 관련 질문입니다.

  • 답글 : 7
  • 댓글 : 3
답변진행중
유럽오빠(beba4) 2016-10-26
추천수 : 0 조회수 : 6,034

안녕하세요~ 호텔취업 관련 질문입니다. 싱가포르 호텔취업과 관련해 안좋은 글들이 많네요. 특히 급여가 작다는 점인데.. 저도 에이전시에 물어본 결과 기본급+주택보조금+ 추가근무수당까지해서 1300~1500싱가포르 달러준다는데 , 그 소리 듣자마자 화가나고 어이가 없더…

  • A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 에이전시는 취업시켜야 지원금이 나오기 때문에 취업률에 매진하여 취업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더군요. 싱가폴 경비용역도 1800 이상 받습니다. 1300-1500이면 예전 서비스업종에서 필리핀 (영어가 된다나..??), 건설에서 서남아 등이 받던 급여수준 입니다. 특기사항은 이들은 전부 숙소제공의 조건이었읍니다. 오로지 취업률을 위해, 최하위직종만을 최저의 가격에 제시하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어딜가나 최하위직종은 이직율이 가장 높은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 에이전시의 책임은 없겠죠).        

  • A

    에이전시한테 욕한번 시원하게 해주시고 직접찾으시길..     

  • A

    저도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여기 나라자체가 나라크기에 비해서 대체인력이 많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인도/필리핀 등등 영어가능한 대체 인력이 많습니다. 그러니깐 고용주 입장에서는 돈을 많이 줄 필요가 없는것 같습니다. 저분들에게는 저 돈도 본국에서 버는것보다 많기 때문에, 다들 수긍하고 합니다. 조선소나 이런데 가보면 진짜 밑에 일하시는분들 월급이 한국돈으로 70~100만원선정도인데도 계속 자기들 계약 연 장해 달라고 하더라구요. 특히 요새는 영어잘하는 필리핀분들이 많이 오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겔랑이나 이런데 가보시면 압니다. 이 분들 진짜 적은 월급 받으시고, 숙소비 없어서 밖에서들 주무시곤 합니다ㅠ 한국인분들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현상인것 같습니다.ㅠㅠ      

Q

열람중

사업/직장취업시 한국군 장교 경력 인정되나요? (컴퓨터, 정보 …

  • 답글 : 4
  • 댓글 : 5
답변진행중
zimh@ck(zimhack) 2016-10-12
추천수 : 0 조회수 : 2,563

안녕하세요. 현재 입시를 치르고 있는 재수생 입니다.   지금 입시 공부를 해야할 시기에 취업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많이 이를 수도 있겠지만   제 고민에 대해 답변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전 2007년~2008년 2년동안 (초4,초5) 싱가포르에…

  • A

    아시다시피 싱가폴도 징병제를 채택한 나라입니다. 그만큼 군필자를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있죠. 하지만 스펙으로 사용하기엔 힘듬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IT 분야 쪽의 대접은 굉장히 좋은편이며 관련 분야 경험을 최고로 칩니다. 싱가폴 취업을 희망 하신다면 영어, 관련 분야 학위와 경험을 준비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3
  • A

    7년동안 기술장교로 복무 (의무복무 3년 + 장학금 수혜기간 가산복무 4년) 라면 군장학생이나 마찬가지 일텐데 우선 군생활이 본인과 잘 맞을 수 있는지를 생각해보셔야 할 것 같고요. 7년 군생활 짧은 시간 아닙니다. 복무 마치면 대위제대 할텐데 군생활하고 사회생활하고는 많이 다릅니다.      

    1
  • A

    지금부터 최소 7년 반 뒤인데 너무 아득하네요. 7년전이면.... 7년 후에는 컴퓨터가 일초에 처리할수있는 데이터 량이 테라바이트 급 이상이 될것같네요ㅋ 아무튼 전공명이 정확히 영문으로 뭐로 표기되는지 모르겠지만 군복무기간에 했던것을 경력으로 인정해줄지는 모르겠지만 대학다니면서 관련 기초이론을 탄탄히 배우시고 군 복무기간에도 기술을 꾸준히 익히시고 하신다면 군대에서 배우시는 기술이 7년뒤에도 시대의 흐름에 어긋나지않는 분야라면 굳이 경력을 인정해주지 않더라도 실력으로 원하는 자리를 찾을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1
Q

NO.50

사업/직장싱가포르 구직, 생활 관련 정보 문의

  • 답글 : 2
  • 댓글 : 4
답변진행중
min0092(min0092) 2016-08-23
추천수 : 0 조회수 : 2,766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포르 구직 관련 정보를 얻고 싶은 29살 성실한 청년 입니다. 현재 호주에서 워킹 홀리데이 비자로 호주인 레스토랑에서 주방보조로 1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3개월 뒤면 비자 만료라서 또 다른 사회경험을 얻고자 싱가포르 취업에 관심이 생겨서 이렇게…

  • A

    안녕하세요 페이스북 싱가포르 직장인 커뮤니티 운영자입니다 우선 대충 한국촌 글 보셔서 어느정도 감은 잡으셨겠지만 질문자님의 스펙으로 봐서는 싱가폴 아니여도 충분히 다른국가의 취업도 가능할꺼 같네요 뭐 배우시려는 마음이 크시다면 다국적음식들이 즐비한 싱가포르도 괜찬죠 허나 주변 아는사람들이나 가끔 페메로 하소연하시는분들 보면... 음..많이 힘들어 하더라구요 인종차별부터 시작해서 급여문제.. 4년대졸이시면 Ep비자도 가능하신데 아무리 4년제여도 경력 안되면 거이 대부분Wp비자를 주더라구요 Wp비자의 경우 급여가 1800불 이상 수령해야 주는거지만 서비스업 특히 호텔직들은 급여들이 1400~1600정도 받습니다 그나마 급여 괜찬게 주고 사람대접해주는 한식당들이 있긴 하지만 한식당 주방에서 일하실껀 아니니시잔아요^^ 급여상관없이 배우시려는 마음이 크시다면 싱가폴오셔서 발품팔아 돌아다니시면 분명 운명적인 직장을 만나겠지만 급여에도 신경이 쓰인다면 저는 비추드리고 싶네요      

    3
  • A

    그냥 지나가려다가 이놈의 오지랖때문에...   4년제 대학 나오시고 영어도 원활한데, 식당 주방 일을 하려는 이유가 뭔가요? 이쪽 직업군을 폄하하려는 건 아닙니다.  단지, 경력을 보니까 아닌거 같아서요. 물론 이것저것 해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주방관련 일을 계속 하고싶어서그러는거라면, 호주에서 정식 취업비자를 받아서 계속 지내세요.    굳이 여기까지 오실 필요는 없는거 같습니다. 윗분도 얘기하셨듯이 박봉이라고 알고 있거든요. 간단하게 얘기해서 저도 비추입니다.      

    1
Q

NO.49

사업/직장직장 계약서 관련

  • 답글 : 4
  • 댓글 : 9
답변완료
waltervon(kainstory2) 2016-08-22
추천수 : 0 조회수 : 2,045

안녕하세요   저는 오는 9월로 싱가포르에 온지 1년되는 현지업체에서 세일즈 마케팅 직무로 일하고 있는 27살 직장인입니다. 요즘 고민이 많아서 이글까지 올리게 되었네요 처음회사에 왔을때 한국인 직원이라고는 아무도 없고 직원들 모두 한국마켓에 대해서는 까마득한 …

  • A

    자꾸 이런 식이면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겠습니까?? 얼마나 일할 때가 없으면 저런 말도 안되는 상황에서도 일을 할까 그것도 주말에도 미친 듯이... 이런 시각이겠죠. 진짜 올려논 글만 보면 심하게 말해서 노예죠.  염장지르는 게 아니라 정확하게 말하면  그런 주말에도 나와서 일하는 열정이면 한국이나 미국 일본등 같은 데서 충분히 성공하죠.  그리고 출장비와 호텔비와 필요시 차량지원이나 지하철이나 버스 택시등 같은 공공대중교통이용금액등 당연히 회사규모와 아무런 상관없이 회사업무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 지극히 당연히 지원하는 거랍니다. 한마디로 급여를 주는 것처럼 당연한 법적인 회사의 의무와 책임이랍니다.  한국대기업에서 근무는 커녕 글 작성한 분은 사회생활 시작자체가 싱가폴에서 처음인게 분명한 것 같은 데,     나도 오지랍 그만부려야지 하면서.. 진짜 답답하군요... 왜 그런 열정으로 우리나라 한국에서 아님 미국 일본등 그런 상대적으로 일자리가 훨 많고 훨씬 정상적인 기업시스템을 가진 그런 나라들에서 지금과 같은 열정으로 도전하고 일하지 않는 지?? 솔직히 이해가 안되는 군요.  이건 뭐 외국까지 와서 구멍가게같은 곳에서 완전 남 좋은 일이나 시키고 싱가폴에서 로컬회사따위 경력은 냉정하게 말해서 향후 커리어에 아무런 도움도 의미도 없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왜? 다른 곳으로 소위 한국이든 미국이든 일본이든 다른 회사들 다른 다국적기업 대기업에 지원하면 그 전회사의 규모와 자본금등 간단하게 낱낱이 다 확인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다른 후배들에게도 항상 하는 말이지만 어디서 어떻게 사회생활을 즉 자기경력을 시작하는 지가 사실 은퇴시까지 평생 직장커리어 전체를 좌우한답니다.        

    5 채택답변
  • A

    정말 어의가 없네요 ㅠ 어떻게 출장비를 본인이 내라하죠?? 이럴때 싱가폴에 정이 떨어지네요.      

    1
  • A

    글 읽다, 내속이 뒤집혀서 글남깁니다. 조카뻘 될것 같은데요.... 일단,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는 회사라고 할 수 없는 곳인것 같습니다. 출장관련 상황만 놓고 봤을때 말이죠. 일단, 서두리지 마시고, 일도 열심히 하지 마시고, 곰곰히 생각해보세요. 내가 싱가폴에 꼭 머물고 싶은지.. 만약, 싱가폴이라는 나라에 정착 하고 싶다? 가정도 꾸리면서 말이죠... 그렇다면,  NUS 나 NTU 에 파트타임 석사과정에 다니세요. 입학준비 하시고,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2년 고생 하시면, 훨씬 좋은 직장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부모님께 도움이 못얻을것 같으시면, 일단, 다른회사로 이직하시고, 학교 다니세요.   꼭 싱가폴이 아니라, 외국이면 된다 싶으시면, 일본, 호주등지로 이력서 날려 보세요. 특히 일본에 일자리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제말이 다 옳다고 볼수도 없읍니다만, 경험을 적어 봤습니다. 혹, 로컬 회사라고 하셨지만, 한국 오너인가요? 그렇다면, 회사이름좀 남겨주세요. 그럼, 건승하세요               

    1
Q

NO.48

사업/직장퇴사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white2nu(byjun) 2016-08-18
추천수 : 0 조회수 : 2,610

혹시.... 여러분들 중에, 싱가포르 현지에서 입사 해서,  6개월 전에 퇴사 하신 분 계신가요? 면접 봤을 내용과 달리, 현재 하고 있는 일이,  거의 신입 때 했던, 10년 전의 일을 하고 있어서, 웬지.. 시간을 거꾸로 가는 느낌을 매일 받습니다. 전에 횄던 분…

  • A

    안녕하세요. 우선 작성하신 내용을 근거로 유추하여 답변을 드리면 6개월 미만 퇴사관련 내용은 아마도 계약서 상의 내용일것 같네요. 사직서 제출후 퇴사일 까지 계약서 대로 비용을 물어내지 않을 경우 고용주가 비자를 취소해주지않아 다른직종으로 이직을 불가능할거라 예상이 됩니다.(워킹비자는 1인당 한회사에서 만 발급가능하며 취소는 고용주나 직업알선 관련 에이전트만 가능합니다) 면접때 들은 직무 관련 얘기는 모르긴 몰라도 고용계약서에 직무, 근무시간, 급여, 복지, 기본적인 근무관련 회사의 각종규정이 첨부되어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계약서의 직무와 현재 직무가 다르시다면 계약 조건을 수정하시거나 계약을 해지할수 있는 근거가 될수있으니 회사에 말씀을 하셔서 해결하시고 원하시는 방향으로 해결이 안될경우 MOM과 함께 조정하셔야 할것 같네요.     

  • A

    회사 내부 규정이라서 여기 물으셔도 답변 얻기 힘드실 거에요. 저도 비슷한 조항이 있었어요 저 같은 경우는 패키지를 받고 온 경우라  1 년 이전 퇴사는 모든 패키지를 물어야 하는 경우 였죠. 어제로 딱 1 년 채우고 이제 자유의 몸이 되었습니다. 아마 다른 방법이 없으시고 돈이 아까우시면 6 개월 채우시는 방법도 방법인데 가끔 HR 에 사정을 해서 WAIVER 받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참고하세요   어떤 회사 다니시는지 모르겠지만 제 친구와 저의 경우를 보면 보통 면접때와 현재 하는일의 직무가 다른 경우는 입사 전에 외부인이 모르는 내부 사정 (회사 정치 및 여러가지 사정) 에 의해서  바뀌는 경우가 비일 비재 하더라구요 이건 한국회사도 마찬가지 일거라 생각합니다. 특히 싱가폴 로칼회사를 다녀본 경험으로서는 한국회사와 다른 점이 크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퇴근 시간 외에는 ^^ 참고하세요      

Q

NO.43

사업/직장싱가포르 취업 (개인 혹은 에이전시)

  • 답글 : 4
  • 댓글 : 2
답변진행중
shj467(shj467) 2016-06-29
추천수 : 0 조회수 : 5,812

  안녕하세요, 싱가포르 취업을 준비 중인 직장인입니다. 지금 국내 컨벤션(영어 담당)에서 일한지 7개월차이고, 내년 1월이면 딱 1년입니다.   저는 내년 2월부터 취업 준비를 해서 5월 안에 싱가포르에 취업하는 게 목표입니다. 싱가포르 취업하기 위해서 이…

  • A

    1. 화상면접을 보고 오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시니어급 이상이 이런기회가 많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100% 불가능은 아니지만 싱가포르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합격을 하고 오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다른나라에 있는 경우 합격을 하고도 안 올수 있는 변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합격하여 비자 프로세스 중에 한국에서 다른 직장에 합격을 해서 안오는 경우도 많고 그런일을 한 번 당한 기업은 아무래도 꺼려합니다. 그리고 와서도 맘에 안들면 그냥 도망가버리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고 하네요. 그래서 여기에 연고가 있는 사람을 더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2. 저도 돈을 지불해야 하는 에이전시 통해서 가는 것은 좀 별로라고 봅니다. 에이전시 통해서 3000-4000 정도 받으면 모를까.  왜 에이전시에서 개인에게 돈을 받는지 모르겠네요 ~        

  • A

    *WP 주거: WP비자를 내주는 고용주는 WP노동자의 신원을 보증하여야 합니다. 퇴근후에도 WP노동자에게 문제가 발생하면 회사의 책임이므로 반드시 집을 장기간 이탈하는경우에는 회사에 알리도록 되어있습니다. 주거비 외에도 신원보증금을 내고 WP를 발급받구요. 회사에서 제공해주는 주거의 형태가 회사의 규모나 고용주의 인격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일정금액을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베이직 셀러리에 추가하여 산정하기때문에 별로 의미는 없습니다. 알고계시는 에이전트를 통한 급여 1500~1800불에 하우징 얼라언스가 포함된 사람도 있다는 말입니다. **한국으로 돌아가는 리턴 티켓 제공은 WP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의무사항이지만 본인이 원하는 비행기티켓을 받는 사람은 많이 못봤네요.   잡을 구하시는 방법은 워낙 다양한 회사에 같은 회사내에서도 저마다 다른 고용계약서에 저마다 다른 국적인 경우가 워낙 많아 정답을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제 경험과 주변에서 쪽지나 개인적으로 질문주신 분들의 상황들을 종합하려 제생각을 말씀드리면 우선 저는 에이전트를 통해서 입싱했구요. 화상면접을 보고 왔습니다. 1.개인 : 우선 구직을 위해서 한국에서 할수있는건 인터넷을 통한 검색과 전화정도가 다 일것 같네요. 화상면접의 경우 회사에 따라 다릅니다. 저도 처음 회사에서는 화상면접을 허용해주었지만 현재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공석이 생겨 한국인을 뽑기위해 한국에있는 지원자와 화성면접을 봐줄수있는지 물어봤는데 거절했습니다. 주변 지인중에 익스피디아와 공항면세점에 화상면접으로 갔던 사람도 봤습니다. 현재 직접 발품을 팔아 싱가폴에 체류하면서 이력서를 넣고 계시는 분도 계신데 생각보다 취업의 벽을 뚫는게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또한 좀 많이 의심이 많은 애들이라 연고가 없는 외국인 보다는 내국인, 외국인중에서도 내국에서 경력이 있는 구직자를 선호하는 것 같구요.   2. 에이전트 : 일단 채용 프로세스에서 구직을 위한 정보수집에 직접 나서지 않아도 누군가가 소개해주는 정보로 구직을 하루있어서 편리하긴 합니다만 문제는 전문성과 정확성인것 같습니다. 우선 헤드헌터와 잡 에이전트는 비슷하지만 그 성격이 다르구요. 대부분 잡에이전트를 통해 구직을 하지만 잡에이전트는 사람을 소개해주고 소개비를 받아 먹고 사는 사람들 입니다. 회사가 좋건 구직자가 문제가 있건 상관없이 고용계약을 성사 시킴으로서 이윤을 취하게 되구요. 그에 따라 어떤 사명감 보단 머릿수를 채우는데 급급한 사람들이 대부분인게 현실인것 같습니다. 에이전트 역시 전문성이 없어서 구직자가 원하는 직종과 매칭이 잘 이루어 지는 경우를 보기 힘들구요. 대부분 계약성사를 위해 회사를 부풀려 말하고 구직자의 이력역시 장점만 전달되는것 같습니다.  또한 로컬에서 안좋은 업체라 현지인들이 잘 가려고 하지 않는 회사에 매칭이 되는 경우도 많은것 같구요.^^ 회사에 들어같는데 같이 일하는 친구들이 온통 말레이 밀리핀 미얀마 인도 중국인이라면 여기가 거기구나 하시면 됩니다. 또한 면접비를 요구하는 에이전트도 있구요. 일정기간안에 퇴사를 하면 퇴사를 못하게하려고 얼굴을 붉히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헤드헌터의 경우 굳이 잡을 찾으려 하지않아도 데이터베이스에 이력정보를 등록해 놓으면 지들이 전화와서 면접한번 보라고 이력서 양식 제대로 써서 보내달라고 사정합니다. 당연히 돈을 요구하지도 않구요.   싱가폴에서 고용은 매우 유연한 시장이라 일단 한번 발을 들여놓으면 한국보다는 이직의 기회가 쉽게 찾아오는것 같지만 그래도 비자 프로세스가 있어서 내국인 만큼 유연하게 옮겨다니지는 못하는것 같네요. 준비 잘 하셔서 입싱 성공하시길 바라고 혹시 개인적으로 궁금한내용이나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언제든지 쪽지 주세요. 그럼 화이팅 하시고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 A

    에이전시 상담도 여러군데 받아보고 기껏해야 1500-1800불 받을수 있는 직장 소개해주면서 몇백만원 받는다는 말에 결국 혼자 고생하며 직장구했습니다. (월급이 너무 적지않냐는말에 꾸중도 들었습니다ㅎㅎ 맘에 안들면 혼자 구직활동 하라며...)   혼자 직장 구하는거, 당연히 힘들죠. 하지만 대가가 있더군요. 경력하나 없는 신입이지만 거의 3000불 받습니다. 혼자 구직활동 하는동안 정말 암담했는데 앞으로도 포기하지 않으면 뭐라도 되겠구나 하는 희망과 할수있다는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물론 지금부터 정말 고생길 시작이겠지만요ㅎㅎ)   일단 할수있는데 까지는 혼자 해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어요. 혹시 별거아닐수도 있겠지만 조언?도움?ㅠ.ㅠ 같은거 필요하시면 쪽지주세요.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