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답변진행중
  • 생활
  • 방 뺄 때 보증금 이런게 일반적인가요?
  • 모티프 (triangle)
  • 질문 : 9건
  • 질문마감률 : 11.11%
  • 2019-06-03 20:46
  • 답글 : 2
  • 댓글 : 4
  • 2,626
  • 0

HDB도 아니고 콘도도 아니고 로비도 있고 상주하는 스태프 있는 조그마한 레지던스 빌딩에서 2년 넘게 살았는데.. landlord는 개인이 아니고 이 레지던스 운영하는 업체입니다. 

 

아무튼 이번달까지만 살고 방 빼려고 엊그제 노티스 주고 

이거저거 질문을 했는데 이 담당자가 예전부터 월세 관련한것만 띡띡 보내고 제가 질문하는것들은 읽고 계속 무시하고 이래서 안 좋은 감정이 조금 쌓여있는 상태였는데 (직접 마주친적은 거의 없습니다. 주로 살면서 문제있는 것들은 건물에 상주하는 스태프랑 얘기했으니까요.. 그리고 이 스태프와는 마찰 거의 없었어요 좋은 사람이라) 이번에도 방 빼는 날짜와 디파짓 관련해서 왓츠앱으로 문의 보내니까 또 읽고도 개무시... 

 

꾹 참고 몇 번 더 물어보니까 이번 월말에 키를 반납하고, 한 달의 프로세싱 기간 (본인 말로는 방 상태 점검하는거라고 하던데 1달씩이나 필요한가요?? 이해가 잘..) 갖고 7월 말에나 디파짓을 돌려준다는 식으로 얘기하길래 이해가 안 가서 더 물어봤더니 띡 전화를 걸더니 짜증내면서 계약서나 읽어봐라 뭔 말만 많냐 이런식으로 비아냥대길래 저도 짜증이 솟구쳐서 쏘아붙이다가 언성 높아지고 전화로 싸웠네요. 그러다가 얘가 뭐 자기가 디파짓 갖고 있으니 계속 싸우면 안 돌려줄 수 있다는 식으로 협박을 하더라구요. 그러고는 끊어버리는데 어처구니가 없어서...

 

다행인 건 디파짓이 500달러밖에 안 되고 (월세는 유틸리티 사용에 따라 다르지만 800달러 전후입니다) 제가 아직 이번달 월세를 안 냈다는 거에요. 이거 분위기가 이번달 월세 내면 이거는 이거대로 털리고 디파짓도 못 돌려받을 가능성이 보여서 일단 안 내고 디파짓 문제 확실히 할 때 까지 뻐팅겨 볼 생각인데 (저는 사실 20일까지만 버티면 그만입니다. 싱가폴 떠나도 돼요.)

 

궁금한 건

 

1. 방 빼고서도 디파짓 바로 안 돌려주고 한 달 뒤에 돌려준다...는게 싱가폴에서는 일반적인 계약 내용인가요? 저는 처음 들어올 때도 그냥 1달 노티스만 주면 된다고 들었지 디파짓을 이렇게 늦게 돌려준다는건 전혀 들은바가 없어서...

2. 집 주인측에서 디파짓으로 협박한 걸 근거로 이번달 월세 지급을 미루거나 디파짓 문제를 확실하게 클리어할 방법이 있나요? 

3. 제 상황은 아직 6월달 월세는 내기 전, 월세는 820이고 디파짓은 500입니다. 집주인은 디파짓 안 줄수 있다고 전화로 협박했고 말뽄새로 보아 디파짓으로 장난질 할 가능성 높아보입니다.. 저는 싱가폴에 이번달 20일까지만 있으면 되는 상황... 마음 같아서는 이번달 월세 질질끌고 미루다가 일부만 내고 나머지는 디파짓 그냥 네가 먹고 그걸로 해결해라 해버리고 싶지만ㅠ 이게 큰 문제가 될까요? 어떻게 행동해야 좋을지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 [답변]
  • 방 뺄 때 보증금 이런게 일반적인가요?
  • 싱가폴젖소 (milchcow)
  • 답변 : 295건
  • 답변채택률 : 14.92%
  • 2019-06-03 23:47

1번만 답변 드리자면 방 빼고 14일까지는 주인측에서 보수 상태 체크로 인하여 홀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 달은 금시 초문이네요.

     

댓글목록

모티프님의 댓글

모티프 (triangle)

네 저도 그렇게 알고 있는데 한 달 씩 걸린다는 얘기를 해서 의아했거든요.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 방 뺄 때 보증금 이런게 일반적인가요?
  • kylrie! (kylriehan)
  • 답변 : 520건
  • 답변채택률 : 15.38%
  • 2019-06-04 12:57

일단 진정하셔요....우린 돈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자나요. 

싱가폴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일입니다. 저도 집을 여러번 옮기다보니 여러 성향의 집주인을 만나보니 돈을 쥐고 있는 입장이 집주인이다보니 너무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게 일단 최선이긴 합니다.

지금은 디파짓 금액이 크지 않으시지만 보통 수백만원 혹 천만원도 하니까요. 

먼저, 디파짓은 바로 돌려주지 않아요.

TA 상엔 14일이긴한데 보통 이 기간을 넘기기 일수예요. 이는 TA를 확인해보세요.  대부분 14일로 되어있었지만 실제로는 20일 이상 걸렸렸어요. 물론 빨리 준 집주인도 있었지만요. 집상태를 꼼꼼하게 보기도 하지만 수리나 청소 이런 저런 견적을 내는데도 시간이 걸리고 빨리 되지 않더라구요. 그 견적에 따라 디파짓에서 offset 해서 줍니다. 

그리도 TA 를 보시면 디파짓으로 월세를 낼 수 없다고 명시 되어 있을꺼예요. 그래서 월세를 안내는건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너는거라 봐도 됩니다. 

금액이 적어도 집주인쪽에서 액션들어 갈 확률이 큽니다. 이런 상황은 지금은 싱가폴을 떠나시더라도 언제 자신에데 불이익으로 돌아올지 모르니 조금만 진정하셔요. 

클레임을 걸어도 월세를 안내면 세입자가 완전 불리합니다.  

디파짓을 언제 돌려주는 것 보다 디파짓을 다 받는게 더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모티프님의 댓글

모티프 (triangle)

네 돈을 받아야하는 입장인데 지금 월세가 디파짓보다 비싸서요.. 집주인도 저한테 월세 제대로 받으려면 저딴식으로 나오면 안 될텐데 뭔 생각인지 모르겠네요.

정석대로 14일이든 20일이든 걸려서 준다는 보장이 있으면 모르겠는데 이미 이 사람이 전화로 디파짓 받기 싫지? 어떻게 되나 보자? 이런식으로 안 줄 수도 있다는 식으로 협박을 한 상태라서요 전혀 믿음이 안 가네요. 누가 봐도 저건 보증금으로 협박하는거죠.

구체적으로 월세를 밀리거나 안 낼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알 수 있을까요? 검색해보니 집주인들 디파짓 안 주고 잠수타고 무시하고 이런 경우가 왕왕 있던데 싱가폴법이 집주인에게 그렇게 일방적으로 유리하게 돼 있나요? 집주인들은 보증금 갖고 장난질 치면서 세입자는 월세 좀 밀리거나 모자르면 바로 액션이 들어간다라... 집주인이 뭘 할 수 있고 또 저에게 어떤 불이익이 생기는지 좀 더 알고 싶네요.

kylrie!님의 댓글의 댓글

kylrie! (kylriehan)

한쪽말만 듣고 상황을 이해하기는 무리가 있어보여서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는건 쉽지는 않은 것 같아요.
조금 릴렉스하셔요....딱 정해진 날짜안에 디파짓을 준다고 정확하게 말하기가 쉽지않을꺼예요.
네, TA에 14일이 보통이지만 님의 TA는 확인해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집주인 입장에서 세입자가 나간 후, 집의 상태를 꼼꼼하게 살피고 필요하면 견적도 받고 그 사람들고 할일이 있어요. 그게 집주인 상황에 따라 14일이 더 걸리기도해요. 서로간의 이해가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TA 기준으로 팩트로만 보면 월세를 안내고 집를 거주하고 있으니 뭘해도 집주인이 무조껀 유리합니다.
세입자가 TA 를 지켰음에도 집주인이 안준다면 스몰코트가셔야죠. 싱가폴 법이 집주인에게 유리하다는 건 아닙니다.  지금은 전적으로 불리한 상황인거죠.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https://singaporelegaladvice.com/law-articles/what-if-i-have-a-tenancy-dispute-or-complaint-in-singapore/

qweqwe1님의 댓글

qweqwe1 (rambotnic)

궁금해서 그러는데, 혹시 위에분들 답변 들으시고 TA 읽어보셨나요??
질문하시는게 거기 나와있을 확률이 높아요.
일단 TA 사인하셨으니까 뭐가 되었든 TA 기준으로 갈거에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73

생활Transferwise 어플 송금시 joint계좌 사…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몰뚜기(sjson71) 2020-08-03
추천수 : 0 조회수 : 3,754

안녕하세요한국으로 송금시 Transferwise 어플사용을 처음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경험해보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1. 받는사람 계좌번호까지는 잘 등록했는데 그 다음 빠져나갈 싱계좌입력시 이게 Joint Account(남편,와이프공동)이어도 문제없이 진행이 되는…

  • A

    전 InstraReM 과 TransferWise 둘 다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환율을 비교해 보면 금액에 따라 조금 변동이 있어 둘 다 사용합니다.TransferWise 로 송금시 님의 싱계좌에서 돈이 빠져 나간다기 보다는 보내는 금액에 따라 견적이 나오고 그 금액을 TransferWise 계좌로 님께서 송금을 하신다고 보시는게 더 정확합니다. 따라서 님의 계좌가 공동계좌라 하더라도 본인 이름이 포함되어 있고 My account 등록시 문제없이 등록을 하셨다면 송금시 reference 번호만 잘 입력하시면 됩니다. 물론 계좌이체 말고 PayNow를 대신 사용하셔도 되구요.입금을 하시고 나서 마지막 단계로 돈을 보냈다, 라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그러면 확인을 해 주는 이메일이 오고 나중에 돈을 수취인에게 보냈다 등의 연락이 올 겁니다.마지막으로 수수료 질문은 송금하는 쪽에서 부담하는 것 말고는 없습니다. 보내는 쪽에서 부담하는 수수료가 전부이니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1 채택답변
Q

NO.72

생활에어컨 냉매가스 충전해보신 분 계신가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winter wonde(eun0126) 2020-06-11
추천수 : 0 조회수 : 2,400

안녕하세요. 에어컨을 틀면 작동은 하는데, 찬 바람이 안 나와서 검색을 해보니 냉매 가스가 부족해서 충전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더라구요. 혹시 냉매 가스 충전해보신 분 얼마 정도 비용 드셨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에어컨 청소할 때도 겹쳐서 에어컨 청소도 같이 …

  • A

    청소보다는 그런 작업들이 더 도움이 되기 때문에 청소하는 업체에서는 언제나 충전가스 가지고 다닙니다. 현재 청소 맡기는 업체가 있다면 에어컨 가스 탑업비용 얼마냐고 물어보시면 되요.      

  • A

      제가 아는 선에서 말씀드리면 에어컨 냉매는 소비되어서 줄어드는 것이 아닙니다. 실외기 파이프 안에서 순환되기 때문에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인데요. 냉매가 부족하다면 냉매를 충전하시기 전에 어디에서 냉매가 새는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일부 양심없는 에어컨 서비스 업체에서 냉매가 부족하니 충전해야 한다 라고 하는데, 게이지로 한번 보여달라 하세요. 구글로 적정 압력 검색해서 공부 좀 하시면 됩니다. 혹은 진짜로 냉매가 부족해서(새서) 충전해 달라 했을 때 그냥 냉매만 충전하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되면 몇주 혹은 몇 달 후에 다시 비싼 돈 주고 냉매 충전해야 합니다. 새는 곳을 찾아서 수리한 후에 냉매 충전하셔야 합니다.   수고하세요      

  • A

    위에 이미 답변 하신내용에 첨언하겠습니다. 에어컨 냉매는 자연적으로 줄어드는 것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 에어콘 청소 불량으로 어딘가 막힌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한국과 다르게 일년내내 고온 다습한 기후로 에어콘 여기저기에 습기와 곰팡이로 꼭 자주 전문 청소를 해주어야 합니다. 몇달만 청소를 안해도 냉방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기기고장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대부분의 아파트 계약서에 청소를 언급하는 이유입니다. 쓰다보니 제가 에어콘 서비스업체 광고 같은데 저는 전혀 관련없는 사람입니다.                    

Q

NO.70

생활sp bill관련해서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냐니냐니(ilovestudy) 2020-02-20
추천수 : 0 조회수 : 1,423

2인가구 평균 유틸리티빌 가스 전기 물 합쳐서 매달 평균 160-170달라 냈었어요 근데 1월달에 갑자기 230달라 나오구 이번달엔 200달라 나와서 sp에 연락했었더니 그냥 사용량이 는 만큼 요금 나온거라 하는데 사용량이 특별히 늘거나 줄지 않았는데 왜그런걸까요…

  • A

    저희는 2인가구 전기, 수도만 해서 (인덕션이라 가스 없음) 평균 100불 나와요. 많이 나오는 달은 120불, 적게 나오는 달은 90불 정도...      

  • A

    전 갑자기 2배 이상 청구가 되서 SP Group에 문의한적이 있습니다. 물어보니 이게 매달 미터기를 측정하는게 아니고, 홀수 달만 책정하고, 짝수 달의 경우에는 측정한 홀수 달 사이의 사용량을 평균내서 금액을 책정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8월 청구 액의 경우에는 5월하고 7월 사이 사용량에 평균내서 일일 사용량을 구하고 곱하기 30 하는 형식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저희 가족도 한달 괜찮길래 안심하고 그정도 사용량 그대로 다음달에도 유지했더니 엄청난 금액이 나왔던거구요..혹시나 그래도 너무 의아하게 많이 나오셨으면 아래 주소로 문의해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customersupport@spgroup.com.sg      

  • A

    산정하는 방식은 위에분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저도 처음에 깜짝 놀랐었어요.   전기와 같은 경우에는 에어컨이 몇개인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을듯 한데, 밑에 링크 가보시면 housing type 별로 평균 사용료 및 사용량이 나와있으니 한번 보시고 비교해보세요. 페이지 아래부분에 gas, water, electricity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pgroup.com.sg/what-we-do/billing?gclid=EAIaIQobChMIrPWqjY7p5wIVFRiPCh3-uQSkEAAYASAAEgIOQ_D_BwE   아 그리고 bill에 잘 보시면 동네 평균이랑 비교해서 어느정도 사용했는지 나올텐데요.      

Q

열람중

생활방 뺄 때 보증금 이런게 일반적인가요?

  • 답글 : 2
  • 댓글 : 4
답변진행중
모티프(triangle) 2019-06-03
추천수 : 0 조회수 : 2,627

HDB도 아니고 콘도도 아니고 로비도 있고 상주하는 스태프 있는 조그마한 레지던스 빌딩에서 2년 넘게 살았는데.. landlord는 개인이 아니고 이 레지던스 운영하는 업체입니다.    아무튼 이번달까지만 살고 방 빼려고 엊그제 노티스 주고  이거저거 질문을 했는…

  • A

    1번만 답변 드리자면 방 빼고 14일까지는 주인측에서 보수 상태 체크로 인하여 홀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 달은 금시 초문이네요.      

    1
  • A

    일단 진정하셔요....우린 돈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자나요.  싱가폴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일입니다. 저도 집을 여러번 옮기다보니 여러 성향의 집주인을 만나보니 돈을 쥐고 있는 입장이 집주인이다보니 너무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게 일단 최선이긴 합니다. 지금은 디파짓 금액이 크지 않으시지만 보통 수백만원 혹 천만원도 하니까요.  먼저, 디파짓은 바로 돌려주지 않아요. TA 상엔 14일이긴한데 보통 이 기간을 넘기기 일수예요. 이는 TA를 확인해보세요.  대부분 14일로 되어있었지만 실제로는 20일 이상 걸렸렸어요. 물론 빨리 준 집주인도 있었지만요. 집상태를 꼼꼼하게 보기도 하지만 수리나 청소 이런 저런 견적을 내는데도 시간이 걸리고 빨리 되지 않더라구요. 그 견적에 따라 디파짓에서 offset 해서 줍니다.  그리도 TA 를 보시면 디파짓으로 월세를 낼 수 없다고 명시 되어 있을꺼예요. 그래서 월세를 안내는건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너는거라 봐도 됩니다.  금액이 적어도 집주인쪽에서 액션들어 갈 확률이 큽니다. 이런 상황은 지금은 싱가폴을 떠나시더라도 언제 자신에데 불이익으로 돌아올지 모르니 조금만 진정하셔요.  클레임을 걸어도 월세를 안내면 세입자가 완전 불리합니다.   디파짓을 언제 돌려주는 것 보다 디파짓을 다 받는게 더 중요합니다.       

    3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