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 [질문]
  • 미답변
  • 기타
  • 감사합니다
  • 피터팬 (musicoh)
  • 질문 : 9건
  • 질문마감률 : 0%
  • 2004-07-10 17:34
  • 답글 : 0
  • 댓글 : 0
  • 991
  • 11
연락해서 상의 드려 볼께요     

꼭 필요한 질문, 정성스런 답변 부탁드립니다!

Q

NO.969

기타싱가폴 영주권 받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토미(tommi) 2004-07-23
추천수 : 3 조회수 : 1,605

EP(employment pass)를 통해 곧 싱입국예정자입니다. 싱가폴 영주권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전에 영주권을 받으면 어떠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는 지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가 있는지요? 현재까지 한국의 개인연금 입금액이 3…

  • A

    싱가폴와서 일 하시면서 차차 생각을 하심이 좋을듯 하네요.. 영주권을 받는다고 해서 받는 사람에 대해서 특별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지는 않는거 같습니다. 다만 CPF 혜택을 볼수 있고, EP 를 갖고 있는것 보단 이민국을 좀더 덜 가도 된다는 장점이 있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시민권을 받는다는건 한국국적을 포기한다는 겁니다. 한국에서 낸 국민연금은 영주권이 나오면 다 받을수 있다고 합니다. 싱가폴엔 국민의료보험 없습니다. 건강하셔야 합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의료보험 혜택을 보시겠지만, 많은 분들이 여기 의료 시스템이 user 입장에선 한국보다 friendly 하다고 생각 안하시는거 같습니다. 어느 나라던지 일단 와서 한번 겪어 보시면서 생각 하시는게 좋을겁니다. 겉으로 보기엔 한국보다 일인당 국민소득도 높고 선진국 처럼 보이지만, 좀 특이한 나라입니다.  그리고 복지라는 개념도 별로 없는거 같구요. 국민의 1/4 이 외국인이고, 근로인구의 1/3 이 외국인입니다, 보통 외국인의 pay 가 많이 높구요. 그래서 국민소득이 높아 보이는거 같습니다. 같이 일하는 사람중에 말레이시아 PR 인 사람이 있습니다. MD 라서 소득역시 엄청 높죠. 하지만 여권은 여전히 말레이시아 입니다. 영주권만 있어도 사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굳이 한국국적을 포기하면서 까지 싱가폴 시민일 필요가 있을까요 ? 와서 생활해보시면 한국의 장점을 많이 발견 하실수 있을겁니다. 그럼 수고하세요.. >EP(employment pass)를 통해 곧 싱입국예정자입니다. >싱가폴 영주권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전에 영주권을 받으면 어떠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는 지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가 있는지요? >현재까지 한국의 개인연금 입금액이 3000만원정도 됩니다만, >현재로선 수급자격이 요원하고, >해외이민자의 경우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취업을 위해 나왔습니다만, 재 입국을 할 생각은 그다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이민을 할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싱가폴시민이 되면 한국의 의료보험제도와 같은 혜택이 있는지요? >또, 만약에 싱가폴영주권을 받고서 나중에라도 다시 미국으로 들어간다면, >미국영주권이나 시민권을 받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을까요? >영주권이나 시민권에 대한 이주선배님들의 고견을 주시면 저의 판단의 근거로 삼겠습니다.     

  • A

    결론 부터 제 의견은...  싱가폴은 젋은 시절 나그네로서 잠깐 지나가기에는 좋은 곳. 그러나 여러 정황을 비교할 시에 결코 영주하고 싶은 나라는 아님.   우선 영주권은 직장을 이곳에서 6개월 이상 다니시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이민국에서 심사 후에 영주권을 줍니다. (심사 기준은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지는 않습니다.) 보통 5년 정도의 한정 기간 영주권을 주고 갱신시에 과거 3년 이상 싱가폴 직장 경력을 증빙해야 또 영주권 갱신해 줍니다.  보통 우리가 아는 영주권과 개념이 틀리지요.  즉 직업을 갖고 있는 한 부여되는 영주권입니다.(  결혼해서 영주권을 받은 경우는 또 다릅니다만 그것도 다른 선진국과는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지요) 참고로 저는 이곳 영주권자입니다.  영주권이 있으면 세금이나 cpf 혜택을 받는정도의 혜택이 있지요.   해외 선진국이랑은 여러모로 정말 틀립니다...   윗분이 병원 예를 드셨는데요... 쪼끔 더 보태면... 한번 출산하면 최하 200만원 들지요.여기는 작은병도 큰병도 한 번 걸리면 돈 장난 아니게 듭니다... 전문의 찿아가면 한번 방문에 최소5만원- 8만원 (병원과 처방에따라) , 의사 기다릴려면 최소 40분... 그렇다고 의사의 수준이 높는가하냐면...  좀 의심 스러울 때가 많죠... 보통 주택가에 있는 일반 의원은 한국의 80년대 초반 시골의 보건소 같은 느낌..!!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말이 많지만 그래도 그 정도면 엄청난 혜택입니다!! 그러니 정말 건강해하는데  바깥 날씨는 일년 365일 한국의 삼복 찜통더위, 사무실은 에어콘 땜시 얼어 죽을 지경이지요. 집에서는 부채질도 힘들어 늘어집니다.  입맛도 떨어지고 감기를 달고 삶니다..! 그냥 이곳 삶의 한 부분을 말씀드립니다.  저랑 다른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니 다른 분의 의견도 들어보시고 본인도 직접 경험해 보세요.  개인마다 원하는 삷이 틀리니까요.  그럼 즐거운 입싱되세요! >싱가폴와서 일 하시면서 차차 생각을 하심이 좋을듯 하네요.. > >영주권을 받는다고 해서 받는 사람에 대해서 특별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지는 않는거 같습니다. 다만 CPF 혜택을 볼수 있고, EP 를 갖고 있는것 보단 이민국을 좀더 덜 가도 된다는 장점이 있는거 같습니다. > >그리고 시민권을 받는다는건 한국국적을 포기한다는 겁니다. 한국에서 낸 국민연금은 영주권이 나오면 다 받을수 있다고 합니다. > >싱가폴엔 국민의료보험 없습니다. 건강하셔야 합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의료보험 혜택을 보시겠지만, 많은 분들이 여기 의료 시스템이 user 입장에선 한국보다 friendly 하다고 생각 안하시는거 같습니다. > >어느 나라던지 일단 와서 한번 겪어 보시면서 생각 하시는게 좋을겁니다. 겉으로 보기엔 한국보다 일인당 국민소득도 높고 선진국 처럼 보이지만, 좀 특이한 나라입니다.  그리고 복지라는 개념도 별로 없는거 같구요. 국민의 1/4 이 외국인이고, 근로인구의 1/3 이 외국인입니다, 보통 외국인의 pay 가 많이 높구요. 그래서 국민소득이 높아 보이는거 같습니다. >같이 일하는 사람중에 말레이시아 PR 인 사람이 있습니다. MD 라서 소득역시 엄청 높죠. 하지만 여권은 여전히 말레이시아 입니다. 영주권만 있어도 사는데는 지장이 없습니다. 굳이 한국국적을 포기하면서 까지 싱가폴 시민일 필요가 있을까요 ? >와서 생활해보시면 한국의 장점을 많이 발견 하실수 있을겁니다. > >그럼 수고하세요.. > > > > >>EP(employment pass)를 통해 곧 싱입국예정자입니다. >>싱가폴 영주권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전에 영주권을 받으면 어떠한 책임과 제약사항등이 생기는 지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영주권과 시민권의 차이가 있는지요? >>현재까지 한국의 개인연금 입금액이 3000만원정도 됩니다만, >>현재로선 수급자격이 요원하고, >>해외이민자의 경우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취업을 위해 나왔습니다만, 재 입국을 할 생각은 그다지 없습니다. >>그렇다면 아예 이민을 할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싱가폴시민이 되면 한국의 의료보험제도와 같은 혜택이 있는지요? >>또, 만약에 싱가폴영주권을 받고서 나중에라도 다시 미국으로 들어간다면, >>미국영주권이나 시민권을 받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은 없을까요? >>영주권이나 시민권에 대한 이주선배님들의 고견을 주시면 저의 판단의 근거로 삼겠습니다. > >     

Q

NO.967

기타Singapore 에서 TESOL course 해 보신…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여름향기(empetitviolet) 2004-07-21
추천수 : 20 조회수 : 1,147

Singapore 에 사는 동안 TESOL 을 해 보고 싶습니다. 혹 해 보신 분이 있슴, 알고 싶어여. 어느 학원/기관에서 하는 것이 믿을만 하고 좋은지? 영어관련 학과를 다니지 않은, 다시 말하면 영어적인 background가 없는 경우도 할 수 있는지여?  회화는…

  • A

    저도 관심이 있어서 전에 질문을 올린적이 있었는데여 그 때 주셨던 답변을 복사해서 올리니 참고하세여 영국 문화원 언어센터 (The British Council Teaching Centre)에서 TESOL과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연락해 보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싱가폴 중심지 오차드로드에 가까이 위치한 The British Council은 영국 문화원에서 운영하는 싱가폴 최고의 언어학교이다. 가격이 비싼편이지만 좋은 시설과 훌륭한 강사진, 프로그램등으로 한인들에게 인기가높다. English Language Courses........................................473-6661              School courses (Pri & Sec)              Pre-Primary Courses              Courses for adults Business communication Courses.............................472-2221 CREST......................................................472-2221 Teacher Training...........................................463-5525 British Distance Learning Degrees in Singapore.............470-7175 Information Services.......................................475-4695 Study in Britain...........................................473-4357 주소: 30 Napier Road, Singapore 258509 대표전화 : 473-1111,  Fax: 472-1010 홈페이지 : http://www.britishcouncil.org.sg E-mail : english@britishcouncil.org.sg     

Q

NO.959

기타교환 Language Study에 관심이 있으신 분.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jeong(jeong) 2004-07-18
추천수 : 12 조회수 : 1,369

안녕하세요, 제 wife(대만인)가 한국인 친구를 사귀고 싶어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 wife말로는 서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배울 수 있고 친구도 사귈 수 있다고 하는군요. 제 wife는 영어와 중국어로 소통가능하며 한국어도 조금합니다. 교환  Language S…

  • A

    근데 어디 사시는지 대충 나이가 어느 정도 이신지 궁금합니다 마음이 있어도 넘 멀리 사신다거나,  나이 차이가 많으면 관심분야가 틀리니깐요 친구가 되고 싶은 분들은 최소한 이 정도는 궁금해 하실것 같아서 멜로 안보내고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좋은 친구 많이 만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제 wife(대만인)가 한국인 친구를 사귀고 싶어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 wife말로는 서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배울 수 있고 친구도 사귈 수 있다고 하는군요. >제 wife는 영어와 중국어로 소통가능하며 한국어도 조금합니다. 교환  Language Study에 관심이 계신 분(여성분에 한 함)은 연락주시면 됩니다.   >제 mobile number : 9101-7042.   jeis1004@yahoo.com > >     

  • A

    감사합니다 관심을 가져주셔서요,,, 제 wife나이는 20대 후반이구요, 이곳에 신상정보를 쓰기가 조금 어색할것(?)^^ 같아 자세한 내용은 입력안했던겁니다,,제 wife는 글쎄요,, 한국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서로 Language change하는데는 나이차이는 큰 문제가 안된다고 하네요 그리고 거리문제도 Singapore는 조그마한 city country이기 때문에 서로간에 편리한 날 또는 시간에 만날 수 있다고합니다 그리고 한국을 좋아한답니다. 한국드라마도 좋아하구요,,,,좋은 답변이 되셨는지요,,,,,오늘 pm5;30에 오차드로드 썸머셌MRT 건너편에있는 로빈슨백화점의 멕도널드에서 한분을 만나기로 했습니다. 제 wife와 좋은 language 친구가 됬으면 합니다,,,,,또 더 많은 친구분들을 사귀면 더욱 좋구요,,,. 감사합니다. >근데 어디 사시는지 대충 나이가 어느 정도 이신지 궁금합니다 >마음이 있어도 넘 멀리 사신다거나,  나이 차이가 많으면 관심분야가 틀리니깐요 >친구가 되고 싶은 분들은 최소한 이 정도는 궁금해 하실것 같아서 멜로 안보내고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좋은 친구 많이 만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제 wife(대만인)가 한국인 친구를 사귀고 싶어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 wife말로는 서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배울 수 있고 친구도 사귈 수 있다고 하는군요. >>제 wife는 영어와 중국어로 소통가능하며 한국어도 조금합니다. 교환  Language Study에 관심이 계신 분(여성분에 한 함)은 연락주시면 됩니다.   >>제 mobile number : 9101-7042.   jeis1004@yahoo.com >> >> >     

Q

NO.956

기타태극기 휘날리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grace(bhj1440) 2004-07-15
추천수 : 32 조회수 : 1,277

오늘 개봉한 태극기 휘날리며...보셨어요? 꼭 한번 보세요.. 손수건도 꼭 준비해서 가세요.. 너무 감동이고요,  우리 민족을 그리고, 우리영화를 사랑하게 될 따뜻한 영화입니다.     

  • A

    정말 괜찮은 영화인거 같아요.. 저는 토요일 밤 심야상영봤는데 그 시간에도 거의 매진이었습니다.... 아마 싱가폴에서도 크게 히트칠거 같습니다. >오늘 개봉한 태극기 휘날리며...보셨어요? >꼭 한번 보세요.. >손수건도 꼭 준비해서 가세요.. >너무 감동이고요,  우리 민족을 그리고, 우리영화를 사랑하게 될 따뜻한 영화입니다. >     

  • A

    저도 보았습니다. 가슴이 찡하고, 전쟁을 겪어보지 못한 세대에 시사하는 바가 참 큰 영화인듯 합니다 제가 느낀것 이것 저것 글을 올리고 싶지만, 백문이 불여일견입니다. 그려. 감동 그 자체입니다. >정말 괜찮은 영화인거 같아요.. >저는 토요일 밤 심야상영봤는데 >그 시간에도 거의 매진이었습니다.... >아마 싱가폴에서도 크게 히트칠거 같습니다. > > >>오늘 개봉한 태극기 휘날리며...보셨어요? >>꼭 한번 보세요.. >>손수건도 꼭 준비해서 가세요.. >>너무 감동이고요,  우리 민족을 그리고, 우리영화를 사랑하게 될 따뜻한 영화입니다. >> >     

Q

NO.954

기타싱가폴에서 출산비용은 얼마나?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마린보이(moocho) 2004-07-15
추천수 : 15 조회수 : 1,749

안녕하세요 싱가폴 교민 여러분 곧 입싱을 앞두고 있는 회사원입니다. 회사 파견으로 싱가폴에 2-3년 거주할듯 싶은데 문제는 아내가 임신중입니다. 입싱할때쯤이면 9개월인데, 한국에서 출산을 해야할지 싱가폴 들어가서 출산을 해야할지 걱정입니다. 싱가폴에선 외국인에게 출산관…

  • A

    제가 여기서 아이를 직접 출산해 본건 아니구요. 주변에서 낳으신 분들의 얘기를 종합해 보면. 자연분만시 여기돈으로 3000불가량(한국돈 200만원) 정도이고 수술을 할경우 5000~ 6000불가량(한국돈 350만원이상) 정도라도 들었습니다. 근데, 지금이 임신 9개월이면 아마 국제선 타기가 쉽지 않을수도 있겠는데요. 그 관련사항을 항공사측에 미리 문의해보심이 어떨지.... 제 생각으로는 남편분이 옆에 없으시니까 싱에 와서 낳는게 낫지 않나 하는생각을 하시는데, 몸조리를 하실거면 한국에서 낳고 오심이 나을수도 있습니다. 국내선은 생후 2주후면 태울수 있구여... 국제선은 아마 4주이후였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100일 지나고 왔지만....     

  • A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 하고 몇자 적어봅니다. 저는  kk 병원에서 아이를 낳았습니다. 자연분만(유도분만)으로 해서 정확히 싱달러로 2950불 들었습니다. 1인실 병실에, 프리미엄 패키지로 해서 패키지 가격이 2500불 정도였고, 거기에 한 450불이 추가된거죠.. 보통 자연분만 하신다면 1000불 미만으로 추가될겁니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구나 약, 주사등도 모두 나중에 병원비에 다 포함됩니다. 심지어 분만실 사용하는 시간도 시간당으로 계산합니다. 아주 정확하죠.. 너무 합리적이라 할 말이 없습니다. 그리고 기본이 자연분만은 입원이 2박, 수술은 3박입니다. 여기는 분만실에서도 남편분이 같이 계실수 있으니, 영어의 의사소통문제는 크게 걱정 안 하셔도 괜찮을 겁니다. 남편분이 옆에서 도와주시면 되니까요.. 출산비용도 문제지만, 아기를 낳은 후 산모의 몸조리와 신생아를 돌봐주실분도 중요하죠. 그런문제들이 해결되셨다면, 여기도 사람사는 곳이므로 별 걱정안하시고 오셔서 낳으셔도 무방합니다. 아무래도 출산시 남편이 옆에 있는것처럼 큰 힘은 없으니까요.. 남편분의 많은 도움이 부인에게 힘이 될겁니다. >안녕하세요 싱가폴 교민 여러분 >곧 입싱을 앞두고 있는 회사원입니다. 회사 파견으로 싱가폴에 2-3년 거주할듯 싶은데 >문제는 아내가 임신중입니다. >입싱할때쯤이면 9개월인데, 한국에서 출산을 해야할지 싱가폴 들어가서 출산을 >해야할지 걱정입니다. 싱가폴에선 외국인에게 출산관련해서는 보험적용이 안되고 >또 기본적으로 병원비용이 비싸다고 들었습니다. 또 아내는 기본적인 영어외에는 >회회가 불가능합니다. > >싱가폴에서 출산하신 경험이 있는 교민들께서 출산비용이 얼마나 들었는지 좀 >알려주세요... 게시판에서 좀 찾아보기는 했으나 전체적으로 얼마가 들었다는건지 >잘 모르겠네요... > >한국에서 아기를 낳고 들어올려면, 몇개월 떨어져 지내야 하고 출산할때 옆에 있어주지 >못할수도 있어서 웬만하면 싱가폴에서 낳고 싶은데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 >또 만약 한국에서 아기를 낳고 들어간다면 들어갈때 꼭 준비해야 할께 있나요? >많은분들이 리플 달아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 > > >     

Q

NO.952

기타자녀들을 싱가폴에 유학시키고 싶으신 분들은...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하늘 사랑(lesgod) 2004-07-14
추천수 : 13 조회수 : 1,051

저는 중어 중문학을 전공한 한국 사람으로 싱가폴인과 결혼해서 싱가폴에 거주한 지 오래되었고 영주권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싱가폴에서 유학중인 한국 학생들에게 중국어 수업을 하고 있으며 숙소와 학교 알선 및 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자녀분들을 …

  • A

    >저는 중어 중문학을 전공한 한국 사람으로 싱가폴인과 결혼해서 >싱가폴에 거주한 지 오래되었고 영주권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싱가폴에서 유학중인 한국 학생들에게 중국어 수업을 하고 있으며 >숙소와 학교 알선 및 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자녀분들을 싱가폴에 유학시키고 싶으신 분께서는 연락바랍니다. >연락처는  6 5 ) 6 7 6 7 - 9 7 5 0   입니다 !     저는 초등5학년의 엄마입니다. 아이와 유학가기전에 답사차원으로 8월중 약3주간 입싱하고 싶습니다. 혹 묵을 믿을만한 한인 홈스테이(교통편한곳)집과 3ㅜ간 입시교육을 해줄 과외교사를 알선해 주실수 있는지요? 학원을 다녀볼려니 학생비자가 필요한것 같더라구요. 그건 시간이 안될것 같아서 과외를 받아봐서 싱가폴 교육에 적응할수있을 지 시험해 볼려구요.홈스테이 비용,괴외비용,10월중의초등편입시험,공립과사립의 입학가능여부,제학년으로의 입학가능여부등이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Q

NO.950

기타여기 나오는 가격들은 모두 싱가폴 달러로 말씀하신것들이…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듀공(dugong) 2004-07-14
추천수 : 16 조회수 : 1,115

싱가폴에 근무하러 가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USD4만불 정도 줄수 있다고 하고 (세전으로) 집은 원하면 돈으로 주던지 회사에서 주던지 택하라고 하고 있구.. 집값은 한국돈으로 100만원 정도까지는 나온다고 합니다. 돈으로 받아서 원하면 싼거를 구하고 차액을 개인월급으로 …

  • A

    연봉 US4만불 => S약 6만5천불 ... 월 평균 5,400불   한국에서 200-300만원 정도 월급 받는 것과 비슷한 의미의 생활이 가능할 듯... 집세보조 100만원 => 약 1,500불 방1(스튜디오) 혹은 2 짜리(약간 변두리 지역, 시내에서 전철로 20분 정도 + 버스 5-15분) 1,000불 - 1,500불, 시내 중심가는 약 1.5-2.5배정도... 고급 아파트 = 콘도(울타리가 있고, 경비원이 상주함, 단지 내에 수영장, 짐, 테니스장, 바베큐장, 등의 편의 시설 있음) 서민 아파트 = HDB(housing and development board)우리 나라의 주공아파트, 담이 없고, 그냥 아파트, 상가만 있음.. > >싱가폴에 근무하러 가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USD4만불 정도 줄수 있다고 하고 (세전으로) 집은 원하면 돈으로 주던지 회사에서 주던지 택하라고 하고 있구.. 집값은 한국돈으로 100만원 정도까지는 나온다고 합니다. 돈으로 받아서 원하면 싼거를 구하고 차액을 개인월급으로 써도 된다고 하네요. >이게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감이 안 잡혀서요. >지난 목록을 읽어보니까.. 여기서는 아파트 같은거를 콘도라고 하나봅니다. >혼자서 살만한 방1개 거실 부엌. 보안되어 있는 중급이상의 콘도를 구하려면 얼마정도 주어야 할까요.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