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630

기타현재 구직중.. 조언 좀 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3
답변진행중
구직중(dehbora) 2010-05-07
추천수 : 8 조회수 : 1,388

전 현재 싱가폴 온지 1년 되었구요. IT 관련 경력이 10년 넘구요. 한국에서 외국계 IT 기업에서 8년 넘게 일했습니다. 싱가폴에서 이제 구직을 해보려고 하는데. 참 어렵네요. 일단 monster나 jobsdb 같은데 구직등록은 했는데. 연락이 안오네요. T.T …

  • A

    저도 얼마전에 구직을 해서 안타까운 마음에 몇말씀 드릴께요.. 우선 원하는 분야에 있는 회사를 검색하셔서 가시고 싶은 회사LIST를 만드세요... 싱가폴에서 일하는 장점이...외국계 대기업들이 많이 들어 와 있다는 거잖아요... 근데 그런 기업들은 싱가폴 국내 Association같은 곳에 가입하지 않은 곳들이 많아서 단순히 인터넷 검색을 해서는 들어와 있다는걸 알기가 힘들때도 있어요... 그래서 전 그냥 제가 아는 영국/미국계 회사중에 싱가폴 office가 있는지를 일일히 본사 사이트를 뒤져가며 검색했구요... 그리고 정 안되신다면... 왠만한 중/대기업크기의 회사는 IT파트가 있으니까 (은행, 건축회사, 등등) 분야를 불문하고 IT support role로 apply하실 수 있을 것 같네요... 암튼 이렇게 검색을 하셔서 회사리스트를 작성한 다음, 제일 중요한게 원서를 우!편! 으로 보내는거에요... 솔직히 HR 이나 job agency로 이메일은 보내면 그게 타이밍이거든요..타이밍이 맞지않으면 그냥 새로오는 이메일에 밀려버려서 전혀 안보는 경우도 많아요 (HR에 일하는 친구에 의하면)... 근데 적어도 우편으로 보내면 그게 하드카피로 누구든지 보게 되잖아요...    굳이 온라인으로 보내실려면 가장 좋은 시간은 working day, working hour중 입니다...그러면 메일 왔습니다! 하고 띵! 뜨니깐요 그리고 Cover Letter랑 CV 꼼꼼히 쓰시구요... 커버레터에서는 보통 그 apply 하는 position에 대해서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 쓰는데 제가 말씀드린 방법으론 그 회사가 사람을 구하고 있는지는 모르니까 그냥 현재 당신의 staffing needs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상당한 시간동안 당신의 회사를 관심있게 지켜봐왔다 같이 님이 회사 자체에 관심이 있다는것을 어필하세요...단순히 job을 찾는게 아니라 꼭 그 회사에 일하는것을 원한다고...   CV에는 work experience에 최소한 2페이지는 쓰시는 게 좋아요... Resume와 달리 CV는 경험에 집중해서 보는 거니까요...   그리고 외모에 자신있으시다면 증명사진을 잘 찍으셔서 첨부하시구요... 저는 뭐 그냥 안 넣었지만... HR친구에 의하면 자기네들도 귀찮으니까 어쩔땐 그냥 사진보면서 인상좋으면 올려보냈다네요 ;;; 그리고 회사 사이트에 들어가면.. 왠만한 Director이름들은 나와있잖아요... 그럼 우편으로 부칠때 보통 Attention to HR Manager이렇게 쓰지만 해당디렉터 이름으로 부치면 그게 바로 갈 수 있는 확률이 있으니까... 더 확실하겠죠? 아주 싫어 할 사람도 있겠지만 어차피 그사람이 인터뷰어가 될 확률이 있다면 어떻게서든 그 사람 눈에 띄는게 좋겠죠...어차피 nothing to lose라면... 뭐 대충 이렇네요.. 저도 처음에 시작할땐 너무 막막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써요... 저도 처음엔 그냥 온라인으로 넣었다가 일주일 반 넘게 아무 소식이 없어서 이런 방법으로 13군데에 넣어서 이주만에 7군데에서 인터뷰가 들어왔었어요... 저도 주위에 조언을 많이 따른거구요... cv나 cover letter에 대해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쪽지 주세요... 저는 아직 새로운 직장 시작하기 전이라 좀 한가하답니다 ㅋㅋ     

    2
Q

NO.627

기타김치냉장고에 필요한 변압기(인버터) 어디서 살 수 있나…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파쓰리홀(a282man) 2010-03-14
추천수 : 1 조회수 : 1,149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김치냉장고를 가지고 왔는데요, 한국촌에 글을 보니, 변압기가 필요하다는 글이 있는데, 이 변압기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살 수 있는지요? 정확히는 변압기가 아닌, 50Hrz로 바꾸어 인버터가 필요하다고 글을 보았는데, 이 인버터는 어딜가야 살 …

  • A

    싱가폴은 50Hz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한국 김치냉장고는 한국이 60Hz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가 달라서 변압기을 사용합니다. 그냥 사용하시면 아마도 일년후에는 고장이 날 우려가 많이 있습니다. 한국촌에서 다른 분들이 변압기 파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을 구매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 >한국에서 김치냉장고를 가지고 왔는데요, 한국촌에 글을 보니, 변압기가 필요하다는 글이 있는데, 이 변압기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살 수 있는지요? > >정확히는 변압기가 아닌, 50Hrz로 바꾸어 인버터가 필요하다고 글을 보았는데, 이 인버터는 어딜가야 살 수 있고 가격은 얼마나 되는지 나와있는 글은 검색해 보아도 없어서요. > >아시는 분, 도움좀 주세요.     

  • A

    변압기는 말 그대로 전압을 바꿔주는 장치입니다. 인버터는 주파수를 바꿔주는 장치이구요. 60헤르츠를 50헤르츠로 바꾸기 위해서는 인버터가 필요합니다. 한국과 싱가폴은 전압이 같기 때문에 변압기는 전혀 상관없구요, 이 경우 인버터를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헤르츠의 차이때문에 문제가 되는 건.. 전열기가 아니고 전동기입니다. 냉장고의 가동원리가 냉매를 압축했다가(이때 열이 나죠) 팽창시키면서 열을 빼앗는 것이므로 그 안에 컴프레서가 들어있습니다. 이 컴프레서는 전동기이구요, 소위 말하는 "모터"가 되겠습니다. 이 모터가 60헤르츠용인 경우에 50헤르츠를 적용하면, 모터안에 있는 권선(작은 구리선의 묶음)에 약 20%정도 더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되구요, 자연적으로 발열량이 증가합니다. 물론 정상적인 모터도 발열이 있고 그것의 과열을 막기위해서 모터 뒤에 팬을 직결 연결해서 모터가 돌면 팬도 도는.. 그 바람으로 열을 식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요, 50헤르츠가 걸리면.. 이 팬의 회전속도는 반대로 20%가 낮아집니다. 열은 더 많이 나고.. 냉각팬의 회전수는 더 떨어지고.. 그래서 과열이 되고 권선이 끊어지는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지요. 그래서 한국에서 사온 전동기가 달린 전자제품을 사용하면 이른바 "복불복"이 되는 것입니다. 운 없으면 몇시간만에.. 운 좋으면 평생.. 그런데 문제는 이 인버터가 가정용으로 쓰기에 적합한 제품이 시중에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두번째 문제는 구하더라도 가격이 높아서..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운에 맡기고 쓰시던지.. 곱게 가지고 계시다가 그대로 가지고 가시던지... 그렇지만 결코 "변압기"는 해답이 아닙니다. >싱가폴은 50Hz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한국 김치냉장고는 한국이 60Hz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가 달라서 변압기을 사용합니다. >그냥 사용하시면 아마도 일년후에는 고장이 날 우려가 많이 있습니다. > >한국촌에서 다른 분들이 변압기 파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을 구매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 > >>안녕하세요? >> >>한국에서 김치냉장고를 가지고 왔는데요, 한국촌에 글을 보니, 변압기가 필요하다는 글이 있는데, 이 변압기라고 하는 것은 어디서 살 수 있는지요? >> >>정확히는 변압기가 아닌, 50Hrz로 바꾸어 인버터가 필요하다고 글을 보았는데, 이 인버터는 어딜가야 살 수 있고 가격은 얼마나 되는지 나와있는 글은 검색해 보아도 없어서요. >> >>아시는 분, 도움좀 주세요. >     

    1
Q

NO.625

기타급질문)관세관련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Victoria() 2010-01-22
추천수 : 5 조회수 : 1,082

안녕하세요. 급질문 입니다. 한국에서 택배를 보내면서 보내는 품목의 가격란에 US400$을 적었더니 우체국에 직접와서 관세를 내고 찾아 가라고 하네요. 질문 1. 항목리스트및 영수증은 요구하는데 무엇을 제출해야 할지? 2. 관세를 제일루 적게 낼수 있는 방법은? 3. …

  • A

    종종 있는 일인데요. U$400 이라면 S$500 이상 이므로, S$500 이 넘으면 GST를 납부해야 합니다. 관세는 제품 가격과 송달가격을 포함한 가격의 7%를 내야하며, 1. 구매한 영수증(영문), 또는 인터넷 주문서(영문 번역)을 가져가세요. 2. 적게 내는 방법은 송부 총액을 $500 이하로 적거나    여러번 나누어서 보내는 방법이 있겠죠? 3. 씨앗류의 경우 http://www.ava.gov.sg/ 사이트를    참조하시거나 문의 하셔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먹기위해 소량 가져오는 것은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참고가 되셨길.. >안녕하세요. >급질문 입니다. 한국에서 택배를 보내면서 보내는 품목의 가격란에 US400$을 적었더니 우체국에 직접와서 관세를 내고 찾아 가라고 하네요. >질문 >1. 항목리스트및 영수증은 요구하는데 무엇을 제출해야 할지? >2. 관세를 제일루 적게 낼수 있는 방법은? >3. 택배품목중 씨앗류(팥)가 있는데 혹시 문제가 되지 않을지?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Q

NO.623

기타싱가폴 달러를 한국으로 보낼려고 하는데.. 은행 수수료…

  • 답글 : 1
  • 댓글 : 6
답변진행중
SY(angela0749) 2009-10-31
추천수 : 9 조회수 : 1,120

뭐.. 큰 돈은 아니고 싱가폴 달러 조금 한국으로 보내고 싶은데.. 은행에서 보내야 하는건가요?? 하직 한번도 안해봤는데 보내면 바로 한국에서 찾을 수있는지.. 제가 DBS 은행 쓰고 있는데 수수료는 마니 비싼가요??     

  • A

    저는 uob 통장쓰고 있는데 은행별로 송금금액에 따라 받는 수수료가 정해져 있지만(인터넷뱅킹 얘기하는겁니다.) 보통 30불미만입니다. 그리고 한국내 계좌로 인터넷뱅킹 이용해 보내는데 빠르면 1시간안에도 들어갑니다.( 싱가폴서의 이체시간에 따라 접수되는게 다름) 마지막으로 한국돈 2천만원 이상보내면 받는 한국내 은행서 바로 원화로 접수된 금액을 입금안해주고, 한국은행의 외환거래법따라 한국은행에 알려줘야 하는지 등등에 대한 허가를 구하러 은행 담당자가 입금계좌 주인한테 전화를 하더라구요..참고하세요( 전 당근 여기있다 보니 연락이 안돼 한동안 입금이 안돼 결국 이러저리 알아보다가 결국 위에 쓴대로 중간 절차가 있다는 말 듣고는 그 뒤로는 2천만원 미만으로 짤라 보냅니다.) >뭐.. 큰 돈은 아니고 >싱가폴 달러 조금 한국으로 보내고 싶은데.. 은행에서 보내야 하는건가요?? >하직 한번도 안해봤는데 >보내면 바로 한국에서 찾을 수있는지.. >제가 DBS 은행 쓰고 있는데 수수료는 마니 비싼가요??     

Q

NO.621

기타싱가폴 취업을 준비하고있는데 몇가지 궁금점이 있습니다.

  • 답글 : 1
  • 댓글 : 7
답변진행중
히야쿵(hiyakung) 2009-10-05
추천수 : 12 조회수 : 1,433

한국에서 취업이 여의치 않아 싱가폴에서의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29살의 남자입니다. 몇가지 의문점에 대해 경험자, 거주자 님들의 답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1. 현재 한국인(외국인)들이 느끼는 싱가폴의 취업시장의 현황은 어떤지(간단하게...) 2.싱가폴에서 정식취…

  • A

    1. 간단히 말하면 실력이 있으면 되고 실력이 없으면 안되고.... 2. 관광비자로는 불법입니다만 .... 3. 관광비자는 안되고 홈스테이를 하셔야 할듯.. 4. 잘모르겠슴. 5. 취업비자는 고용회사에서 입사를 전제로 하고 발급하는 것입니다. 대학졸업장, 경력증명서, 여권사본 등 6. 불가능 7. 경력이 없으면 힘들다고 봅니다. 현재 여기는 해양플랜트, 조선소 그리고 전자회사등은 경력사원으로 한국인들이 현지회사에 근무중입니다. 하지만 막연히 왔다가 6개월 이후에 돌아가는 사람 더러 보았습니다. 영어가 장난이 아닙니다. 정확히 알아듣고 말해야 하는데 반은 중국어 반은 영어, 싱글리시에 적응하려면 시간을 요합니다. >한국에서 취업이 여의치 않아 싱가폴에서의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29살의 남자입니다. >몇가지 의문점에 대해 경험자, 거주자 님들의 답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1. 현재 한국인(외국인)들이 느끼는 싱가폴의 취업시장의 현황은 어떤지(간단하게...) > >2.싱가폴에서 정식취업하기까지 아르바이트(과외, 스포츠과외 혹은 서빙등)를 할 생각인데요, 관광비자로 아르바이트를 구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3 .월세방이나 부동산 임대 계약시  취업비자를 못받은 상태(관광비자상태)에서 구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4.제가 아는 인도네시아인이있는데 현재 싱가폴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는 레지던트 무슨무슨 비자;; (싱가폴에서 5년정도 살수있는거주권;1500싱가폴달라를 은행에 예치한후 심사를거쳐 거주권을 받음)를 취득하여 지금 싱가폴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는상태입니다.  한국인도 이 비자를 취득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 >5.제가 한국에서 무역업을 사업자등록했다가 몇달후에 폐업한 경험이 있습니다. 법적인 하자는 없구요. 이경우에 취업비자나 거주권비자를 받기위해 준비해야할 서류가 있는지 조금 궁금합지다. > >6. 미취업상태에서 고용비자 발급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가능하다면 제가 준비한 서류는 (영문 학사졸업증명서. 영문 주민등록등본)입니다. >   혹시 더 준비해야할 서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7. 한국인이 싱가폴에서 취업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3가지. > > >먼저 끝까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하구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만한 정보들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7
Q

NO.619

기타강아지 입국에 대하여....

  • 답글 : 1
  • 댓글 : 8
답변진행중
비니맘(manim903) 2009-09-23
추천수 : 8 조회수 : 1,048

한국에서 키우던 강아지를 데려오고 싶은데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 A

    >한국에서 키우던 강아지를 데려오고 싶은데 어떤 절차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고양이를 데리고 싶어하는 분이 계셔서, 알려 드린 적이 있어어 공유하려 합니다. 고양이와 강아지가 거의 비슷하므로 아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현재 강아지를 키우고 있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정말 사랑하는 애완 동물을 고생시키면서까지 꼭 싱가포르로 데려와야 하겠다는 이유가 아니라면, 현지에서 구매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고 절차도 간단합니다. 첨부 파일에 보시면, 강아지와 고양이 수입에 대한 더 상세한 절차가 자세히 나와 있으니 참고하시고요. 간략히 설명드리면, 데려오기 30일 이전에 Online으로 서류 신청을 해야 합니다. (S$50 지불 필요) 데려오기 전에 우선 한국의 동물병원에서 발행한 아래의 서류가 반드시 있어야만 싱가포르에서 통과되므로 준비하셔야 합니다. 1. Health certificate: 출발하기전 7일 이내에 등록된 동물병원에서 발행한 서류      국가, 나이, 종류, 성별, 색깔, 특징 등 기재      건강한지 여부      최소 12주 이상 나이가 되어야 함 2. 백신을 맞아야 함     출발전 최소 2주이상, 1년이내에 아래의 백신을 맞아야 함 - 증명 필요 [고양이의 경우]     Cat Flu (Feline calicivirus and Feline viral rhinotracheitis, and Chlamydia psittaci)     Cat enteritis (ie Feline Panleukopaenia/ Feline parvovirus) [강아지의 경우]      강아지 관련 백신 - 첨부 참조하세요. 3. 외부 기생충, 벼룩에 대해 치료를 해야함     출발전 2일 ~ 10일 이내에 치료한 증명 필요 - 날짜 및 치료 종류 명시 4. 내부 기생충에 대해 치료를 해야 함     출발전 4일 이내의 치료한 증명 필요 - 날짜 및 치료 종류 명시 5. 마이크로 칩을 피부속에 이식해야 함     한국 동물병원에서 마이크로 칩을 이식 - 칩 내용에는 Health certificate와 백신 Certificate가     포함 되어 있어야 함     싱가포르에서도 통용되는 칩으로 해야 합니다. 6. 최소 5일 전에 현지 보호소에 연락해서 도착 일자와 비행편에 대해 연락해야 함 7. 도착후 최소한 30일 이상 보호소에 반드시 있어야 함 8. 비용 - 계산해 보니 위 한국에서의 비용을 제외하고 싱가폴 도착 후     최소 $2,026 을 지불해야 함 (아래 상세 - 국내비용 및 비행비용 별도) (i) Import Permit (ii) Veterinary inspection and processing of documents outside office hours (iii) Detention fee at Changi Animal & Plant Quarantine Unit (iv) Rabies Vaccination (v) Transport charges to Sembawang Animal Quarantine Station (vi) Quarantine fee at Sembawang Animal Quarantine Station 복잡하시죠? 그래서 컨설팅 받으신 고객 분이 결론 내린 것은, 눈물을 머금고 한국에 잘아는 분께 맡기고 안 데려오시기로 했는데.. 도착 후 30일간 주인과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것과, 장시간 비행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을 감안하면, 현지에서 동물을 Adoption 하는 것이 시간이나 비용면에서 훨씬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아마 비용은 최소한 200만원 이상 들것으로 보입니다. 30일 전에 온라인으로 접속해서 비용을 지불하고 신청해야 합니다. http://www.ava.gov.sg/Services/LicensesPermitsAndCerts/Permit_Import_Export_Transship_Animals_Birds_Eggs_Biologics.htm 정부 기관은 AVA 라는 곳에서 관리하는데, 동물 수출입을 담당하는 부서입니다. 하기에 자세한 방법이 나와 있으니 참고하십시요. http://www.ava.gov.sg/AVA/Templates/AVA-GenericContentTemplate.aspx?NRMODE=Published&NRORIGINALURL=/InformationForTravellers/BringPet/&NRNODEGUID={F1C6ABBC-95B9-4BE0-9B7E-238C6AA06713}&NRCACHEHINT=Guest#import 더 자세한 것은 첨부의 파일을 받아서 보세요. 또 궁금하신점 있으시면 알려주시구요. 참고가 되셨길..      

    8
Q

NO.617

기타영주권 신청 서류를 좀 알려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PR(jeh121) 2009-08-23
추천수 : 12 조회수 : 1,054

한국촌 생활정보에 나와 있는 웹사이트 주소로는 링크가 안되서요.. 검색해보니 정확한 서류 내용이 나와있는 내용은 없네요. 영주권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요, 신청 서류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준비해와야할 서류가 있나요? 아니면 대사관에서 한국쪽 서류 등은…

  • A

    영주권(Permanent Resident)의 신청에 대해 답변 드립니다. 아래는 EP등의 Work Pass를 가지신 분에 해당하는 영주권 신청방법입니다. 영주권 약속을 먼저 잡으시고요. 요즘 약속 잡는데만 2개월 이상 걸리고, 승인나는데 3개월 가량 걸립니다. [약속잡는 사이트] https://eappointment.ica.gov.sg/ibook/index.do [필요서류] - 아래 서류 외에 추가로 자신을 홍보할 수 있는 상장, 특기, 추천서 등이 있으면              영주권 발급  확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아래 서류들은 모두 원본이 있어야 하며, 접수시 ICA 담당자가 비교 후 돌려드립니다. - 사진(35 x 45mm): 배우자와 아이들이 있는 경우 각 1장씩 (흰색 바탕 배경) - 여권 - Work Pass (EP, S-Pass, WP, DP) (서류 접수시 원본 필요, 배우자, 아이 포함) - 졸업증명서 (원본 1부), 주민등록등본 영문(원본 1부-영문이 없는 경우 한글본) - 혼인관계증명서 (원본 1부) -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부모와 자녀 포함) (각 원본 1부) - 현재 다니는 회사로부터의 재직 증명서, 추천서 - 과거 다녔던 회사로 부터의 재직 증명서, 급여지급 내역서(원천징수영수증) (원본 각 1부) - 지난 6개월간 급여 내역서와 과거 3년간(있는 경우 최대한)의 Income Tax 납부 실적 - 배우자의 교육 증명서(졸업증명서 원본 1부), 기본증명서(원본1부) - 아이들이 있을 경우, 기본증명서(원본1부) 위 서류들 중 한글로 된 것들은 모두 번역 후 대사관에서 공증을 받으시면 됩니다. [서류 작성시 알아야 할 내용] Form 4A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내용입니다. [Form 4A 다운로드] http://www.ica.gov.sg/data/resources/docs/PR%20Services/Form4A.pdf 1. 개인 신상     사는 곳의 주소(싱가폴과 한국주소), 싱가폴 전화번호, 핸드폰 번호, 이메일주소 2. 졸업 학교의 상세 내역 – 대학 이후 모든 학교(어학원 등 모든 기간 포함)     A. 입학일, 졸업일     B. 과거 경력 - 내세울만한 경력이나 상장, 추천서, 어학원 졸업장 등 3. 과거 직장 근무 기간 - 과거 모든 직장의 근무 내역     A. 취직일, 퇴직일, 근무회사명, 직책, 급여 4. 가입된 멤버, 동호회 등 자신을 내세울 만한 내용: 교회, 동호회 등의 단체명, 직책 5. 과거 5년 전부터 현재까지 살았던 국가명, 지역, 기간(언제부터 언제까지), 산 곳의 주소     과거 5년간 빠짐 없이 있었던 곳을 5년의 시간이 모두 연결되도록 서술하여야 합니다. 6. 가족 관계 - 아버님, 어머님, 형제 각각의 영문명, 성별, 출생국가, 현재 사는 국가, 직업과 직책 7. 배우자가 있을 경우     A. 결혼한 나라, 졸업증명서(배우자의 졸업 학교 내역 - 있다면 모두), 현재 직업     B. 사는 곳의 주소(싱가폴과 한국주소)     C. 자녀의 영문명,성별, 생년월일, 국적, 태어난 지역과 국가명, 여권 번호         자녀의 내역을 모두 적되 PR을 같이 신청할 지의 유무를 표기할 것     D. 만약 과거 배우자가 이혼한 경우, 과거 배우자명,국가,생년월일,사는 주소, 이혼일자         과거 배우자 사이의 자녀 이름, 성별, 생년월일, 국적, 태어난 지역과 국가명, 여권번호         자녀의 내역을 모두 적되 PR을 같이 신청할 지의 유무를 표기     E. 배우자의 과거 3년 전부터 현재까지 살았던 국가명, 지역, 기간, 산 곳의 주소 9. 현 직장에서의 확인서 작성 : Form4A의 7번째 페이지     회사의 이름, Authorised Capital (S$), Paid-up Capital (S$), 회사 설립일, 회사의 과거 3년간 매출     회사의 형태(법인,파트너), 사업의 종류 및 형태(외국회사 국내회사), 회사 내에서 하는 일, 직책     급여(Basic, Gross), HR담당자(이름, 직위) 필요하시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이니 궁금하신점이나 작성하시다 모르는 것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더 자세한 것은 ICA의 홈페이지(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www.ica.gov.sg/page.aspx?pageid=151&secid=150 좋은 결과 있으시길.. >한국촌 생활정보에 나와 있는 웹사이트 주소로는 링크가 안되서요.. >검색해보니 정확한 서류 내용이 나와있는 내용은 없네요. > >영주권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요, 신청 서류가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한국에서 준비해와야할 서류가 있나요? 아니면 대사관에서 한국쪽 서류 등은 모두 준비 가능한가요? > >그리고 웹사이트 주소는 어떻게 되는지도 같이 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Q

NO.616

기타long term social visit pass 필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쭈니(chenny) 2009-08-22
추천수 : 4 조회수 : 1,074

안녕하세요 온라인으로 long term social visit pass를 처음 신청했고요 오늘 이메일로 승인됬다는 통지를 받았습니다. 필요서류가 여러가지인데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1. 생략. 2. a completed amd signed form-…

  • A

    LTSVP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정확히 설명하시지 않으셨지만 질문 내용을 보니, 학생비자의 부모님으로 LTSVP를 신청하신것 같습니다. 인터넷으로 신청하셔서 이메일로 승인이 났다면, 다음으로는 하기의 순서대로 신청을 하십시요. 1. 우선 약속을 잡으셔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잡으세요) https://eappointment.ica.gov.sg/ibook/index.do 2. 아래 서류를 프린트해서 작성해 가세요. [로컬 스폰서와 본인이 함께 작성해야 할 양식] http://www.ica.gov.sg/data/resources/docs/Visitor%20Services/Form14.pdf [로컬 스폰서가 싸인해야 할 양식] http://www.ica.gov.sg/data/resources/docs/Visitor%20Services/FormV39I.pdf 3. Disembarkation/embarkation card는    입국시에 작성하셨던 하얀색 종이를 말합니다.    이민국에서 도장을 찍어서, 며칠간 머무를 수 있다고 적힌 흰 종이를 가져가시면 됩니다. 4. 여권 사이즈 사진은 배경이 흰색인 사진으로, 3개월 이내에 찍은 것이라고    되어 있습니다만,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으시면 기존것을 쓰셔도 됩니다. 5. 혼인관계 증명서(Marriage certificate)는 한국에서 한글로 떼실 수 있습니다.     떼신다음 싱가포르 대사관에서 번역 공증을 하시면 됩니다.     번역이 어려우시면 해 드릴께요. 6. Birth certificate는 "기본증명서"를 한국에서 떼셔서 번역 및 공증하시면 됩니다. 7. Medical report는 병원에서 만들어 줍니다. 직접 방문시 Sponsor가 가지 않아도 되며, NRIC카드와 동의서만 가져가시면 됩니다. 나중에 카드 받으실때 아래의 Form 을 다운로드 받아서 작성하셔서 가져가세요. http://www.ica.gov.sg/data/resources/docs/Visitor%20Services/Terms_&_Conditions_LTP.pdf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온라인으로 long term social visit pass를 처음 신청했고요 오늘 이메일로 승인‰榮募통지를 받았습니다. >필요서류가 여러가지인데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 >1. 생략. >2. a completed amd signed form-> 이민국가서 받아서 작성하는 양식인가요?  양식번호아시면 알려주세요 >3. 여권사이즈 사진-여권과 동일 사진이 있긴한데 최근 아닌데 괜찮나요? 한국은 해주던데 여긴 다시 찍어야 하나 해서요. 앞머리있을‹š 사진이라서 지금과 조금 다르긴 해요. >4. 아이 출생증명서(영문등본)/student pass/는 있는데 disembarkation/embarkation card는 없거든요, 뭘말하는 건지요...학생비자만들면서 출입국도장찍은거는 가져가던데.... >5. marriage certificate-영문주민등본에 wife 라고 나오는데 영문주민등본써도 되나요?아님 한국에서 영문혼인관계증명서를 떼와야 하나요? >6. 생략 >7.applicants birth certificate-제 출생증명은 뭘로 보여주나요? 영문주민등본에 제 출생기록까진 없는데,,, 호적등본 영문 떼야하나요? 참 이상한 서류요구네요.. >8.medical report-ica에서 따로 양식 받아가지않아도 raffles병원가면 양식이 있겠죠? > >이상의 서류를 가지고 이민국을 방문하면 되는 거죠? >그럼 일단 건강진단을 받고 이민국에 가서 서류를 내면 되나요 아니면 이것도 홈피에서 e-appointment가 필요한 건가요? >질문이 두서없고 너무 길었네요..도움을 구하다가 구할곳이 없어서 결국 이곳에 올렸습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꾸벅). 감사합니다. > >     

    1
Q

NO.615

기타관세라고 하나요. 잘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계획데로..(aruchi) 2009-08-19
추천수 : 3 조회수 : 792

한국에서 무게 50kg정도의 장비를 싱가폴에 보낼려고 합니다. 보통 이런경우 싱가폴에서 관세를 부과하는지요? 참고할만한 싱가폴 웹 싸이트나 연락 부처를 아시는 분들 답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사용하던 장비를 가져오는 경우에는 그냥 여기서 받기만 하면  되는지요? …

  • A

    외국에서 싱가포르로 물건을 보낼 경우, 원칙은 7% 관세를 부과합니다. 관세금액은 1) Commercial Invoice 금액 + 송달료의 합계 금액의 7% 관세 2) 개인으로 보낼 경우에도 금액이 일정금액 이상(보통 $300)인 경우 7% 관세 3) 사용하던 장비의 경우에도 위 1번처럼 금액 산정 후 7% 관세 다만, 위는 원칙이므로, 상황과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주로 회사 명이나 상업지구 주소로 받을 경우 관세를 내라고 통지가 오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끔씩 샘플로 걸러서 관세를 부과합니다. 부피가 크거나 무게가 많이 나가면 거의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험담을 들어보면, DHL이나 FedEx 같은 회사들은 관세에 잘 안걸리고, 일반 우체국 서비스는 잘 걸립니다. 50Kg 정도의 장비면, 장비가액을 중고로 하여 가격을 많이 줄이고 송달하시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드시 Commercial Invoice를 첨부하세요. 참고가 되셨길.. >한국에서 무게 50kg정도의 장비를 싱가폴에 보낼려고 합니다. >보통 이런경우 싱가폴에서 관세를 부과하는지요? >참고할만한 싱가폴 웹 싸이트나 연락 부처를 아시는 분들 답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사용하던 장비를 가져오는 경우에는 그냥 여기서 받기만 하면  되는지요? > >질문이 두서없어 죄송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십시요.     

    1
Q

NO.614

기타PR 취득시 한국에서의 소득세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진행중
singapura(jamy814) 2009-08-19
추천수 : 3 조회수 : 1,200

싱에서 PR 을 취득하면  한국으로 다시 돌아 갔을경우 소득세가  외국인 기준인 17 %만 적용된다는게 사실인가요 ?     

  • A

    영주권자는 "대한민국의 국적을 보유하는 개인으로서 외국에 영주하고 있는 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외국에 영주 하고 있는 자’라 함은 거주지국인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하거나 영주권에 갈음하는 체류허가를 받은 자"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영주권자가 한국에서 일할때는 외국인 근로자에 해당됩니다. 외국인 임직원이 국내에서 근무함으로써 지급받는 총급여액(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제외한 금액)의 30%를 비과세하거나, 근로소득에 17%의 단일세율을 적용 하기 외국인 근로자의 연말정산에 대한 상세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과세특례 (조특법18의2) 외국인 임직원이 국내에서 근무함으로써 지급받는 총급여액(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제외한 금액)의 30%를 비과세하거나, 근로소득에 17%의 단일세율을 적용하여 소득세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경쟁국 수준보다 유리하게 개선 ◑ 외국인 임직원(외국인근로자)의 과세특례 내용 ▶ 외국인 임원 또는 사용인(일용근로자 제외)이 국내에 근무함으로써 지급받는 근로소득에 대하여 아래의 ① 또는 ② 중 근로자가 선택하는 방법에 의해 근로소득세를 계산한다. ① 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제외한 총급여액의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에 대하여 소득세를 과세하지 아니한다 - 비과세·공제·감면 및 세액공제 등 기타 연말정산관련규정은 내국인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함 - 지급명세서(원천징수영수증) 작성시 「외국인근로자(-3)」란에 기재 ② 근로소득※에 100분의 17을 곱한 금액을 그 세액으로 함(분리과세) - 비과세(①항 포함), 소득공제·감면 및 세액공제에 관한 규정은 적용하지 아니함 ※ 근로소득의 범위(☞ 소득세법 20조 ①의 근로소득임) 외국인 근로자가 지급받는 급여 및 상여총액에서 『근로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을 차감하고, 비과세소득은 포함한 금액임(서면2팀-2188, 2004.10.28) ☞ [참고] 「근로소득에서 제외되는 소득」예시 ≫ 우리사주조합원의 자사주 취득이익 (법 20 ③) ≫ 단체순수보장성보험 등 (영38①12 단서) ≫ 사택제공이익 (영38①6 단서) ≫ 선원의 재해보상보험료 (통칙20-5) ≫ 출·퇴근용 차량 제공시 운임상당액 ≫ 사내근로복지기금으로부터 받는 장학금 등 ≫ 경조금 ◑ 적용방법 ▶ 매월 급여 지급시 :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소득 및 상기 ①의 방법에 의한 비과세금액(30%)을 차감한 후의 금액 에 대하여 간이세액표 적용 ▶ 연말정산시 : 근로자가 상기 ① 또는 ②의 방법 중 택일하여 적용 ▶ 단일세율적용(②)을 선택한 경우 근로소득지급명세서 기재방법 총급여, 근로소득금액, 차감소득금액, 과세표준란에 같은 금액을 기재하고 단일세율인 17% 적용하여 산출세액 및 결정세액란에 기재 ◑ 단일세율 적용시 신청절차(연말정산) ▶ 외국인 근로자가 원천징수의무자에게 다음해 2월말까지 『외국인근로자단일세율적용신청서』(조특법 별지8호 서식)를 제출하여야 한다. ◑ 외국인근로자의 세액계산(연말정산) ▶ 비과세적용시 - 일반근로자와 동일한 세액계산 구조를 취함 - 단, 총급여액의 30% 비과세 적용 ◑ 관련예규 외국인근로자 총급여액의 30% 비과세와 소득세법상 비과세 각각 적용 가능여부 외국인근로자 과세특례 조항 중 총급여액의 30% 비과세 특례를 적용받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하여도 소득세법 제12조 제4호에 의한 비과세 적용함(서면2팀-1741, 2004.08.19) 외국인근로자 과세특례 적용시 “외국인근로자”의 범위 ① 고용당시의 국내거주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외국인근로자가 대상이 되며(서면2팀-141,2005.1.20), ② 대한민국의 국적을 보유하는 개인으로서 외국에 영주하고 있는 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외국에 영주 하고 있는 자’라 함은 거주지국인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하거나 영주권에 갈음하는 체류허가를 받은 자 를 말하는 것임(서면2팀-274, 2007.02.07) ③ 비거주자인 외국인근로자를 포함하며(서면2팀-2552, 2004.12.07) ④ 외국인근로자의 범위에 출자임원도 포함되는 것임(서일46011-10032, 2004.1.6) ⑤ 외국인 근로자가 과세기간 중에 대한민국의 국적을 취득한 경우에는 외국인근로자로서 지급받은 근로소 득에 대하여만 과세특례를 적용하는 것임(재소득-121, 2007.02.12) ⑥ 내국법인의 비상근임원으로 선임되어 지급받는 국외 근무 임원의 보수는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과세특례 의 적용대상이 아님(서면2팀-1158, 2006.06.20) 외국인근로자가 국외에서 내국법인에게 근로 제공시(서면2팀-147, 2006.01.18) 외국인근로자가 국외에서 내국법인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지급받는 근로소득에 대하여는 외국인근로자 과세특례 규정이 적용되지 아니함. 외국인근로자 단일세율(17%) 특례 적용시 납세조합공제 규정은 적용하지 않음(서면2팀-1742, 2004.08.19) 갑종근로소득과 을종근로소득을 동시에 받는 외국인근로자 ① 갑종근로소득과 을종근로소득을 동시에 받는 외국인근로자가 갑종근로소득에 대하여만 단일세율특례를 적 용하여 연말정산한 경우에는 둘을 합산하여 종합소득 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여야 함. 이 경우 외국 인 근로자의 합산한 근로소득에 대하여 단일세율(17%) 특례 또는 총급여액의 30% 비과세특례를 선택하 여 적용할 수 있는 것임(서면2팀-679, 2006.4.28) ② 갑종근로소득과 을종근로소득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가 당해 근로소득에 대하여 단일세율(17%) 특례를 적용 하여 각각 연말정산을 한 때에는 종합소득과세표준의 계산에 이를 합산하지 않음(서면2팀-192, 2005.01.27) 2인 이상으로부터 근로소득을 받는 외국인근로자의 연말정산(서면2팀-142, 2005.01.20) 2인 이상으로부터 근로소득을 받는 외국인근로자가 단일세율(17%) 특례를 적용받고자 하는 때에는, 주된 근무지의 원천징수의무자에게 근무지(변동)신고서를 제출한 후 ‘외국인근로자단일세율적용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임 외국인근로자가 확정신고기한이 경과한 후 수정신고에 의하여 외국인근로자단일세율 적용신청을 할 수 있는지 여부(서면2팀-2679, 2006.12.28) 근로소득세액의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과세표준확정신고를 하는 때에 외국인근로자단일세율적용신청서를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하는 것임 >싱에서 PR 을 취득하면  한국으로 다시 돌아 갔을경우 소득세가  외국인 기준인 17 %만 적용된다는게 사실인가요 ?     

Q

NO.613

기타국제면허관련 질문입니다~ 2B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JIN(hwangjinki) 2009-08-19
추천수 : 2 조회수 : 950

안녕하세요 이번에 제가 한국들어왔다가 2종소형을 땄는데요 이번주안으로 다시 싱가폴로 돌아갈것같아요. 제가 알기론 2종소형을 땄다고해도 싱가폴2B면허로 컨버트가 안되는걸고알고 있는데요 (기간문제로) 새로발급받은 2종소형 국제면허증으로 오토바이 운전하는데 문제가 …

  • A

    Class 2B: 오토바이 200cc 이하 Class 2A: 오토바이 201cc 에서 400cc 사이 Class 2: 오토바이 400cc 이상 Class 3A: 자동변속기가 달린 자동차 7인 이하 Class 3: 자동차(기어 달린 자동차, 자동) 7인 이하 외국인 면허증 변환에 대해 자세한 것은 싱가포르 경찰청 웹사이트를 참조하세요. 외국인 면허증을 변환하시려면 반드시 BTT(Basic Theory Test)를 통과해야만 합니다. http://driving-in-singapore.spf.gov.sg/services/Driving_in_Singapore/Faq/conversionfaq.htm BTT Test는 하기 중 한곳에 가서 신청하셔야 합니다. Comfort Driving Centre At: 205 Ubi Avenue 4, Singapore 408805 Tel: 6841 8900 Fax: 6841 8913 Singapore Safety Driving Centre At: 3 Ang Mo Kio Street 62, Industrial Park 3, Singapore 569139 Tel: 6482 6060 Fax: 6482 8808 Bukit Batok Driving Centre At: 815 Bukit Batok West Ave 5, Singapore 659085 Tel: 6561 1233 Fax: 6561 1266 >안녕하세요 > >이번에 제가 한국들어왔다가 2종소형을 땄는데요 > >이번주안으로 다시 싱가폴로 돌아갈것같아요. > >제가 알기론 2종소형을 땄다고해도 싱가폴2B면허로 컨버트가 안되는걸고알고 > >있는데요 (기간문제로) > >새로발급받은 2종소형 국제면허증으로 오토바이 운전하는데 문제가 없나요? (싱가폴에 이미 2년이상거주) > >누구는 한국에서 따와서 바로 변환해줬다고하고 >전화해서 물어보니 1년이상 경력이있어야 바꿔준다고하고 >혹시 경험있으신분들 좀 알려주세요~     

  • A

    한국면허증에는 최초발급된 차량이 자동차면허인 1,2종 보통이라면...   최초 면허번호 년도표기되어 있어서 그 이후에 딴 2종소형 등록일은 표기 안합니다.    그리고 싱가폴 현지 면허장 접수 서류에도  년도 모터싸이클 발급날짜 표기란이 없으니 BTT만 통과해서 국제면허증만 확인하면 컨버트 됩니다.   단, 싱가폴 면허증이 있는 중에는 외국에서 새로 발급 받은 기간을 아니까 당연히 NO 할겁니다.   등급은 한국 2종소형은 125cc 이상 가능하지만 싱가폴에선 200cc 미만이라고 클래스 2B만 인정합니다.     

    1
Q

NO.611

기타영주권과 시민권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티옹바루(damnit) 2009-08-06
추천수 : 2 조회수 : 1,837

영주권 과 시민권의 차이 점이 모져????   만약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싱가포르에서 따면 한국에서 군대 갈수있나여??     

  • A

    실제 생활에서 영주권과 시민권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만, 시민권을 가지면, 모든 국가가 그렇듯이 자국민을 위한 몇가지 혜택이 있고, 선거권이 있으며, 영주권자와의 약간의 차별이 있습니다만, 크게 느끼진 못합니다. 생활에 와 닿는 예를 들면, HDB(정부 분양 아파트)의 신규 분양시 시민권자만 신청가능하고, 영주권은 일정기간 지난 HDB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학교의 학생 배정시 시민권자가 가장 우선권이 있고, 얼마전 경비 부양정책으로 시민권자에만 GST(세금)를 일부 환급해 주었습니다. 군대 문제는, 영주권을 가진자의 남자 자녀인, 영주권 2세만 만 16.5세가 될때 가게 되고, EP나 S-Pass 등을 가진 분이 영주권을 취득한 1세대는 군대를 가지 않습니다. 단, 남자 학생의 경우에는 영주권을 취득하면 군대를 가야합니다. 자녀가 군대를 다녀오면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고요. 시민권을 가지면 한국 국적이 포기되므로 한국 군대는 가지 못합니다. 대신 영주권자는 35세 까지 한국 군대의 복무의무가 있으므로, 영주권으로 계신 상태에서는 한국에 6개월 이상 머무를 경우 한국군대에 꼭 가야 합니다. 더 자세한 것은 싱가폴 정부 사이트 http://www.gov.sg/ 를 참고하세요. >영주권 과 시민권의 차이 점이 모져????   >만약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싱가포르에서 따면 한국에서 군대 갈수있나여??     

  • A

    ICA 홈페이지에 가니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는데요. Main applicants who are granted PR status under the first generation Professionals/Technical Personnel and Skilled Workers (PTS) Scheme or the Investor Scheme are exempted from NS. Male children who are granted PR status under their parents sponsorship are liable for NS under the Enlistment Act. All NS-liable males aged 13 years old and above, are required to obtain an Exit Permit (EP) when travelling overseas for 3 months or more. 영주권을 취득한 1세대의 경우 군대를 가지않는다는 건 Professionals/Technical Personnel and Skilled Workers (PTS)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건 아닐까요? 제가 궁금한건 만 16.5세가 되기 전 학생의 신분으로 PR을 취득한 아이들은 PTS의 자격이 안되니 군대를 가야하는 건가?입니다. 16.5세 이전에 PTS의 자격을 가질리는 없으니 가야할 것 같은데... 실제로 작년 겨울에 저희 아들한테 PR 신청서가 왔는데 letter 뒷면에 군대는 가야한다고 써져 있었거든요. 그래서 PR 신청을 포기했었거든요. 그리고,또 한가지 싱가폴 시민권자는 외국 대학 입학시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기 쉽다고 들었거든요. 그럼,영주권자는 어떤지요? 외국인 신분보다 훨씬 유리한가요?(물론, 성적이 좋다는 가정하에) 듣기에는 외국인 신분이라도 성적이 좋아 싱가폴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고 대학을 다녔다는 사례가 있다합니다.물론 6년의 싱가폴 의무 근무 기간이 있지만. 딸의 경우 주저없이 영주권을 취득했지만 아들의 경우 어떻게 해야할지 갈피를 못잡겠어요.영주권을 취득해서 이런 점이 좋았고 이런 점이 나빴다는 구체적인 사례를 듣고싶어요. >실제 생활에서 영주권과 시민권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만, > >시민권을 가지면, 모든 국가가 그렇듯이 자국민을 위한 몇가지 혜택이 있고, >선거권이 있으며, 영주권자와의 약간의 차별이 있습니다만, >크게 느끼진 못합니다. > >생활에 와 닿는 예를 들면, HDB(정부 분양 아파트)의 신규 분양시 시민권자만 신청가능하고, >영주권은 일정기간 지난 HDB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학교의 학생 배정시 시민권자가 가장 우선권이 있고, >얼마전 경비 부양정책으로 시민권자에만 GST(세금)를 일부 환급해 주었습니다. > >군대 문제는, >영주권을 가진자의 남자 자녀인, 영주권 2세만 만 16.5세가 될때 가게 되고, >영주권을 취득한 1세대는 군대를 가지 않습니다. >자녀가 군대를 다녀오면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고요. >시민권을 가지면 한국 국적이 포기되므로 한국 군대는 가지 못합니다. > >대신 영주권자는 35세 까지 한국 군대의 복무의무가 있으므로, >영주권으로 계신 상태에서는 한국에 6개월 이상 머무를 경우 >한국군대에 꼭 가야 합니다. > >더 자세한 것은 싱가폴 정부 사이트 http://www.gov.sg/ 를 참고하세요. > > >>영주권 과 시민권의 차이 점이 모져????   >>만약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싱가포르에서 따면 한국에서 군대 갈수있나여?? >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