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0

기타쩝.. 은행에서 어떻게 하면 돈을 뺄 수 있을까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Wootaek(bluewing) 2005-05-23
추천수 : 12 조회수 : 1,301

업무상 싱가폴에 급하게 오느라고 비자카드 같은 것을 만들지 못했습니다. 처음 한달은 환전해논 돈으로 지냈는데, 앞으로 오래 버틸수는 없을 것 같네요. 국민은행 지점은 없는 것 같고, 조흥은행 지점을 찾긴 했는데, 현재 갖고있는 것은 한국에서 사용하던 조흥은행 현…

  • A

    현금인출카드 뒷면에, 가맹점 표시가 있을겁니다. 예) ALTO, PLUS, Cirrus.... 있다면, 해당 가맹표시된 해외 어느 ATM 에서라도 인출이 가능합니다. 저도 사용해봤고, 많은 배낭족들이 이방법을 쓴다더군요 - -+ 만약 가맹표시가 없다면, 옛날 카드로, 말씀드린방법이 불가능하니, 주위분들의 도움을 받아야겠네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업무상 싱가폴에 급하게 오느라고 >비자카드 같은 것을 만들지 못했습니다. > >처음 한달은 환전해논 돈으로 지냈는데, >앞으로 오래 버틸수는 없을 것 같네요. > >국민은행 지점은 없는 것 같고, 조흥은행 지점을 찾긴 했는데, >현재 갖고있는 것은 한국에서 사용하던 조흥은행 현금인출 카드와 >여권뿐입니다. 이걸로 조흥은행에서 본인을 증명하고 돈을 인출할 수 있나요? > >만약 안된다면.. 하이구.. >두고두고 거지라고 >월급은 은행에 꼬박꼬박 들어오면서도 >10센트 하나에 발발 떠는 생활을 앞으로 한달간 해야 합니다요.. T,.T     

Q

NO.9

기타ATM 카드와 NET 카드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zen(azenn) 2005-03-07
추천수 : 25 조회수 : 1,088

안녕하세요. 은행 계좌개설시 현금 인출용으로 발급받은 ATM카드로는 우리나라처럼 단순히 자동인출기에서 출금 또는 입금(안해봐서 모름)만 가능한 줄 알았는데요.. 지하철 역 같은곳에 각종 빌링 자동결제기 있잖아요.그것 지불도 되더라구요. 그런데 또 다른 기계에서는 에…

  • A

    >안녕하세요. >은행 계좌개설시 현금 인출용으로 발급받은 ATM카드로는 우리나라처럼 >단순히 자동인출기에서 출금 또는 입금(안해봐서 모름)만 가능한 줄 알았는데요.. >지하철 역 같은곳에 각종 빌링 자동결제기 있잖아요.그것 지불도 되더라구요. > >그런데 또 다른 기계에서는 에러가 자꾸 나고,은행직원은 NET마크가 있는곳에선 >ATM카드를 다 쓸 수있다고 하고,막상 해 보니 안되던데,그리고 관공서나 도서관 >같은곳에서 말하는 NET는 흔히 우리가 돈 주고 구입하는 그 카드만 말하는건가요? > >그들은 나를 이해못하고,나는 그 들의 말뜻을 이해못하고..ㅠ.ㅠ >속 편하게 현금을 받으면 좋겠건만,현금이 무시당하는 건 또 첨 봤네요. > >NET카드는 매번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수료도 있고.ATM카드가 은행잔고가 >있는한 계속 사용하면 되니 그것이 더 편리한데...구분을 두는것 같아요. > >속시원히 답변해 주실분 계시나요.. >슈퍼에서도 ATM카드를 직불카드처럼 써도 된다던데 맞나요. 도서관에서는 현금카드(CashCard)를 사용합니다. 흔히 우리가 돈주고 구입하는 카드를 말하는거예요. 저도 한번 도서관에서 현금카드가 없어서 난처한적이 있었거든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 A

    >안녕하세요. >은행 계좌개설시 현금 인출용으로 발급받은 ATM카드로는 우리나라처럼 >단순히 자동인출기에서 출금 또는 입금(안해봐서 모름)만 가능한 줄 알았는데요.. >지하철 역 같은곳에 각종 빌링 자동결제기 있잖아요.그것 지불도 되더라구요. > >그런데 또 다른 기계에서는 에러가 자꾸 나고,은행직원은 NET마크가 있는곳에선 >ATM카드를 다 쓸 수있다고 하고,막상 해 보니 안되던데,그리고 관공서나 도서관 >같은곳에서 말하는 NET는 흔히 우리가 돈 주고 구입하는 그 카드만 말하는건가요? > >그들은 나를 이해못하고,나는 그 들의 말뜻을 이해못하고..ㅠ.ㅠ >속 편하게 현금을 받으면 좋겠건만,현금이 무시당하는 건 또 첨 봤네요. > >NET카드는 매번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수료도 있고.ATM카드가 은행잔고가 >있는한 계속 사용하면 되니 그것이 더 편리한데...구분을 두는것 같아요. > >속시원히 답변해 주실분 계시나요.. >슈퍼에서도 ATM카드를 직불카드처럼 써도 된다던데 맞나요. 한국에서 ATM카드 소위 캐쉬카드라고 하는데 그걸 싱가폴에서는 bank card라고합니다. 예금인출및 각종 벌금, 공과금 납부등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카드뒷면을 보면 NETS(네츠)라고 마크가 있습니다. 즉 이카드는 직불카드로 쓰이는 겁니다. 슈퍼에서 물건을 사고 nets로 결제를 하면 즉시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갑니다. 그렇지만 간혹 NETS를 사용할수 없는곳도 있으므로 네츠되냐고 물어봐야 됩니다.(작은가게나 식당) 네츠에대한 이해가 되셨길 바랍니다. 싱가폴에는 cashcard라는게 특별히 있습니다. 이건 소위 충전하고 빼쓰는것으로 비빌번호가 없어 분실시 현금분실과 동일합니다. 자동차 타고 다니면 각종 주차비나 ERP결제이 쓰이며 상당히 편리합니다. 공공시설의 경우 현금을 받으면 삥땅의 우려가 있어 일부에서 cashcard로만 결제를 하는걸로 보입니다.. 현금이 무시당하는경우죠 ㅋㅋㅋ, 학교에서 자그마한 액수의 돈을 내는경우는 수표(check)로만 받는경우도 있는데 이떄도 현금이 무시당합니다.     

Q

NO.8

기타한국촌님 질문 드립니다.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샘터(obzee24) 2005-01-16
추천수 : 18 조회수 : 1,098

그동안 안녕하셨어요? 저는 싱가폴에 들어와서 열심히 적응 중입니다. 그런데 잠시 한국에 나갔다 올 일이 있어서 한가지 질문드려요. 싱달러를 가지고(물론 한도내에서) 나갔다가 인천공항에서 원화로 바꿀수 있나요? 아님, 싱가폴내 한국계 은행에서 한국에 있는 계좌로 원화 송…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달러는 인천공항에서 원화로 바꾸실 수 있구요, 싱가폴내 한국계 은행, 싱가폴은행에서도 원화 송금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환전시에는 꼭 은행에서 하지 않으셔도 되구요, 여러 환전소(환률이 더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를 비교해 보신 후 가장 환률이 좋은 곳에서 환전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금액이 많을 경우에는 좀 더 좋은 환률을 요구하실 수도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람있는 싱가폴 생활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그동안 안녕하셨어요? >저는 싱가폴에 들어와서 열심히 적응 중입니다. >그런데 잠시 한국에 나갔다 올 일이 있어서 한가지 질문드려요. >싱달러를 가지고(물론 한도내에서) 나갔다가 인천공항에서 원화로 바꿀수 있나요? >아님, 싱가폴내 한국계 은행에서 한국에 있는 계좌로 원화 송금할 수 있나요? >다른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수고하시구요 건강하세요.       

Q

NO.6

기타싱가폴 현재이자율은?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상윤맘(hellena12) 2003-12-16
추천수 : 5 조회수 : 1,307

싱가폴가면 저축에 대해 궁금하군요.하던대로 한국으로 돈을 부쳐 한국에다 저축을 계속하는게 나은지 싱가폴에서 은행계좌개설해서 하는게 나은지 잘 모르겠네요.그쪽에서 직장 생활하시는 분은 어떻게 하고 계신지요? 현재 은행이자율이 어찌되는지도 궁금하구요? 글구 집을 가구 없는…

  • A

    월급을 싱달러로 받으실지 아님 한국돈으로 받으실지 모르니 ... 이곳 은행의 이자율은 0%라고 들었습니다. 같이 사시는 분이 그러시더군요. 한국으로 돈을 부쳐서 저축하는 것이 더 낫기는 하겠지만 환율문제가 걸리겠네요. 원화로 싱달러 살때와 팔때의 가격차이가 좀 되던데 ~ ~   집을 가구없는 집으로 얻더라도 쓰던 침대를 가져오실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와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다지 비싸다고 보지는 않네요. 어차피 가져올때 짐이고 나갈때 짐입니다.  몇년을 계신다면 모르겠지만서두요. (그런다 치더라도 좀 ...) 위의 답변은 어디까지나 저의 개인적인 견해이니까 다른 분들의 의견도 많이 참조하세요.          

  • A

    가시는 회사가 제가 생각하는 곳이 맞다면 1톤에 10 cbm까지 회사 지원 이잖아요. 제가 견적을 받아 봤는데 1톤이란 무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10cbm을 기준으로 한다더군요.(이것도 완전한 10은 아니고 9.???? 뭐 이런식) 컨테이너에 싣는 물건들은 무게말고 cbm을 기준으로 삼는대요. 그럼 10 cbm 이 어느정도냐.. 하면.. 가로 2미터, 세로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의 공간이에요. 저도 처음엔 가구 없는 집으로 해서 침대, 식탁, 화장대, 소파 등 1톤 무게 내에서 가져가려고 했는데 부피로 따져보니 가져갈수 있는것이 매트리스, 프레임, 작은 화장대, 책상, 식탁 이었습니다. 나머지는.. 옷, 식료품, 소형가전 몇가지.. 이렇게요. 이렇게 하면 10이 딱 되거나 살짝 넘친다는.. 천상.. 집은 반 갖춰진 집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구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전자렌지, 소파 등등이 있어야 할테니까요. 견적 받아 보신후 공간여유 있으시면 침대 가져가시는 것 생각해 보세요.     

  • A

    안녕하세요.아직 견적은 안 받아봤는데.견적받아보시고 가져가기로 하신 물품 알려주시면 안될까요..참고해서 제가 짐을 정리해야 할것같아서요 될수있으면 자세히 좀 알려주세요.집은 구하셨나요.. 참으로 심난하네요.. 제메일로 목록 좀 보내주실래요.여긴 지방이라 서울에서 견적하러 오실런지..메일은 hellena34@hanmail.net입니다.먼저가시면.자리 잘 잡고 계세요.곧 뒤따라 가겠습니다. >가시는 회사가 제가 생각하는 곳이 맞다면 1톤에 10 cbm까지 회사 지원 이잖아요. >제가 견적을 받아 봤는데 1톤이란 무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10cbm을 기준으로 한다더군요.(이것도 완전한 10은 아니고 9.???? 뭐 이런식) >컨테이너에 싣는 물건들은 무게말고 cbm을 기준으로 삼는대요. >그럼 10 cbm 이 어느정도냐.. 하면.. >가로 2미터, 세로 2미터, 높이 2미터 정도의 공간이에요. >저도 처음엔 가구 없는 집으로 해서 침대, 식탁, 화장대, 소파 등 1톤 무게 내에서 가져가려고 했는데 부피로 따져보니 가져갈수 있는것이 매트리스, 프레임, 작은 화장대, 책상, 식탁 이었습니다. >나머지는.. 옷, 식료품, 소형가전 몇가지.. 이렇게요. >이렇게 하면 10이 딱 되거나 살짝 넘친다는.. >천상.. 집은 반 갖춰진 집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구요.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전자렌지, 소파 등등이 있어야 할테니까요. >견적 받아 보신후 공간여유 있으시면 침대 가져가시는 것 생각해 보세요.     

Q

NO.5

기타답변 너무감사합니다.. 근데 한가지 더 질문.. ㅎㅎ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munch(parkj74) 2003-11-11
추천수 : 16 조회수 : 1,369

사실 오늘 까니 손 놓고 있었거든요.. 어떻게 짐을 싸야 하는지.. 이제 제일 문제가 됬던건 해결됬네요 ~ 제가 초보 주부라서.. 너무 감사합니다.. 근데 한가지 질문이 더 있어요.. 싱가폴에는 차가 무지 비싸다고 하는데 혹시 싸게 살수 있는곳이 따로 있나요? 또 중…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싱가폴은 좁은 국토에서 많은 차가 다니지 않도록 세금을 많이 부과하기 때문에 자동차 값이 한국에 비해 많이 비싼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예를들은 현대 EF 소나타2.0이 한국에서는 1,357만원이지만 싱가폴에서는 7,533만원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싱가폴에도 자동차 구입시 할부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물론 자동차 가격에 따라서 할부금액과 기간을 적절히 조절하셔야 되겠지요... 융자에 대해서는 자동차 금액의 일정 %를 융자 받으실 수 있는 지는 잘 모르겠사오나 자동차 판매상과 상의하시면 꼭 필요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동차 가격은 공급처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여러곳을 둘러보고 서비스 기간이나 기타 서비스를 점검하신 후 구입하셔되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고차는 중고차 시장에서 연식에 따라 기준 가격을 정해 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특별한 흠이 없다면 기준 가격에 맞추어서 되파실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는 년식에 따른 중고차 가격의 예입니다. 소나타 2002년식-68,500~69,800불           2001년식-69,000~69,800불           1998년식-44,900불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사실 오늘 까니 손 놓고 있었거든요.. 어떻게 짐을 싸야 하는지.. >이제 제일 문제가 됬던건 해결됬네요 ~ 제가 초보 주부라서.. >너무 감사합니다.. > >근데 한가지 질문이 더 있어요.. >싱가폴에는 차가 무지 비싸다고 하는데 혹시 싸게 살수 있는곳이 따로 있나요? >또 중고차를 은행에서 융자 받아서 구입하는 방법이 있다는 얘기를 들은거 같은데 >그런 방법이 진짜 있는지 있으면 어떤 경로로 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중고차 값도 무지 비싸던데 2년뒤에 되팔때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너무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Q

NO.3

기타환전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곽동진(neverdid) 2003-10-08
추천수 : 47 조회수 : 1,610

싱가폴에서 돈을... 한국에 들어갈때...한국돈으로 바꿀려고 하는데.. 어디서 바꾸는게 가장 유리한가요? 그리고 일반 은행들이 다 외환업무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싱가폴일반은행에서 한국은행으로 환전후 돈 송금이 가능한지도 궁금하네요.. 답변부탁드립니다.     

  • A

    제가 10일전쯤에 싱가폴에서 나올때 싱가폴돈을 한국돈으로 환전했습니다. 1달러에 647원이었는데 저는 오차드쪽만 알아봤는데 환율이 제일좋았던것 같습니다. 싱가폴 공항에서 물어보니깐 1달러에 597원이더군요.. 싱가폴 은행가시면 한국으로 송금도 가능합니다. 수수료는 싱가폴과 한국에서 각각 지불하셔야됩니다. 만약 금액이 정말 많을경우에는 이방법이 좋겠죠? 한국돈은 아시다시피 부피가 많이 나가니깐요.. 아마 한인들이 많이 사는 지역이면 좀더 좋은 조건으로 환전이 가능할겁니다. 지금 한국들어오시면 640원정도에서 은행에서 환전하실수 있을겁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싱가폴에서 돈을... 한국에 들어갈때...한국돈으로 바꿀려고 하는데.. > >어디서 바꾸는게 가장 유리한가요? > >그리고 일반 은행들이 다 외환업무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 >싱가폴일반은행에서 한국은행으로 환전후 돈 송금이 가능한지도 궁금하네요.. > >답변부탁드립니다. > >     

Q

NO.2

기타질문 있슴다 -.-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떠버기(hj1999) 2003-08-11
추천수 : 59 조회수 : 2,567

싱을 떠나게 되니 처리할 일이 갑자기 많아 졌군요. 무엇보다 은행계좌 정리와 CPF 정리에 관해서 더더욱... 1. 은행계좌를 파하고 들어 있는 현금을 모두 한국이나 제 3국( 예컨데 말레이지아)으로 부칠려고 하는데, 혹시 1회에 송금할 수 있는 금액이 한정되 있나요…

  • A

    제가 알기로는 싱가폴에서 외국으로 송금을 하든, 외국에서 송금을 받든지 간에 아무런 문제가 없읍니다.  근데, 말레이지아의 법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3국의 법만 따져 보면 괜찮을 듯 합니다. CPF 정리에 관해서는 제가 곧 확인해서 연락을 올리겠습니다. 제가 CPF 담당자들과 업무 처리를 하면서 느낀 것은 매우 친절하게 해주려고 노력을 많이 하고 있구요, 특히 수시로 각 개인마다 업무태도를 고객들로부터 평가받는 행사를 실시해서 우리 나라로 말하면 친절봉사상을 주는 제도가 있는 것 같더군요.   매우 합리적이고, 하루라도 늦으면 정확한 Rate로 Penalty를 물리는 사람들이기에 내어줄 때도 그리 오랜 시간을 끌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CPF를 적립하셨다면 싱가폴 영주권(PR)이나 시민권을 갖고 계신 것 같은데, 영주권도 포기하고 가시는지요?  저도 잘 몰라서 그부분이 조금 애매한데, 확인되는 대로 연락을 드릴께요... >싱을 떠나게 되니 처리할 일이 갑자기 많아 졌군요. >무엇보다 은행계좌 정리와 CPF 정리에 관해서 더더욱... > >1. 은행계좌를 파하고 들어 있는 현금을 모두 한국이나 제 3국( 예컨데 말레이지아)으로 부칠려고 하는데, 혹시 1회에 송금할 수 있는 금액이 한정되 있나요? >(그동안 한번도 한국으로 송금을 안하고 현재 계좌에 다 있기에 액수가 커요 -.-; ) > >2. CPF 계좌를 정리하면 입금될때 까지 처리 기간이 얼마나 되나여? > ( 혹 떠날 외국인이라고 차일피일 처리를 미루는 일이 없나요?) > >성의 있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고하세요.     

  • A

    화니님, 성의 있는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전 영주권(PR)자 는 아니예요. 근데 제가 다닌 회사에서 CPF를 주더군요. 저도 그에 대한 정확한 규칙은 잘 모르겠어요. 그럼 수고하시구요. 아참 , 혹시 그거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 등 아시게 되면 한자 적어주세요. 그럼 ^.^ >제가 알기로는 싱가폴에서 외국으로 송금을 하든, 외국에서 송금을 받든지 간에 아무런 문제가 없읍니다.  근데, 말레이지아의 법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3국의 법만 따져 보면 괜찮을 듯 합니다. > >CPF 정리에 관해서는 제가 곧 확인해서 연락을 올리겠습니다. >제가 CPF 담당자들과 업무 처리를 하면서 느낀 것은 매우 친절하게 해주려고 노력을 많이 하고 있구요, 특히 수시로 각 개인마다 업무태도를 고객들로부터 평가받는 행사를 실시해서 우리 나라로 말하면 친절봉사상을 주는 제도가 있는 것 같더군요.   > >매우 합리적이고, 하루라도 늦으면 정확한 Rate로 Penalty를 물리는 사람들이기에 내어줄 때도 그리 오랜 시간을 끌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CPF를 적립하셨다면 싱가폴 영주권(PR)이나 시민권을 갖고 계신 것 같은데, 영주권도 포기하고 가시는지요?  저도 잘 몰라서 그부분이 조금 애매한데, 확인되는 대로 연락을 드릴께요... > > >>싱을 떠나게 되니 처리할 일이 갑자기 많아 졌군요. >>무엇보다 은행계좌 정리와 CPF 정리에 관해서 더더욱... >> >>1. 은행계좌를 파하고 들어 있는 현금을 모두 한국이나 제 3국( 예컨데 말레이지아)으로 부칠려고 하는데, 혹시 1회에 송금할 수 있는 금액이 한정되 있나요? >>(그동안 한번도 한국으로 송금을 안하고 현재 계좌에 다 있기에 액수가 커요 -.-; ) >> >>2. CPF 계좌를 정리하면 입금될때 까지 처리 기간이 얼마나 되나여? >> ( 혹 떠날 외국인이라고 차일피일 처리를 미루는 일이 없나요?) >> >>성의 있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고하세요. >     

Q

NO.1

기타외국인도 집담보 대출가능한가여?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chul(as297) 2003-07-25
추천수 : 127 조회수 : 3,586

내년에 싱가폴로 가게될거같은데여.. 외국인은 콘도를 살수 있다구 하던데.. 현금이 좀 부족할거같아서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구요.. 외국인도 싱가폴 사람과 마찬가지루 집담보대출을 받을수있는지 궁금합니다... 싱가폴은 대출이자가 한국보다 많이 저렴하던데.. 한국은 6%정도…

  • A

    안녕하세요 한국촌입니다! 며칠전 신문에 보니 이관유 전수상께서 싱가폴 부동산에 대해 말씀하신 기사가 있었는데,  싱가폴의 무역과 산업이 살아나려면 외국기업들이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부동산 가격을 가능한 낮추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기사를 본적 있습니다. 싱가폴 부동산 가격은 매우 높은 편이고 현재는 하락세(거품이 빠지고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이며, 향후 시장이 어떻게 될지 정확히 알기는 쉽지 않사오니 구입하시는 문제는 신중히 하셔야 되리라 생각됩니다. 대출에 관해서는 부동산 하시는 분들께 문의해 보니 구입하시는 콘도 가격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하구요, 이자는 2.8~3.2%정도(외국인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합니다) 되는 것 같습니다. 구입하시게되면 이곳 에이젼에서 도움을 준다고 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촌- ::: 우리 따뜻한 한인사회를 만들어 봐요! ::: >내년에 싱가폴로 가게될거같은데여.. >외국인은 콘도를 살수 있다구 하던데.. >현금이 좀 부족할거같아서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구요.. >외국인도 싱가폴 사람과 마찬가지루 집담보대출을 받을수있는지 >궁금합니다... >싱가폴은 대출이자가 한국보다 많이 저렴하던데.. >한국은 6%정도이거든여.. >제가 은행 사이트에서 봤더니 2~3%정도인데 >외국인이 집을 살경우에도 똑같이 헤택을 받을수 있나요? >꼭좀 답변 부탁드립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