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511

생활6개월 아기 Infant Cara 에 관해서..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사양이(sayanglee) 2019-01-15
추천수 : 0 조회수 : 1,010

안녕하세요 한국촌 회원님들~ 임신해서 이것저것 궁금한게 많아서 질문 많이했었는데, 벌써 출산하고 아기가 다음주면 6개월이에요.. 진짜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네요.. 4개월간의 출산휴가를 끝내고 현재 복직하여 일하고 있는데, 앞으로 아기를 어떻게 해야하나..또다른…

  • A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댓글 기능이 안되네요... 아이를 키우는 방식은 부모 철학이 가장 중요하고 그게 사람마다 너무 달라서 이런 글에 대해서 답변달기가 조심스럽지만... 아마 인펀트케어 한번 둘러보셨는지 여쭙고 싶네요.. 아마 둘러보셨다면 답은 이미 나왔을것 같아서요...관리 잘 되지 않아요...그냥 아이들 작은 침대에 가둬두는 정도예요... 세상에 백프로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인펀트케어가 그렇다고 말은 할 수 없겠죠..그렇지만 대부분이 그래요. 전 가장 후회하는게 그 어린나이에 호기심 많고 많이 안아줘야 하는 시기에 인펀트 케어 보낸점이예요. 저도 사정이 있었지만...암튼 그래요. 엄마가 못보는 상황이라면 하루종일 핸드폰만 보는 헬퍼라도. 헬퍼가 보는게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1 채택답변
Q

NO.510

생활한국에 짧게 갔다오려 하는데 휴대폰을 어떻게 해야 할까…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jeich(ijh951103) 2019-01-08
추천수 : 0 조회수 : 1,234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서 세 달 째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방학을 맞아 한국에 2주 정도 갔다 오려 하는데, 많이 긴 기간은 아니지만 휴대폰이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유심칩은 한국에서 쓰던 것을 그대로 가지고 있긴 한데, 통신사에 등록을 하자니 이렇게 …

  • A

    다른사람들 보니 짦은시간이라도 한국에서 가입한 통신사 정지해둔 것을 풀고 사용하더라구요 아니면 선불 유심칩 구입하시면 될 것 같네요     

  • A

    선불유심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1.공항내 또는 주변 알뜰폰 업체의 유심을 사용 2.GS25등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선불유심 사용 3.KT프라자 선불유심 구입 제가 지난달 한국방문시 여러가지 알아보고 3번으로 사용했습니다. 1번,2번은 업체별로 유심구입비와 통화료가 다양한데 생각보다 싸지는 않았습니다. 3번의 방법으로 한달 유효기간에 2기가 데이터, 유심칩 구입비까지 약 3만5천원 낸것 같습니다. 단기간 KT가입을 하는거라 KT와이파이도 이용가능합니다. 무료제공 음성통화가 적은게 단점인데, 보이스톡을 쓰거나 만원 내외 추가비용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KT대리점에서는 안되고 KT프라자에서만 가입 가능하므로 가까운 위치를 검색해 보시고 가세요.     

  • A

    한국출장이 너무 잦아서 저도 이런저런 방법 다 해봤는데 기존 번호 살려두는게 젤 편하겠지만, 전 온지 오래되서 없앴거든요,, 앤텔레콤이라고 KT알뜰폰 같은 업체에서 공항으로 출장나와주셔서 도착하자 마자 데이터 무제한 유선전화 무제한 해서 기간별 금액만 내고 사용하다 돌아갑니다. 10일기준 출장비까지 5마넌 냈구요 ,, 공항 sk나 kt에서 개통하는 폰은 데이터가 무제한이고 조금 더 저렴한 대신 유선전화가 안되니 일할때 불편하더라구요,, 그렇다고 일반 대리점가서 개통해보니 보이스톡이나 인터넷 많이 쓰면 길거리에서 잘 안터지고 데이터가 너무 빨리 닳아서 불편했구요,, 이것저것 해보니 알뜰 선불폰 심카드 사서 쓰다가 오는게 젤 만족스러웠습니다. 공항이나 본인 집이나 출장가는 회사로 방문출장오시고 개통 15분정도 걸렸던거 같네요~ 그리고 작년11월부로 법 바뀌어서 한국인은 여권으로 휴대폰 개통이 안되더라구요,, 신분증 (주민증이나 운전면허증) 꼭 꼭 지참해서 가세요!!      

Q

NO.508

생활3인기준 생활하기.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진행중
skyone(comterkid) 2018-12-21
추천수 : 0 조회수 : 4,575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에 살고 있고, 지난달에 글로벌 IT회사에서 메일로 입사 제안을 받아 화상 1차 면접이 끝나고 2,3차 면접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싱가포르 이직이 가시권에 들어오니 막상 붙어도 쉽게 갈 수 있을지 판단이 서지 않아서 문의…

  • A

    국제학교를 다녀야하는 초등학생이 있기에 3인가족이 생활하기엔 넉넉하지는 않은건 사실입니다. 적어주신 생활비 계획으로는 많이 절약하시면서 생활하셔야 가능합니다. 한마디로 정말 남는게 없습니다... 월급에 비해 콘도 렌트비가 높아보입니다. 외곽지역으로 벗어나 줄일 수 있는 콘도렌트를 줄이시거나 국제학교대신 한국 국제학교를 고려하시는 것도 방법이구요. 국제학교 혹 한국국제학교를 다니면서 AEIS시험을 열심히 준비해서 공립학교를 가는 것도 플랜B일 수 있구요. 계획하신 부분에서 더 아끼셔야 될 것 같아요... 2,3 차 인터뷰가 남았기에 아직 결정을 하시기엔 이르고 끝까지 최선을 다해 보시고 결정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1
  • A

    다른 비용도 만만치 않아요 전화카드 개설하면 한달에 데이터무제한이 70달러 나오고 저희 집같은 경우는 집인터넷 120달러 수도전기세 300달러 2인식비 약 1200달러(한식재료값이 비싸요. 로컬음식을 자주 먹으면 절약할 수 있지만 저는 매 끼니 먹기엔 질리더라구요..하루에 2끼정도 먹고 가끔 한식당가서 외식하면 한번에 적어도 30~70달러나와요) 혹시라도 병원갈 일 있으면 저는 보험이 없어서 진료 한번에 100~200달러가 나왔어요 그리고 외국인이면 10000달러 다 받는게 아니라 나라에 월급의 몇%를 내야하는 걸로 아는데 자세한건 저도 오래전에 알아본거라 기억이 안나네요     

    2
  • A

    사실 생각하기 나름입니다. 아직 2,3차 면접이 있으니 시간을 두고 생각해 보세요. 먼저 집값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그리고 굳이 콘도를 고집하지 않으신다면 $3,500에서 훨씬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고 보여지네요. 가족 3명이면 방이 두 개로도 가능할 듯 하구요. 콘도와 HDB 양쪽에서 살아본 경험으로 말씀드려요. 수영장, 시큐리티, gym 뭐 이런 시설들이 중요하다면 콘도에 사시는거고 그게 아니어도 괜찮다면 HDB 역시 적응할 만 합니다. 상황에 맞게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이사를 가셔도 되구요. $3,500이 매월 나가야 할 금액이라고 보시기엔 너무 많아 보이네요. 국제학교는 저 역시 고민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 $3,000 이라면 1년에 $36,000을 잡으신 듯 한데 어디에 보내느냐에 따라 다르겠죠. 새로 생긴 저렴한 몇 곳도 있어요. 학비가 1년에 $18,000-$20,000 인 곳도 있으니 참조하시고, 나중에 한국에 돌아갈 계획이라면 한국국제학교 역시 대안입니다. 그리고 애들 학교 스쿨버스가 모든 지역을 다 커버한다고는 하지만 아침에 8시에 시작하는 학교들도 있어 통학이 너무 길면 아침이 많이 힘들기에 학교에서 멀지 않은 곳에 거주하는 거 같네요. 저도 내년 첫째 초등학교 입학 때문에 학교 결정 후 이사를 생각하고 있구요. 부대비용에서 자동차는 그냥 없이 산다고 생각하시구요. 유틸리티 쓰기 나름입니다. 제 경우는 전기, 가스, 물 이렇게 다 해서 4인 + 가사도우미에서 한 달에 $150 이내로 나와요. 다 살기 나름인거죠. 인터넷 한달에 $50-$60 그리고 휴대폰 $30-$40 이렇게 내요. 물론 전화기는 아예 폰을 구입을 해서 플랜만 사용을 해서 그럴 수도 있구요. 외식 비용, 네 다른 분들 말씀하신 것첨 별로 저렴하지는 않아요, 특히 특정한 방식으로 음식을 드시면요. 로컬 음식이 적응안되면 당연 한국 음식을 먹으셔야겠지만 항상 한국 스타일로 고집하지 않으신다면 어느 정도 유지 가능하다고 보여지는데....솔직히 이건 개인 취향이라 일반화시키기 힘드네요. 병원 비용은 한국보다 많이 나옵니다. 매번 전문의가 있는 medical center로 가시면 $100-$200 이렇게 나오죠. 다만 일상적인 병치레는 집 근처 클리닉에서 $20-$30에 약까지 해결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인 사고보험 차원에서 보험 하나 드시면 되구요. 전 회사에서 일정 금액이 지원되서 사보험 (AXA, AIA, Bupa...) 을 들고 있습니다만 가족 전체가 들기엔 너무 비싸, 와이프는 NTUC 보험을 들어 사고나 입원이 필요한 경우만 대비했죠. 비용은 옵션에 따라 다르겠지만 1년에 $1,000 아래이니 그렇게 감당못할 정도는 아니에요. 결론은 비싼 선택이 있다면 저렴한 선택도 있다는 점 말씀드리고 싶구요.  세금 문제는 다른 분 말씀하신 것처럼 일단 돈 집에 다 가져옵니다. 그리고 다음 해에 무이자 할부로 12번을 내거나 아님 한 번에 다 페이 가능해요. 생각보다 소득세는 낮다고 보시면 됩니다. $10,000을 번다고 하셔도 아마 전체 세금이 약 10%-15% 할거에요. 그럼 첫 해는 건너뛰고 다음 해부터 할부로 할 경우 매월 $1,000-$1,500 세금 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월급의 사이즈로 봐서 분명 EP로 오실텐데 그럼 와이프분께서는 DP겠네요. 여기 싱가포르에서는 DP로 계셔도 영어가 되고 자격만 되시면 일하실 수 있어요. 제 와이프도 임시직 6개월로 일도 해 보고 그만두고 나중엔 자기 커리어 찾아서 지금은 일하고 있네요. 상황이 맞다면 가능하다는 차원에서 말씀드리니 참고만 하시구요. 결국 생각하기 나름이니 일단 2,3차 인터뷰 잘 보시고 그 다음에 신중하게 접근하시면 좋겠네요. 가족들 의견도 중요하니까요. 그럼 좋은 결과 있으시길...      

    1
Q

NO.502

생활연봉 및 이주 고민 문의

  • 답글 : 2
  • 댓글 : 14
답변완료
sys20044(sys7744) 2018-11-14
추천수 : 0 조회수 : 5,308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인지도 있는 IT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입니다. 한국에서 기본급의 실수령은 400만원 초반입니다.인센티브는 대략 20%정도 나오구요. 그리고 기타 복지관련한 비용이 년 2-3백 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우선 싱가폴에 꽤 괜찮…

  • A

    당연히 세전 기준으로 오히려 떨어지는건 좋지 않은 케이스입니다. 협상하셔서 더 올릴수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 혹시 RSU라든지 등의 기타 스탁옵션이 있는가요? 그게 아니라면 실력있는 엔지니어를 한국연봉보다 적게주고 데려오려 하는 회사라면 좀 걱정되는 회사가 아닐까 생각이됩니다. (tax equalization등의 핑계를 대겠지만...) 이주후 1년이내 이직하는것은 적절한 이유가 있다면 한번정도는 문제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1
  • A

    Base salary 만 놓고 비교해보겠습니다. 이게 이직시는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거는 회사에서 고려해주면 고맙고 아니면 뭐 아닌거라.... 초록 내** 사이트 환율기준 400만원 = SGD 4860 달라정도로 나오네요  400 만원 초반이시니 현재 Base Salary 가 싱달라로 계산하기 쉽게 5000 달라로 가정하겠습니다.  40% 연봉인상을 제시했습니다. (보통 이직시 15~20% 연봉상승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나이는 20대 후반이시기에 전혀 불이익은 없을 것 같구요 6년 경력에 현재 연봉의 40% 인상은 회사에서 제시한 금액은 적절해 보입니다. (회사 입장에서는요...)   싱가폴이 주거비가 비싸지만 한국 월급에 엄청나게 추가해서 채용하는 경우는 드물어요... 40~50% 는 보편적입니다.  회사에서 잘주면 8000까지도 가능할 수고 있으니 현재 받는 인센티브/Benefit/ 등으로 협상을 좀 더 진행해보심이 좋을 것 같아요.  처음에 Base Salary 조금이라도 더 받는게 다음 이직시 훨씬 좋아요.  리로케이션은 Director이상의 직급이 도움이 될만한 지원을 받고 아니면 큰 기대는 하지않으시는게 나아요.    만약 결과가 좋아 더 받으신다면 감안하셔야할 것이 월급의 SGD 2000~3000 정도는 렌트비로 나가니 없다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그를 제외한 돈으로 생활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직은 혼자시니 렌트는 2000~2500 안에서 구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생활적인 면에서는 차도 없고 한국보다 아껴살아야 되지만 일하는 환경은 한국의 IT 에 비해 너무 좋습니다.  경력을 잘 만들어갈 수 있는 기회들도 많구요...그렇게 자연스레 이직도 하게되고....연봉은 차근 차근 올라갑니다.... 저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IT 관련직종으로 만족하고 잘지내고 있습니다. 한국으로는 절대 돌아가고 싶지 않네요 ㅎㅎ     이직은 굉장히 보편적이고 job hopper 가 아닌이상 본인의 연봉을 높이기 위해서는 불가피합니다.  이직에 대해 눈치를 1도 보지 않는 나라고 하시는 직군 자체가 이직을 통해 몸값을 높이는건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13 채택답변
Q

NO.501

생활어금니 덮어쉬운 부분이 덜렁거려요...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페어플레이(ya00) 2018-11-08
추천수 : 0 조회수 : 1,609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몇년전에 어금니 덮어쉬운게 덜렁거리는게 접착제가 닳은거 같아요... 치과 비용을 먼저 알고 갔으면 하는데...얼마정도 나올까요?? 싱가폴 치과 비용이 너무 비싸다고 하더라구요.. 댓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A

    저 옛날에 어금니 덮어씌운거 떨어져서 래플스에 한국인 의사분 있던 곳으로 다녀왔는데 100불 초반대 정도 들었는거 같아요. 한국인 의사셔서 그런지 몰라도 많이 깎아주시더라구요. 100불대 생각하시고 가면 되지 않을까 싶어요      

    1
  • A

    크라운이 덜렁 거리는 것 같은데 떨어진 크라운은 다시 씌우기 힘이 들어 새로 해야 합니다. 얼마전에 저도 크라운 씌운 이가 다시 썩어 여기서 했는데 크라운 씌우는 비용만 1000불 들었습니다.   한국도 크라운은 의료보험이 되지 않아 적게는 20만원 많게는 50만원 정도 듭니다.   한국 왕복비행기하고 크라운 비용 까지 생각하면 싱가포르에서 하는것이 비용이 적게 들것 같습니다.   우선 의사를 만나서 그 이에 이상이 없는지 부터 확인 하시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고 새로 해야하는것만 이라면 싱가포르가 나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보타닉가든에 있는 보타닉치과 갔었는데 뭐 만족 합니다. 선생님도 친절 하시고 한국인 직원도 친절하시고 괜찮았습니다.        

Q

NO.500

생활스마트폰, 은행업무 질문드립니다 ..

  • 답글 : 3
  • 댓글 : 6
답변완료
달의요정평이(pyunghwa1995) 2018-11-05
추천수 : 0 조회수 : 1,414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아직 한국이고 곧 싱가폴로 넘어갈 예정인데요. 너무 좋으신 분들 덕분에 많은 정보 알아갑니다 ㅠ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요,,   1.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싱가폴로 가져갈 경우 유심만 구매하여 …

  • A

    1. 네 정지시키고 한국가면 살리고 하시면 됩니다. 해외 장기체류로 인한 정지는 보딩패스를 통신사에 보내줘야해서 잘 킵하세요 사진찍어 놓으세용 2 네, 그냥 한국에서 처럼 쓰시면 됩니다.  이거 영문 컴터로 하면 굉장히 피곤합니다.....모바일이 쉬워요      

    1
  • A

    1. 제일 저렴한 요금제를 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11,000원 요금제로 해서 매월 SKT 가족할인 50프로 할인하고 5,500원 납부중입니다. 당연히 정지를 하시면 돈 안나고 얼마나 장기간 있으실지 모르니 정지를 고려하시거나 해지를 고려하시겠지만... 2번 질문을 고려해서 답을 드리는 것입니다.  요즘 한국에서 대부분 본인인증은 휴대폰으로 하시고 계시죠? 싱가폴 오셔도 한국의 여러 홈페이지 가입 및 로그인 인증, 비밀번호 변경, 모바일 뱅킹, 인터넷 뱅킹, 기타 돈과 관련된 어플레케이션등 모두 다 본인인증은 문자 인증 또는 통화인증입니다. 그래서 한국 전화 정지나 해지하시면 아무것도 못합니다. 한국 가셔야 가능합니다 ㅡㅡㅋ 제 개인적인 의견일지 모르겠지만, 꼭 저려함 요금으로 살려서 오시길 추천드려요. 그리고, "해외 데이터로밍 무조건 차단" 옵션을 통신사에 가시거나 114 전화해서 신청하세요. 그럼 여기와서 추가로 돈나갈 걱정없이 문자 받으시면 됩니다. 2. 인증서 발급 및 갱신 어떻게 하시겠어요? 한국 전화 필요합니다.... 이미 위에서 언급 드렸지만 꼭 살려오시길 추천드립니다. 나는 싱가포르에서 돈만 사용하고 거래하고 신용카드도 다 싱가포르고, 한국의 본인인증은 할 일이 절대 없다. 라고 생각하시면 안가져 오셔도 되지만... 분명 필요하실거예요 ㅠ      

    3 채택답변
  • A

    1. 아마 한국에서 사용중이던 스마트폰(아이폰 외)은 싱가폴에 오면 4G가 아닌 3G밖에 사용 못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이폰은 4G 가능..   2. 외국에서 한국은행 인증서 발급시 자동으로 해외IP로 식별하게 되며 인증서 발급 절차인 문자인증, 전화인증등이 사라지게됩니다. 공인인증서도 한국 휴대폰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단 OTP또는 보안카드는 가지고 오셔야겠지요.      

    2
Q

NO.494

생활싱가폴은 실손보험이나 그런게 어떤가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현우뫈(hyeunwoo) 2018-10-18
추천수 : 0 조회수 : 1,627

싱가폴 3년 있으려면 있는 동안 실손보험 들어둬야 겠죠? 직장 보험 나오는것 같긴 하던데 한국에서도 어차피 직장보험으로는 제대로 커버가 안되니...     싱가폴은 보험이 한국과 비슷한가요? 실손보험 들어두면 대부분 다 적용 받을 수 있나요?   한국에서

  • A

    네 있어요 가입전에 직장보험에서 실손이 부족하면 신청하세요 가격은 한국하고 비슷합니다  다만, 회사에서 보험가입시 Flexi-Benefit 이라고 보통 보험처리 외 실손보험이 들어있습니다. 님의 직장보험도 이게 있을꺼예요 통원치료/치과가 대표적인 사례고 영수증 청구하면 돈으로 돌려줍니다. 이 한도가 부족하다 느끼시면 가입하셔도 됩니다 근데 보통 이 금액 1년에 다 못써요 그래서 약도사고 안경도 사고 뭐 이래저래 억지로 써야 다씁니다.  수술,입원 등은 이것과 별개로 보험에서 커버되구요  지금까지 싱가폴에서 4번째 회사지만 직장보험 커버리지가 너무 좋아 개인보험은 굳이 필요하지 않았어요. 직장보험 물론 직계 가족도 모두 커버됩니다.  먼저, 직장보험을 잘 살펴보세요 그리고 결정해도 절대 늦지 않아요.      

    채택답변
Q

NO.492

생활싱가폴에서 운전하기 어려운가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완료
현우뫈(hyeunwoo) 2018-10-10
추천수 : 0 조회수 : 2,169

싱가폴 운전석이 반대방향이라고 들었습니다.   도로 운전방향은... 반대인지 아닌지 모르겠는데... 일단 운전석이 반대라는것부터 부담이 퍽퍽 되네요.   한국에서만 운전해본 사람이 싱가폴에서 운전하기 어려우려나요?        

  • A

    한국무사고 운전경력 13년 한국 건설기기 조종사 면허 보유 한국 경승용 드리프트 대회 1위 입상 2회 싱가폴도로는 운전대로 반대지만 도로도 반대에요 처음 운전 후 하루 정도는 살짝 헷깔렸지만 운전 좀 하셨으면 오히려 한국보다 운전질서자체를 잘지키고 대부분의 도로가 일방통행이라 운전하기 편해요 ^^      

    채택답변
  • A

    안녕하세요 운전석 관련 답변 드린 사람입니다. 위에 분 말씀대로 싱가폴은 운전석과 도로 방향 둘 다 한국이랑 반대입니다. 이것 때문에 공간 측정이라던가 (아마 적응되실 때까지 계속 한쪽으로 치우치실거에요..) 이동 방향이 헷갈리실 수 있지만 이 부분만 극복하면 싱가폴이 운전하기 훨씬 쉽습니다. 아무래도 한국보다 차량 수도 적고 싱가폴 특성상 교통법이 매우 엄격해서 (물론 예외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법을 잘 준수하면서 다니는 편이거든요, 한국에서 어려움 없이 다닐 정도의 운전실력이시라면 잘 적응하실 수 있을 것도 같은데 그래도 좀 긴가민가 하시면 도로연수(refresher course) 받아 보시는 거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처음부터 혼자 다니는 것보다 옆에 강사 앉혀놓고 연습하는 게 안전상으로도 좋으니까요. 참고로 전 Comfort Delgro Driving Centre에서 도로 연수 받았었는데 한국에 비해 가격대가 좀 더 나가지만 나름 체계가 있어서 그럭저럭 괜찮았습니다.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워낙 큰 회사라 등록 경쟁률이 치열하니 등록 원하시면 최대한 일찍 알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 A

    한국에서 운전하셨으니 적응의 시간이 조금 필요할뿐 어디가도 운전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죠  양보도 잘해주는 편이고 신호도 잘지키고 적응만하시면 큰 어려움은 없으실꺼예요 전 첨에 주차하는데 반대라 해깔리더라구요 좌회전, 우회전이야 할때마다 마음속으로 정신차리고 앞에차 잘 따라가면되요 글구 차가 무지 비싸요 주차비도 만만치 않고... 이제 차없이 걍 그랩타고 다닙니다 세상편해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