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6

기타CPF에 관하여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색동 고무신(poiu7890) 2007-06-26
추천수 : 8 조회수 : 1,371

질문,답변을 둘러보면서 저도 제가 아는 부분이 틀린건가 싶기도 하고 제가 아는것이 맞다 면 몇몇 분들이 CPF에 대해서 오해가 있으신것 같아 오지랍 넓은 아줌마가 글을 써 봅나 다. 어떤분들이 CPF가 일종의 세금이라고 알고 계신것 같은데, 오히려 이건 국민연금에 …

  • A

    제 생각도 같습니다. 하지만 뭐 우리나라에서 국민연금이 준조세에 포함되니 여기도 뭐 그렇게 적용할 수도 있겠죠. CPF를 통해서 기본적인 의료보험 혜택이 주어지고, 집을 구입할때 대출의 조건이 되기도 합니다. 처음 2년은 낮은 비율로 내게 되어 있지만 회사와 협상하여 처음부터 꽉채워 넣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금액의 한계가 있어서 월 900 불인가가 본인이 내야 하는 한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이것은 Monthly Base Salary에 해당하고 보너스의 경우는 cap 없이 해당 금액을 떼어 가는 것 같더군요. 저는 그냥 저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에서 나갈 때에 찾아 가지고 나갈 수 있습니다. > >질문,답변을 둘러보면서 저도 제가 아는 부분이 틀린건가 싶기도 하고 제가 아는것이 맞다 > >면 몇몇 분들이 CPF에 대해서 오해가 있으신것 같아 오지랍 넓은 아줌마가 글을 써 봅나 > >다. 어떤분들이 CPF가 일종의 세금이라고 알고 계신것 같은데, 오히려 이건 국민연금에 > >더 가깝지 않나요?  제가 알기로는 총 월급여의 20%는 본인이 부담하고, 13%는 고용주가 > >부담해 총 33% 의 돈이 본인의 CPF ACCOUNT에 적립이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 >PR취득후 1년간은 본인 5% , 고용주 4% 인 식으로 2년간은 적은 비율로 납부가 되지만요. > >그래서 저는 CPF가 오히려 Employee를 위한것이라고 생각해 PR을 얻음으로써 받는 수 > >혜라고 생각했거든요. 혹시 제가 생각하는 부분에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친절한 답변 부탁 > >드립니다.     

  • A

    저도 저축이라고 생각하고 살고 있습니다. 급여를 받을 때는 좀 섭섭하지만, CPF가 얼마나 모아졌는지 보면 뿌듯합니다. 한국에서는 연금공단이 신임이 안가고 돈이 필요해도 한국을 떠나거나 죽거나,늙지 않으면 빼어 쓰기 힘든   국민연금이 세금처럼 느껴졌는데, 이곳에서는 저축하는걸로 느껴집니다. 병원신세를 질때도, 집살때도 현금처럼 쓰일 수 있으니 제돈이지만 그래도 비용 부담이 줄더라구요. 제가 싱가폴 정부를 너무 신임하는 걸까요?^.^;; 대신 노후자금은 따로 열심히 저축해야할거 같아요. 딴 이야기 이지만.... 한국에서는 결혼전 예비 신랑 신부가 예단 비용은 얼마를 생각하는지, 집은 대출로 구입할건지 전세로 살건지에 대해 이야기가 오갈때.... 싱가폴 예비 신랑 신부들은 "너 지금까지 CPF얼마 모았니?" 한답니다. ^.^ >제 생각도 같습니다. 하지만 뭐 우리나라에서 국민연금이 준조세에 포함되니 여기도 뭐 그렇게 적용할 수도 있겠죠. >CPF를 통해서 기본적인 의료보험 혜택이 주어지고, 집을 구입할때 대출의 조건이 되기도 합니다. >처음 2년은 낮은 비율로 내게 되어 있지만 회사와 협상하여 처음부터 꽉채워 넣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금액의 한계가 있어서 월 900 불인가가 본인이 내야 하는 한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이것은 Monthly Base Salary에 해당하고 보너스의 경우는 cap 없이 해당 금액을 떼어 가는 것 같더군요. >저는 그냥 저축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에서 나갈 때에 찾아 가지고 나갈 수 있습니다. > > >>질문,답변을 둘러보면서 저도 제가 아는 부분이 틀린건가 싶기도 하고 제가 아는것이 맞다 >> >>면 몇몇 분들이 CPF에 대해서 오해가 있으신것 같아 오지랍 넓은 아줌마가 글을 써 봅나 >> >>다. 어떤분들이 CPF가 일종의 세금이라고 알고 계신것 같은데, 오히려 이건 국민연금에 >> >>더 가깝지 않나요?  제가 알기로는 총 월급여의 20%는 본인이 부담하고, 13%는 고용주가 >> >>부담해 총 33% 의 돈이 본인의 CPF ACCOUNT에 적립이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 >>PR취득후 1년간은 본인 5% , 고용주 4% 인 식으로 2년간은 적은 비율로 납부가 되지만요. >> >>그래서 저는 CPF가 오히려 Employee를 위한것이라고 생각해 PR을 얻음으로써 받는 수 >> >>혜라고 생각했거든요. 혹시 제가 생각하는 부분에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친절한 답변 부탁 >> >>드립니다. >     

Q

NO.34

기타싱가폴에서 집을 구입하려면 얼마나 드나요?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ekjeon74) 2007-06-11
추천수 : 9 조회수 : 1,284

신랑이 싱가폴에 회사에 입사하게 되어서 문의드립니다. 알아보니 렌트비가 만만치 않아서 구입을 하게되면 비용이 얼마나 발생할까요? 아이둘과 신랑,저 이렇게 네식구가 살껀데..방은 2-3개정도면 되구요.. 또, 구입시 콘도와 다른 주거용 건물을 구입할수 있는건지 궁금…

  • A

    한국촌 메인페이지에 걸린 아래 부동산사이트 기사를 주욱 먼저 전부 읽어보세요. http://www.toojasing.com/ 저도 온지 얼마 안되서 잘은 모르지만, 콘도 가격은 한국처럼 천차만별입니다. 위치,크기,주변환경,시설등등... 짧은 느낌이지만, 결코 서울보다 싸진 않다는 느낌이며, 웬만한 곳은 강남만큼 비쌉니다. 방2개짜리 렌트를 알아보러 7군데의 East Coast지역(공항가까운쪽) 콘도를 둘러보면서, sale가격도 물어보니 대략 80만불 ~ 150만불 정도 갈꺼라고만 들었답니다. Central지역 가까이 갈수록, 바닷가전망이 보일수록, 새아파트 일수록... 급격하게 올라간답니다... 직접 와서 많이 둘러보시고 하셔야 될겁니다... >신랑이 싱가폴에 회사에 입사하게 되어서 문의드립니다. > >알아보니 렌트비가 만만치 않아서 구입을 하게되면 비용이 얼마나 발생할까요? > >아이둘과 신랑,저 이렇게 네식구가 살껀데..방은 2-3개정도면 되구요.. > >또, 구입시 콘도와 다른 주거용 건물을 구입할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세금관련도요.. > >전혀 지식이나 개념이 없어서..ㅠ.ㅠ > >답변 부탁드립니다. >     

Q

NO.32

기타혹시 집을 구입하게 되면 세금외에..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happy(aries) 2007-05-21
추천수 : 34 조회수 : 1,109

혹시 싱가폴에서 집을 사게되는경우 세금은 얼마인가요? 그리고 에이젼트 피는 얼마정도 줘야 하는가요?     

  • A

    >혹시 싱가폴에서 집을 사게되는경우 세금은 얼마인가요? >그리고 에이젼트 피는 얼마정도 줘야 하는가요? 반년전쯤 살던 집을 팔고 새 집을 샀습니다. 새로 산 집이 600,000sgd정도 되었는데  국가에서 떼간 돈이 10,000불정도 되더군요. 그리고 집을 사는것에는 에이전트fee 없습니다. 원래 살때 1%, 팔때1% 였었는데 작년인가...팔때만 2%로 바뀌었답니다. 제가 작년 9월에 집을 팔때만 2%를 지불했고 지금 새로 산 집에는 fee 안줬습니다. 혹시 한국인이라고 사기칠 에이전트가 있을지도 모르니 조심 ^^; 참, 이건 질문하지 않으신거지만....요새 한국사람들이 싱가폴에 집을 사는 경우가 많은거같아서 tip으로 하나 싱가폴에선 보유세를 메길때 주인이 현재 살고 있는지, 아니면 렌트를 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책정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는 달리 집값에 따라 세금이 달라지는게 아니라 렌트비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렌트를 해봤자 별볼일 없을것같은 집은 세금이 싸고 렌트해서 많이받을것같은 집은 세금이 더 나오죠. 희안하죠? ^^ 보유세 내라고 고지서가 나오는건 주인이 렌트를 했다는 가정하에 10% 로 계산되어 나옵니다. 혹시 한국사람들중 집을 구입해서 직접 살고계시다면 인터넷으로 웹싸이트(세금메기는곳을 뭐라고 하죠? 암튼, 거기 웹사이트)  찾아서 문서 하나를 다운받으세요. 주인이 직접 살고있는 경우엔 이 문서를 작성해서 보내면 한달후쯤 4% 로 세금을 책정해서 다시 용지를 보낼겁니다. 집 구입 잘하세요...^^     

Q

NO.28

기타싱가폴에서의 연봉 및 세금 관련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skim(caerang) 2007-03-29
추천수 : 3 조회수 : 2,801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있는 다국적 기업과 연봉 협상이 남은 상태입니다. 연봉 협상을 위해 싱가폴의 평균 연봉과 세금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먼저 연봉 관련 질문은 저는 IT쪽이고 경력은 석사 포함 만 9년 되었습니다. 올해부터 10년차 들어가네요. 한국에서는…

  • A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있는 다국적 기업과 연봉 협상이 남은 상태입니다. >연봉 협상을 위해 싱가폴의 평균 연봉과 세금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 >먼저 연봉 관련 질문은 >저는 IT쪽이고 경력은 석사 포함 만 9년 되었습니다. 올해부터 10년차 들어가네요. >한국에서는 5500-6000 사이 받고 있구요. (보너스 때문에 변동이 좀 있죠) >여기저기 정보 찾으면서 이직을 통한 약간의 업까지 고려해서 >105000싱$ (약 6500만원) 정도 요구할까 싶은데, >물가 등을 고려해 볼때 이것이 적절한지 너무 많은지 너무 적은지(!) 잘 모르겠네요. >연봉 이외에 집세 및 의료 지원을 조건에 같이 넣으려고 하는데 >이런 경우 연봉을 조금 적게 내려야 할지...하여튼 고민이 많습니다. > >그리고 세금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글을 발견했는데, >>>"두번째 고려사항은, 이곳싱가폴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13번째 월급을 연말에 세금내라고 주거든요. 그걸로 대부분 세금 충당하고 남지요." >이 대답에 의하면 세금까지도 회사가 지원해준다는 것인데, >이게 싱가폴 기업 (뭐 대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에 국한되더라도)들의 >일반적인 경우인지 궁금하네요. > >적절한가 아닌간의 문제는 제3자가 섣불리 조언하기는 힘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만 별 도움이 안되는 조언을 하자면 일단 처음의 연봉이 정해지고 계약을 하시게 되면 그 이후부터의 연봉인상의 베이스가 처음 계약이 되기때문에 잘 생각하셔서 계약을 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자면 처음에는 내가 손해보더라도 조금 적은 연봉에 계약했지만 나의 진가를 알아보고 다음해에 많은 폭의 상승을 기대하면서 일단 자리를 잡자..는 일은 아주아주 어렵다는 것입니다. - 최고 인상폭이 정해져있는데 거의 예외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택이나 학자금, 의료비등의 문제도 계약시 문서화 시키셔야 하지만 전반적으로 연봉외의 지원은 어느회사를 막론하고 많이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세금의 경우는 만약 님께서 13만달러의 연봉계약을 하신다면 나누기 13을 해서 매달 1만불씩 지급이되고 -세금이 후불이라 영주권이 없으신 상태라면 더 나가는 돈은 없이 딱 그렇게 지급됩니다- 12월은 2개월치가 지급됩니다. 이듬해에 세금 신고를 하게되고 지불은 그 이후에 하게 됩니다. 저희도 아직 작년도 세금납부 통지서가 오지않은 상태입니다^^ 이 금액이 보통 1개월치 월급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어찌보면 회사에서 세금을 대 준다기보다는 그 금액을 고려해서 연봉 총액을 정하시는거겠지요. 월급을 1만불 받고싶다..그러면 제시하실 금액이 12개월*1만불 + 세금(약 1개월치 월급) = 13만불을 받고싶다..고 협상에 들어가시는거지요. 그럼 좋은 결과 얻으시길...     

  • A

    저랑 비슷한 스펙인 것 같아서 뒤늦게 한자 적습니다. 저는 외국계회사 한국지사에 있다가 작년에 싱가폴 regional head office로 전근이 되었구요 올때 연봉은 한국에서 받던 연봉에 집세와 의료비 보조만 플러스로 받아서 왔습니다. (많이 느끼게 되는게 한국에서는 어느정도 기본선이 있어서 알아서 해주는 경우가 많잖아요... 여긴 정말 자기가 네고한 만큼만 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여기 기본연봉은 울나라보다 좀 적습니다.(아래 싸이트 참조하세요) 대신 income tax율은 8.5-9.5% 정도로 한국에 비해 적은 것 같습니다. http://www.contactsingapore.org.sg/oppor_careers_salaries.shtml 13번째 보너스는 한국에서 퇴직금이랑 비슷하게 생각하면 될 것 같은데요. 한국도 일년 근무하면 한달치 봉급은 퇴직시 퇴직금으로 받잖아요. 특별히 additional benefit이라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네고 잘하시구요. (음 전 연봉협상을 하면서 제가 참 협상력이 없구나. 모자르구나 하는  각 정말 많이 했습니다. ) 건승하세요!!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있는 다국적 기업과 연봉 협상이 남은 상태입니다. >연봉 협상을 위해 싱가폴의 평균 연봉과 세금 관련 사항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 >먼저 연봉 관련 질문은 >저는 IT쪽이고 경력은 석사 포함 만 9년 되었습니다. 올해부터 10년차 들어가네요. >한국에서는 5500-6000 사이 받고 있구요. (보너스 때문에 변동이 좀 있죠) >여기저기 정보 찾으면서 이직을 통한 약간의 업까지 고려해서 >105000싱$ (약 6500만원) 정도 요구할까 싶은데, >물가 등을 고려해 볼때 이것이 적절한지 너무 많은지 너무 적은지(!) 잘 모르겠네요. >연봉 이외에 집세 및 의료 지원을 조건에 같이 넣으려고 하는데 >이런 경우 연봉을 조금 적게 내려야 할지...하여튼 고민이 많습니다. > >그리고 세금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글을 발견했는데, >>>"두번째 고려사항은, 이곳싱가폴은 세금을 거의 내지 않습니다. 왜냐구요? 13번째 월급을 연말에 세금내라고 주거든요. 그걸로 대부분 세금 충당하고 남지요." >이 대답에 의하면 세금까지도 회사가 지원해준다는 것인데, >이게 싱가폴 기업 (뭐 대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에 국한되더라도)들의 >일반적인 경우인지 궁금하네요. > >     

Q

NO.26

기타싱에서 세금을 내야하는데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세금(goto9035) 2007-03-22
추천수 : 8 조회수 : 919

한국서 홀로 파견나와 있는데 급여도 한국서 한국에 있는 계좌로 입금되는데 싱에서 세금을 내야 된다네요. 4월 중순까지 세금신고해야 한다는데 개인적으로 신고하기에는 절차가 어려운가요. 싱세무서에서 보내온 참고책자는 자세히 안봤지만 펼쳐보기가 피곤할만큼 복잡해 보이던데..…

  • A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를 올려 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내에서 도와 드리겠습니다. >한국서 홀로 파견나와 있는데 급여도 한국서 한국에 있는 계좌로 입금되는데 싱에서 세금을 내야 된다네요. 4월 중순까지 세금신고해야 한다는데 개인적으로 신고하기에는 절차가 어려운가요. 싱세무서에서 보내온 참고책자는 자세히 안봤지만 펼쳐보기가 피곤할만큼 복잡해 보이던데..,이곳 회계사무소를 통하면 $600정도 수수료가 든다는데 그정도 가치가 있는지.. 경험해 보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 A

    파견 나온 경우 회계사무소비용은 회사에서 부담하지 않는가요? 혹시 직접하셔야 한다면 이메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무료로 도와 드리겠습니다. >한국서 홀로 파견나와 있는데 급여도 한국서 한국에 있는 계좌로 입금되는데 싱에서 세금을 내야 된다네요. 4월 중순까지 세금신고해야 한다는데 개인적으로 신고하기에는 절차가 어려운가요. 싱세무서에서 보내온 참고책자는 자세히 안봤지만 펼쳐보기가 피곤할만큼 복잡해 보이던데..,이곳 회계사무소를 통하면 $600정도 수수료가 든다는데 그정도 가치가 있는지.. 경험해 보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Q

NO.24

기타콘도에 살때 세금 문의드립니다.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피피(sanguni) 2007-02-21
추천수 : 3 조회수 : 1,595

싱가폴 초짜입니다. 만약 방 2개정도의 콘도에 신혼부부 둘이 렌트해서 산다고 가정했을때,, 한달에 얼마정도의 세금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주인이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세금,,즉,, 물값,전기세,가스료,TV케이블,인터넷비 각각에 대해…

  • A

    >싱가폴 초짜입니다. > >만약 방 2개정도의 콘도에 신혼부부 둘이 렌트해서 산다고 가정했을때,, >한달에 얼마정도의 세금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주인이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세금,,즉,, >물값,전기세,가스료,TV케이블,인터넷비 각각에 대해서 대략적인 가격을 갈쳐주세요. > >제 추측으로 전기세는 에어콘을 얼마나 쓰냐에 따라 다를거 같은데 >에어콘을 많이 사용할때와 적게 사용할때로 나누어서 갈쳐주세요. > >글고,, >이러한 세금들은 보통 어떠한 방식(자동이체? 고지서? 주인에게?) 으로 납부하게 되는지 갈쳐주세요,, > 세금이라기보다는 공과금이네요^^ 사용하시는 분에 따라, 가지고계신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에어컨은 밤에 잘때만 사용하는지라 - 거실 베란다 창을 열어놓으면 바람이 시원해서 추울때가 많답니다..^^ 전기요금은 의외로 적게 나오더군요. 케이블과 인터넷은 약정하시기 나름이고요.  한국에서 사용하시던 것보다 적거나 비슷하실거라고 예상됩니다. (여기는 비교적 수도세가 비싼 나라라는 것을 염두에 두십시오^^) 주인에게 내는 것이아니라 사용자가 각각의 회사에 납부하는 것이니까 자동이체를 할것인지 지로로 낼것인지는 본인 하시기 나름입니다. 보통 sam이라고 하는 기계에서 내실 수있어요. 처음에는 각각 디파짓들이 있어서 보증금만 따지면 상당히 많은 액수가 나올텐데요, 한 3개월정도 사용하시면서 평균을 내보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 A

    > >>싱가폴 초짜입니다. >> >>만약 방 2개정도의 콘도에 신혼부부 둘이 렌트해서 산다고 가정했을때,, >>한달에 얼마정도의 세금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주인이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세금,,즉,, >>물값,전기세,가스료,TV케이블,인터넷비 각각에 대해서 대략적인 가격을 갈쳐주세요. >> >>제 추측으로 전기세는 에어콘을 얼마나 쓰냐에 따라 다를거 같은데 >>에어콘을 많이 사용할때와 적게 사용할때로 나누어서 갈쳐주세요. >> >>글고,, >>이러한 세금들은 보통 어떠한 방식(자동이체? 고지서? 주인에게?) 으로 납부하게 되는지 갈쳐주세요,, >> > >세금이라기보다는 공과금이네요^^ >사용하시는 분에 따라, 가지고계신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에어컨은 밤에 잘때만 사용하는지라 - 거실 베란다 창을 열어놓으면 바람이 시원해서 추울때가 많답니다..^^ 전기요금은 의외로 적게 나오더군요. 케이블과 인터넷은 약정하시기 나름이고요.  한국에서 사용하시던 것보다 적거나 비슷하실거라고 예상됩니다. (여기는 비교적 수도세가 비싼 나라라는 것을 염두에 두십시오^^) > >주인에게 내는 것이아니라 사용자가 각각의 회사에 납부하는 것이니까 자동이체를 할것인지 지로로 낼것인지는 본인 하시기 나름입니다. 보통 sam이라고 하는 기계에서 내실 수있어요. 처음에는 각각 디파짓들이 있어서 보증금만 따지면 상당히 많은 액수가 나올텐데요, 한 3개월정도 사용하시면서 평균을 내보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 대답 감사합니다. 대략적인 가격이라도 말씀해 주세요.. 그게 궁금합니다.     

  • A

    저희랑 비슷하시네요. 방두개 콘도에 부부만 살거든요. 에어컨은 하루에 30분 ~ 1시간 정도. 3,4월 더울때는 조금 더 켜고, 12월달 우기때는 조금 덜 켜고요. 빨래는 보통 일주일에 2,3번 돌리고, 건조기를 이용해서 빨래 말립니다. 청소기는 일주일에 세번 정도 돌리구요. 그외에는 딱히 전기를 많이 쓰는 가전 제품은 없고요... 이렇게 했을때 보통 전기,수도,가스등등 요금으로 나오는게, $100 안쪽입니다. 전기세 한참 올랐을때는 $100를 넘긴적이 있지만...요즘 다시 내려서..요즘은 $80대로 나오더군요. 케이블 TV는 안써서 모르겠고, 인터넷은 싱텔 2년 계약이 $40 않되는걸로 압니다. > >> >>>싱가폴 초짜입니다. >>> >>>만약 방 2개정도의 콘도에 신혼부부 둘이 렌트해서 산다고 가정했을때,, >>>한달에 얼마정도의 세금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주인이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세금,,즉,, >>>물값,전기세,가스료,TV케이블,인터넷비 각각에 대해서 대략적인 가격을 갈쳐주세요. >>> >>>제 추측으로 전기세는 에어콘을 얼마나 쓰냐에 따라 다를거 같은데 >>>에어콘을 많이 사용할때와 적게 사용할때로 나누어서 갈쳐주세요. >>> >>>글고,, >>>이러한 세금들은 보통 어떠한 방식(자동이체? 고지서? 주인에게?) 으로 납부하게 되는지 갈쳐주세요,, >>> >> >>세금이라기보다는 공과금이네요^^ >>사용하시는 분에 따라, 가지고계신 가전제품의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에어컨은 밤에 잘때만 사용하는지라 - 거실 베란다 창을 열어놓으면 바람이 시원해서 추울때가 많답니다..^^ 전기요금은 의외로 적게 나오더군요. 케이블과 인터넷은 약정하시기 나름이고요.  한국에서 사용하시던 것보다 적거나 비슷하실거라고 예상됩니다. (여기는 비교적 수도세가 비싼 나라라는 것을 염두에 두십시오^^) >> >>주인에게 내는 것이아니라 사용자가 각각의 회사에 납부하는 것이니까 자동이체를 할것인지 지로로 낼것인지는 본인 하시기 나름입니다. 보통 sam이라고 하는 기계에서 내실 수있어요. 처음에는 각각 디파짓들이 있어서 보증금만 따지면 상당히 많은 액수가 나올텐데요, 한 3개월정도 사용하시면서 평균을 내보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 > >대답 감사합니다. 대략적인 가격이라도 말씀해 주세요.. 그게 궁금합니다. >     

Q

NO.23

기타세금환급과 관련하여 질문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직장인(phj0901) 2006-12-22
추천수 : 15 조회수 : 1,260

단기(4개월)로 왔다가 곧 돌아갈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골프채를 샀는데.. 출국시 창이공항에서 세금을 환급받으라면서 check을 주더군요.. 세금환급받는 절차에 대해 아시는 분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 A

    절차는 1. 환급담당에게 서류와 물건을 보여주고 도장을 받고 2. 비행기 표 받고 check in하셔서 면세점 있는 곳을 들어가시면 GST 환급 코너가 있습니다. 3. 환급코너에 위에서 도장을 받은 영수증을 주면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주의하셔야 할 부분은... 들어가시지 전에 먼저 도장을 받아야 합니다. 창이공항 출발층 제일 좌측으로 가시면 책상 두어개 놓은 작은 코너가 있습니다. 영수증을 보여주면 물건을 보자고 하기도 하고 영수증만 보고 도장을 찍어 주기도 합니다. >단기(4개월)로 왔다가 곧 돌아갈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골프채를 샀는데.. 출국시 창이공항에서 >세금을 환급받으라면서 check을 주더군요.. >세금환급받는 절차에 대해 아시는 분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     

  • A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절차는 >1. 환급담당에게 서류와 물건을 보여주고 도장을 받고 >2. 비행기 표 받고 check in하셔서 면세점 있는 곳을 들어가시면 GST 환급 코너가 있습니다. >3. 환급코너에 위에서 도장을 받은 영수증을 주면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 >주의하셔야 할 부분은... >들어가시지 전에 먼저 도장을 받아야 합니다. 창이공항 출발층 제일 좌측으로 가시면 책상 두어개 놓은 작은 코너가 있습니다. 영수증을 보여주면 물건을 보자고 하기도 하고 영수증만 보고 도장을 찍어 주기도 합니다. > > > >>단기(4개월)로 왔다가 곧 돌아갈 사람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골프채를 샀는데.. 출국시 창이공항에서 >>세금을 환급받으라면서 check을 주더군요.. >>세금환급받는 절차에 대해 아시는 분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 >     

Q

NO.19

기타영주권이 좋은점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나라(emumbyzee) 2006-11-29
추천수 : 3 조회수 : 1,521

영주권을 갖게 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세금이나 직업 등등 한국에서 국민연금을 찾을 수도 있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

    일단 영주권을 받으면 국민연금을 전액환급받을수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지사에 가서 싱가포르 영구영주권이라고 제시하고 이틀정도 있으면 지정해준 계좌에 입금됩니다. 세금은 취업비자로 있을때와 비슷한거 같구요 (자세히는 모름) 취업비자는 회사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회사를 그만두면 무효가 되니까 기본적으로 관광비자가 되니 90일체류제한이 있지만, 영주권은 5년,10년 Re-entry permit 유효기간에 따라 (Re-entry Permit은 영주권발급시 5년/10년중에 선택할수 있음) 그 기간만큼은 자유롭게 체류하고 출입국도 할수 있죠 영주권이 안좋은 점은 CPF(싱가포르국민연금)을 월급에서 원천징수해간다는 점이죠. 물론 영주권을 포기하고 한국으로 돌아가면 이자 포함해서 모두 돌려받을수 있구요 주택을 구입하게되면 CPF에서 대출받을 수 있으니까 매달 원천징수되는 연금납부금이 대출상환금의 일부가 되는 셈이죠. 영주권은 시민권이 아니기 때문에 이중국적은 아니구요. 한국의 호적이 없어지거나 주민번호가 말소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주민등본(거주지가 국내가 아니므로)이 없어지지만, 다시 귀국해서 주민증보여주고 새 거주지주소 동사무소에서 살리면 됩니다. >영주권을 갖게 되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세금이나 직업 등등 >한국에서 국민연금을 찾을 수도 있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

NO.18

기타아기 완구 한국으로 배송시 방법 및 요금문의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mug99(mug99) 2006-09-07
추천수 : 53 조회수 : 1,015

한국에서는 구할 수 없거나 있어도 값이 배로 비싼 아기 용품 몇가지를 싱가폴을 경유해서 여행가시는 부모님(영어 가능하십니다..)께 부탁드릴까 하는데요.. 승용완구도 있어서 부피때문에 구입 후 바로 한국으로 부치는 방법이 괜찮은지 문의드립니다.. 어떤 방법이 좋을지.. …

  • A

    >한국에서는 구할 수 없거나 있어도 값이 배로 비싼 아기 용품 몇가지를 싱가폴을 경유해서 여행가시는 부모님(영어 가능하십니다..)께 부탁드릴까 하는데요.. >승용완구도 있어서 부피때문에 구입 후 바로 한국으로 부치는 방법이 괜찮은지 문의드립니다.. 어떤 방법이 좋을지.. 배송료가 어느정도 들지.. 정확한 무게를 알 수 없어서 정확한 답은 어렵겠지만 대략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세금문제도 있을까요??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면 포기해야겠지요.. 무엇을 보낼때 얼마가 들었다든가 경험하신 부분을 알려주시면 리스트 작성하는데 참고하겠습니다..   큰 물건들은 생각보다 운송료가 많이 들어요. 정확하게 기억은 안나지만 아기 캐리어를 한번 보내볼까하고 우체국에 물어봤다가 너무 비싸서 차라리 그돈으로 한국에서 사겠다 싶어서 포기한적 있었어요. 10킬로에 항공편으로 거의 백불이었던듯... 너무 부피큰거는 또 안됀다고 했던거 같네요. 싸지만 부피큰것들은 다시 한번 생각하세요. 운송비 넘 비싸요... http://www.singpost.com 에 들어가셔서 운송비가 얼마나 들지 함 검색해보세요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