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9

생활한국에서 싱가폴로 이사하는 경우 조언..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완료
han2017(chobo2017) 2017-09-24
추천수 : 0 조회수 : 5,227

안녕하세요. 싱입에 대한 어느정도 계획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사를 준비해야 하는데.. 조언을 구합니다. 일단 저의 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사일: 아이들을 1월에 입학하려고 생각하고 있어 2017년 12월 중순 또는 1월 초 (연말연시라 좀 고민되네요.) -…

  • A

    한국과 싱가포르는 tv주파수가 다르다고 하네요. 한국 tv는 여기서 모니터로만 쓸 수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어요. 가능한지 확인해 보세요.     

    1
  • A

    티비는 셋톱 박스 있으면 잘 나옵니다. 다만 주파수가 달라서 지상파만 보려면 안나오는데 이것도 사실 지상파만 잡아주는 셋톱 박스 설치하면 시청 가능하구요...30불대였던거로 기억해요. 대부분의 콘도에는 붙박이장이 있긴하더라구요 혹시 이불 등등 옷이 많다 생각하시면 가져 오시면 좋을것 같은데 나중에여기서 버릴떄도 쉽지가 않아 잘생각해보시면 좋으럿 같습니다. 저 같은경우 가장 중요한 밥솥, 주방용품, 침대, 티비도 가져왔구요 한국이 싸기도 하구요 와서 어딘지도 모르는데 찾으려 다닐 생각하고 다 가져왔습니다.  밥솥은 hz가 맞는 제품이 있고 없는 제품이 있어서 제조사에 잘 확인하시고 가져오시면 좋겠네요. 마지막으로 변압기 트랜스 hz바꿔 주는게 필요하지 싶네요... 여기 벼룩시장에 자주나와서 여기와서 사도 무관할것 같긴한데..        

  • A

    이삿짐 비용이랑, 재구매 비용을 잘 비교해보셔야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짐을 줄여서 이삿짐 비용을 아끼는 것보다는, 한국에서 싸게 살수 있는 것들을 싸게 사서, 이삿짐으로 가져오는 편이 더 실용적이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드네요. 김치냉장고 같이 싱가폴에서 잘 안파는 품목도 있고, 쿠쿠나 쿠첸 전기밥솥은 한국보다 엄청 비싸고, 맘에 드는 모델도 별로 없어서, 결국 한국 출장갔다 오면서 사왔네요. 어떤 제품들은 이 가격에 여기서 사느니, 차라리, 한국에서 사서 가져오면 좋겠다는 제품도 많았거든요. 참조하세요     

    채택답변
Q

NO.28

생활병원방문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kristinelee(snow0442) 2017-08-16
추천수 : 0 조회수 : 1,993

안녕하세요. wp를 소지하고 일하고있는데, 얼마전에 일하다가 발목이 삔건지 인대가 늘어난건지 발목이 자꾸 불편하고 무릎까지 아파서 병원(클리닉이 아닌 호스피탈)에 가보려고 합니다. 클리닉갔더니 무슨 정형외과 전문의도 아니고 얘기 5분나누고 발들어보라더니 뼈는 이상…

  • A

    현재다니시는 회사 보험으로하세요. WP신청시 고용주가 의료보험 가입서류를 등록해야 카드발급이가능합니다. 일하다 다치신것 같다고 하셨는데 15000까지 커버되는 보험가입이 의무이니 병원비 걱정말고 다녀오세요. 연간 14일 Medical Leave도 있으니 MC쓰고 병원좀 다녀오세요. 병원에서 의사한테 Medical Certification 만 받으면 해당 기간만큼 유급으로쉴수있습니다. 입원비도 급여의 10%범위안에서 가능하니 몸관리잘하세요. 이나라는 날씨가 덥고 습해서 염증 잘안낫는것 같습니다. 일하러 오신분이 유학생보험을 어떻게 가입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보험청구서류 보험사에서 조회 해보면 워킹비자인거 다알텐데요... 한국에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시다면 가입하신 보험사에 싱가폴 금액한도를 확인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Mom에서 WP 의료보험 관련 검색해보시면 자료를 아주쉽게 찾을수 있으니 검색 해보시구요. 조속히 완쾌하시길 바랍니다.     

  • A

    쪽지 드려요~~ 확인부탁합니당     

  • A

    위의 분께서 자세히 설명해 주신 것처럼 회사 보험으로 하시는 경우에 한가지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저도 원글님과 유사하게 발목을 심하게 삐었는데요..저는 매우 심해서 응급실로 갔습니다. 응급실 비용 690 인가 나왔는데...나중에 보험에서 100 불만  환급해 주고 나머지는 환급이 안되더군요. 다음 진료에서도 바로 specialist (원글님이 원하시는 정형외과 의사)를 본 경우, 그리고 깁스 풀고나서 물리치료 받은 비용, MRI 비용 모두 다 커버를 안해주더군요. 다시 클리닉에 가서 GP에서 refer 레터 받아서 다시 정형외과 진료 보고 다시 물리치료 오더 받아서 한 것은 다 커버해줬습니다. 설명인즉슨...회사보험은 바로 전문의를 보는 것은 본인 부담이라고 합니다. GP를 만나고 GP가 리퍼해서 전문의를 보는 것은 의료적 필요가 인정되므로 보험이 되구요... 혹시 모르니 가입하신 회사 보험에 문의하시고 전문의나 병원 전문의 진료 보러 가세요.   보통 클리닉 GP들이 전문의 refer letter 쉽게 써줍니다.        

Q

NO.27

생활싱가폴에서 김치냉장고 사용하기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단뽀뽀(dekiru100) 2017-08-08
추천수 : 0 조회수 : 2,611

싱가폴에서 한국산 김치냉장고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전압은 한국이랑 같은데 헤르츠가 달라서 변압기가 필요하다고 들었어요. 실제로 싱가폴에서 김치냉장고 사용하시는 분들이나 전기에 대해 잘 아시는 분들의 조언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

    가장 확실한 방법은 비싸기는 해도 헤르쯔 변환기를 쓰시는 것이구요, http://sintek.co.kr/bbs/view.php?id=pd_4&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   최근 출시되는 김치냉장고들은 그나마 예전 제품들보다 헤르쯔 차이에 따른 오류 가능성이 적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딤채 스탠드형 한국에서 사와서 잘 쓰고 있습니다만 독립전원에 물려서 사용중이고 오래 쓸 수 있을거라고 기대는 하지 않습니다. 60hz 전용 제품을 50hz 환경에서 쓰는 것은 아무래도 기계에 무리가 가기 마련이니까요.   김치냉장고 좋은 제품 가져오신다면 기왕 쓰는 돈 헤르쯔 변화기도 같이 구매하셔서 쓰세요. 50만원 정도입니다.      

    1
  • A

    저는 3개월만에 스탠드 김치냉장고, 작은 와인냉장고가 아웃요..ㅠㅠ 변압기에 꽂은 코드가 점점 뜨거워지고 타는 냄새 나더니 연기가 풀 ~~  집에 사람없었으면 불날뻔.. 몇년 계시다 가실거면 두고 오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있으면 좋지만 이렇다면 굳이 가져올 이유가 있을까 싶어요. 많이 후회됩니다.  자리 잡고 있는거 보면 ~~~ㅠㅠ        

Q

NO.21

생활입국 거부 당할수도 있을까요?ㅠㅠ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진행중
loveit(hny3832) 2016-08-07
추천수 : 0 조회수 : 3,861

우선 SPass로 1년간 일했었고 현재는 관광비자로 체류중입니다. 일 그만둔 후 한국이랑 태국, 한번씩 갔다 왔구요.(한국 갔다가 싱가폴 다시 와서는, 90일 꽉 채워서 있다가 태국 다녀왔어요...) 그리고 태국 갔다온지 16일 정도만에 말레이시아 코타바루 라는곳에 …

  • A

    '무조건' 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워낙 복불복이어서요. 한국을 다녀오신것을 빼면... 지금 두번째 소셜비짓 연장이신 셈인데, 왜 싱가폴을 또 방문했는지 물어볼 가능성이 클 것 같습니다. 이 때 한국으로 돌아가는 리턴 티켓 같은 것이 없으면 입국이 거부 될 확률도 있구요. 지금 하신 질문은.. 그 누구도 '이런 이런 루트로 들어오시면 안전하다'라는 답변을 드릴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1
  • A

    요즘 상황에서는 좀 많이 위험하실 것 같아요.ㅜ 이미 90일 관광비자로 꽉 채웠는데, 싱가폴에 관광비자로 또 다시 체류해야 할 목적이 뭔지 물어볼 듯....     

    2
  • A

    무비자제도로 싱가포르 입국시 입국거부 등 유의사항 안내 (출처: 주싱가포르대사관) 관광, 가족.친척.친구방문, 무역거래협상 등 목적으로 싱가포르를 90일 미만 단기방문코저 무비자(무사증)제도로 창이공항, 국경(TUAS, WOODLAND),여객선터미널(TANAH MERAH FERRY TERMINAL 등 8개 터미널)을 통하여 입국시 싱가포르 이민국(ICA)에서는 아래와 같은 사유 등으로 외국인의 입국이 거부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0 이민국(ICA) 입국심사관의 질문(인터뷰)과정에서 외국인 입국자가 명확히 답변을 못하거나 입국목적증거서류, 입국후 단기간내 출국항공권, 싱가포르내 체류하는 숙소정보. 거래처정보 등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에는 불법행위(불법체류, 불법취업, 불법거래 등)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입국이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 입국심사관이 질문(인터뷰)할 경우에는 아래 내용들을 성실하게 답변하시고 제시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 남은 여권 필수 소지 - 관광목적일 경우에는 관광후 즉시 출국하는 항공권, 호텔예약관련서류, 싱가포르 관광계획 등 - 가족,친척,친구방문목적일 경우에는 방문후 즉시 출국하는 90일이내의 항공권, 친척등의 주소와 전화번호, 인적사항(가능할 경우 IC 번호), 방문계획 등 - 사업목적거래처방문일 경우에는 거래처방문목적완료후 즉시 출국하는 항공권, 거래처 주소, 전화번호, 초청장, 방문목적 등 - 인도네시아(이하 인니) 장기체류자격소지자가 인니정부로부터 장기체류자격연장 (갱신)허가를 받은 후에 싱가포르주재 인니대사관에서 비자재발급목적일 경우에는 인니정부 발급 연장(갱신)허가서 등 가능한 모든 관련서류 들을 영문번역공증후 지참하여 제시 0 특히, 무비자로 싱가포르에 입국하여 장기간(대략 60일 이상) 체류후 다른 국가를 단기간 방문후 싱가포르를 재입국할 시에는 입국심사관이 불법적인 체류기간연장 시도로 간주하여 입국이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 - 이러한 입국 거부가 될 경우에는 우리나라로 갈 수 있는 항공권을 소지하였더라 도 국제적관례에 따라 출발한 다른국가로 되돌아 가게 되어 개인적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비자(사증), 무비자제도와 외국 입국관련 필수상식 0 비자 - 비자는 입국허가서가 아니며 신청한 외국인에 대한 재외공관 영사의 입국추천행위로서 유효한 비자를 소지하였더라도 입국시 입국심사관이 입국목적과 체류자격과의 부합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입국허가요건을 갖춘 경우에 한해 입국을 허용합니다. 따라서 비자소지자라도 입국이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 0 무비자 입국제도 - 무비자입국제도는 영사의 입국추천행위인 비자발급 절차를 생략한 제도로 입국시 입국심사관이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입국허가요건을 갖춘 경우에 한해 입국을 허용합니다. 따라서 무비자입국제도라 하더라도 입국이 거부될 수도 있습니다. 0 도착비자 입국제도 - 도착비자입국제도는 외국인의 비자발급 편의를 위해 재외공관을 방문하여 비자를 발급받지 않고 공항, 항만 등에서 입국심사전에 별도의 창구에서 비자(입국추천서)를 발급받으나 입국시 입국심사관이 심사하여 입국허가요건을 갖춘 경우에 한해 입국을 허용합니다. 따라서 도착비자입국제도라 하더라도 입국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1
Q

NO.19

생활휴대폰, 노트북 구매 문의

  • 답글 : 2
  • 댓글 : 4
답변진행중
히딩ㅋ(tkddnr1715) 2016-03-21
추천수 : 0 조회수 : 2,178

안녕하세요,   입싱예정인데 휴대폰하고 노트북을 한국에서 구매해서 가는게 좋을지, 아니면 현지에서 구매하면 좋을지 문의드립니다. 간단한 조언이라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ㅁ노트북 삼성이나, LG로 구매하려고하는데 혹시 고장시 A…

  • A

    둘다 한국에서 구매해서 오세요.   여기 어이 없을정도로 비쌉니다.      

    4
  • A

    휴대폰의 경우 한국 내수시장용 모델의경우(삼성,엘지) DMB기능 때문에 안테나가 추가되어 액정 모듈과 특정 부품의 배치가 달라 부품이 호환이되지않아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쉽게 파손되는 곳이 액정이므로 액정이 파손되면 한국으로 전화기를 보내서 수리하셔야합니다.(고장난 기계가 없으며뉴서비스 접수가되지않습니다. 혹은 중고기계를 한국에서 구매하여 싱가폴로 배송받아 자가수리하시는 방법도있습니다.   아이폰은 해당되지않습니다. 현지에서 데이터플랜을 이용하실계획이라면 현지에서 구매하는것이 좋을것같습니다. 회사에따라서 통신료 얼라언스가 있는 곳도 있으니 클레임을 위해서도 현지 데이터플랜이용하시는게 좋을것같네요^^   노트북 저도 노트북 엘지 그램도 하나 쓰고있습니다만 그동안 고장난적없구요. 아답터가 보통 정격이 240까지 되어있어서 변환 젠더사용하셔도 아답터에 크게 무리가가지는 않습니다. 삼성 노트북 아답터와 호환이 가능하니 염려스러우시다면 현지에서 삼성 아답터를 하나 구매하셔서 사용하셔도 될것같네요. 노트북의 경우 한국이 싱가폴보다 훨씬저렴하고 윈도우에 한글 서비스팩 다운받아서 alt키를 한영 변환으로 사용하시려면 약간 번거로운 문제도 있고하니 한국에서 구매해오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또한 엘지 노트북은 싱가폴애 진출하지 않아 현지에서 a/s센터를 찾기 힘드실것 같습니다.   그럼 입싱준비잘하시고 행운을 빌겠습니다^^      

Q

NO.18

생활콘도 PUB SPservice이용하시면 좀 알려주세요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流河(gobluebird) 2016-01-14
추천수 : 0 조회수 : 1,678

12월 용지에 total charge 아래 이렇게 적혀 있는데 To avoid an estimated bill next month, please submit your meter reading 3 days before 5pm on 17.01.2016 via SP se…

  • A

    경험상... 싱가폴은 2개월마다 계량기를 검침하러 옵니다. 2달마다 정확한 금액이 계산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1달은 대충 계산해보면 전 두달치 평균이 부과됩니다. 예를 들자면 1월은 11월과 12월의 평균값으로 부과되는 거지요 11월에 200달러(9월과 10월 평균정도) 청구했다면 12월에 실제 검침해서 1. 두 달 사용금액이 300달러 나왔다면 12월은 100달러 조금 넘어요(기본요금 때문인듯) 2. 두 달 사용금액이 500달러 나왔다면 12월은 300달러 넘게 나옵니다. 그렇다면 2월에는 검침원이 나와 재고 낸 금액과의 차이를 청구하겠지요    To avoid an estimated bill next month, please submit your meter reading 3 days before 5pm on 17.01.2016 via SP service mobile App or www.spservice.com.sg or WatsApp your meter photo to 84828636 이 말은 1월에 평균 예상금액이 아니라 실제 사용한 금액만큼 내고 싶다면 17일 5시 전까지 미터기 사진을 찍어 보내라는 설명같지요?   저도 보낸 적은 없어요 그냥 예상금액청구서(estimated bill)가 날아 오면 그냥 대충 냅니다 ^^      

    1
  • A

    SPServices의 청구서는 격월간격으로 1달은 추정치 (Estimate) 로 = 전 2개월의 평균값 1달은 검침 (meter reading) 으로 진행이 됩니다. 특별히 많이 사용한 달이 있으면... 추정치에서 높게 나올 수는 있으나 그 다음달은 검침이 실시되기 때문에 다시 낮아집니다. 물론 추정치 부과하는 달에 입주자가 실제 수치를 기록하여 SP Services에 통보할 수는 있지만, 아직까지는 주변에 그런 사람은 못 보았읍니다.      

    1
Q

NO.15

생활20대 싱글 직장인 생활비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완료
ojee(hiojee) 2015-06-18
추천수 : 0 조회수 : 7,485

안녕하세요~ 7월부터 싱가폴에서 근무하게 된 20대 중반 여자입니다. 입싱 준비하느라 정신없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어요. 20대 싱글 직장인 분들 생활비에 대해 궁금해 글 올립니다. 생활비라는게 당연히 개인차가 굉장히 큰걸 알지만 주변분들은 어떠신지 대략적으로라도 …

  • A

    안녕하세요. 우선 입싱을 환영합니다^^ 저도 20대 중반에 와서 3년간 여기서 직장생활한 싱글입니다. 저도 돈좀 모으려고 독한 마음 먹고 아껴써도 최소가 월850불 선이었고. <850불 쓸때는 정말 물건 산거 없이 먹고 마시고 돌아다니는데 쓴 돈입니다> 다달이 거의 1000불씩 썼던거 같아요. 생활비에서 관건은 식비 입니다. 집에서 식사를 안하고 밖에서 나와서 먹게 되면 1200불 우습지 않게 쓸 수있어요. 아무리 간단한 스시나 샌드위치로 저녁을 먹는다고 해도 점심값이랑 포함하면 하루에 거의 25불 정도 쓰게 되있어요. 그런데 저녁을 집에서 요리해서 먹게되면 많이 세이브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요일 퇴근후에 친구들이랑 분위기 내고 맛있는 레스토랑 가서 밥이나 칵테이이라도 먹게되면 50~100불선이 나가게되요. 커피숍은 6불~ 10불 사이입니다. 그래서 저는 한주150불~200불 버짓을 정하고 써요.  80불은 주중 점심값이나 커피값//나머지 120불은 주말 여가생활비.<방콕하거나/커피숍만 잠깐 나가면 세이브 가능한 돈입니다> 그리고 한달 교통비는 100불 정도 충전하고 쓰고요. <통신비는 불포함이에요>          

    2 채택답변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