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169

사업/직장싱가폴 에이전시 없이 인턴 구직 문의드립니다!!ㅠㅠ

  • 답글 : 2
  • 댓글 : 1
답변진행중
베란다(kimhm0923) 2019-03-17
추천수 : 0 조회수 : 5,452

안녕하세요, 영국에서 유학을하다 여름동안 싱가폴에서 인턴을 하고 싶어 관련 정보를 조사중인 대학생입니다. 우선 인턴비자를 발급 받기 위해서는 몇개국마다 지정된 학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학교의 학생들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되어 이는 확인을 한 상태입니다. 알아보다…

  • A

    가능하세요. 입국시 여행온것처럼 하시구요. 저도 혹시 알아봐드릴 미국계 회사가 있어요. 전에 한번은 운 좋게 소개해서 인턴으로 일하셨던분이 잘 하고가셔서 저도 소개한 보람이 있었는데 그다음엔 자리가 없어서 도와드리지 못했어요.      

    1
  • A

    솔직히 싱가폴 취업시 영어실력으로는 변별력이 없어요. 영어는 여기서 사용되는 언어일 뿐입니다.  영어는 여기서 자라나 교육받은 친구들은 모국어나 다름이 없고 싱가폴 외에 전 세계에서 구직자가 몰립니다. 제가 하나의 opening을 열면 호주, 미국, 유럽, 인도, 필리핀 등에서 단 몇 일 만에 수백개의 이력서를 받는 그런 곳이니까요.  대신, 실무능력, 프트폴리오, 영국학교의 ranking, 한국어 실력이 오히려 그 들과의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대학의 순위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좋은 대학일 수록 물론 플러스입니다.    또, 님이 찾고 있는 분야는 중국어를 유창하게 할시 분명 플러스가 있습니다.  어학의 경우 점수나 자격증은 그리 중요하지는 않아요. 중국어 실력도 면접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니까요.   싱가폴 외에서 시도하기 보단 오셔서 구직하시는게 더 확률이 높은건 사실입니다.  꼭 좋은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Q

NO.165

생활비자없이 싱가폴 생활

  • 답글 : 3
  • 댓글 : 5
답변진행중
헿(dory416) 2018-12-14
추천수 : 0 조회수 : 5,938

저는내년 2월말에 결혼해서 입싱할 예정입니다. 남편은 10년넘게 싱가폴에서 살고있고 취업을 한지 1년반 정도됐고 월급은 3200불 정도 됩니다. 남편은 올해 pr 신청을 했는데 얼마전에 pr이 안됐다고 하더라구요. 내년 3월쯤에 남편과 같이 pr신청을 다시…

  • A

    최근 PR발급이 까다로워 여간해서는 PR이 잘 발급되지 않고, 같은 조건하에 다시 PR신청해도 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90일 관광비자를 가지고 한국을 왔다갔다하는것도, 요즘 이민국에서 심사가 까다로워져,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고 입국거부될 확률도 큽니다. 한가지 방법으로는 학생비자 발급가능한 학교를 입학하여, 공부를 하시다가, 졸업후 현지에 취업하셔서 취업비자를 받으시는게 선택가능한 옵션중하나라고는 보여지는데, 다른 여러분들의 조언도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2
  • A

    싱가폴 정부가 하고 있는 외국인 규제 중에 연봉이 미치는 영향이 크기에 남편분이 최소 월급 SGD 6000이 넘기 전까진 합법적인 비자로 배우자/가족을 데려올 수는 없어요.... 관광비자로 오가는 것은 언젠가 입국시 문제가 될 소지가 있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지출이 클꺼예요.  안타깝지만 현재로서는 같이 살기 위해선 남편분이 영주권을 받는 방법 혹은 윗분 말씀처럼 님 스스로 비자를 받으셔야해요 학생비자/취업비자가 방법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기론 PR 은 남편분만 신청가능합니다. 지금 님의 상황으로는 같이 신청이 안되요.  님께서 DP 라도 가지고 계셔야 같이 신청이 가능하고 님께선 남편분이 영주권자가 된다면 그때 영주권자의 배우자 자격을 신청이 가능합니다.    제가 한가지 깜빡한게 있어 수정했습니다. 제 외국인 친구 경험을 말씀드리면 관광비자로 빈번하게 싱가폴을 오갈 시 사립대학 학생비자조차 거절 된 사례가 있습니다. ICA  에서 와이프 입국 기록을 볼때 공부할 목적이 아닌 거주 혹 취업 목적을 위한 임시비자로 간주하고 거절했습니다. 결국 싱가폴을 떠라 네덜란드로 갔습니다. 관광비자는 분명 추후 비자 신청 문제소지가 되니 조심하세요 월급의 많고 적음으로 가족/배우자를 데려 오지 못하는게 한편으로는 치사하기도 슬프기도 하지만 그 최소금액이 아니라면 싱가폴에서 생활이 정말 힘듦니다...왜 최소 금액을 정한지 싱가폴 정부의 의도는 한편으로 이해는 됩니다... 3200으론 두분이서 싱가폴에 사시기 많이 부족하니 가장 최선은 님께서 취업하시는거고 잘되시길 바랄께요 취업준비를 알아보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2
  • A

    10년동안 살았고, 취업한지 1년이상 됬다는건 싱가폴에서 학교를 나왔을 것이고..but PR이 아니라는건 싱가폴에서 병역을 하지 않았다는 예기...  같은 조건의 말레이시안이면 PR이 쉽게 나왔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지금 추세는 쉽지 않습니다.  윗분이 언급한 데로 연봉과 직업도 매우 중요합니다.. 질문하신분이 대졸에  직업 경력자 라면, 한국촌을 통해 올라오는 한국회사에 취업을 하시는게 가장 최선의 방법이지만, 대부분의 한국회사들도 비자 문제 때문에 PR 이나 Citizen 을 선호하죠... 여유가 되시면 Politechnic 에서 공부 하시소 졸업하시면, 취업도 잘되고, 나중에 PR 받는데도 Advantage 가 있습니다. 단, 한국촌 or 여러 Job site를  계속 눈팅하시면서 본인에 맞는 곳에 계속 Apply 를 하시길           

    1
Q

NO.164

부동산Stamp Duty 꼭 내야하나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가자가자고우(ant0007s) 2018-12-11
추천수 : 0 조회수 : 3,826

이번에 방을 새로 구하게 됐는데,   부동산 업자분께서 stamp duty를 내야 한다고 하더군요.   이 비용 꼭 부동산 업자 통해서 내야하나요?   본인이 직접 하면 혹시 더 싼가요? 어떤 방법으로 낼 수 있는지 아시는 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

  • A

    네 계약서류 관련해서 stamp duty는 꼭 내셔야합니다. 부동산을 통해서 내구요, 가격은 법적으로 정해진 가격이라 의심하실 필요는 없어요. 일반적으로 렌트기간의 렌트비의 0.4%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연 렌트비가 1천불이 넘고 4년계약기간 이내일테니까요) 아래 링크 참조하시구요. https://www.iras.gov.sg/irashome/Other-Taxes/Stamp-Duty-for-Property/Working-out-your-Stamp-Duty/Renting-a-Property/ 보내고나면 original certificate of stamp duty를 보내줄겁니다. 거기 레퍼런스 번호들이 있는데요, 계약서가 잘 등록되었는지도 해당 레퍼번호로 조회가능합니다.          

  • A

    stamp duty 를 안낼경우, 1. 세금을 안내신거고... 2. Tenant 가 법적으로 아무 보호도 받지 못합니다. TA가 invalid 로 간주됩니다.  막말로 낼 당장 집주인이 나가라고 혹은 디파짓 없다 해도 어디 하소연도 못하겠죠  아래 사이트에서 직접내셔도 되나 보통 편하게 housing agent 가 처리해주고 돈주는게 편해요 수수료도 안받아요 https://estamping.iras.gov.sg/WebForms/Home.aspx      

  • A

    본인이 직접 할수 있어요. IRAS 웹페이지 에서 직접 하세요.     

Q

NO.163

생활미국에서 입싱준비 질문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runa(runaruna) 2018-11-09
추천수 : 0 조회수 : 3,678

안녕하세요 곧 미국에서 입싱하려고 준비 중입니다. 만 4살 8살 아이들 SAS다닐 예정이고 아이 아빠는 NUS쪽에 회사가 있습니다. 아이들이 어려서 학교 근처에 살아야 할 것 같기도 하고 아이 아빠 통근하는게 너무 멀것 같기도 하고 정말 싱가폴 사정을 하나도 모르겠네…

  • A

    개인적인 생각이므로 참고만 하세요^^... 1. 아이들이 K1,G3로 아직 어리니 경험상 학교 근처 추천드립니다. 7시 전에 스쿨버스 타야 하는 지역도 있어서 힘들어 하더군요. 스쿨버스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ㅎㅎ 층간소음이 걱정되신다면 학교 근처에 주택을 렌트하시면 됩니다. 아빠직장이 너무 멀어 걱정이시면 가능한 스쿨버스 늦게 타는 콘도를 알아보세요. 운전하신다면 직장까지는 30분 이내 가능합니다. 2. 에이전에게 원하는 지역이나 콘도를 얘기하면 리스트 만들어서 뷰잉시켜 줍니다. 3. 시민권자시면 봄학기 진학에 큰 무리 없을 것 같습니다. 4. 가전은 와서 새로 사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5. 이사비용이 지원된다면 가구는 가져오시고, 집 구하실 때 가구 없는 집으로 보여달라고 하시면 됩니다(콘도를 얻으실 경우, 침실에 대부분 붙박이장이 있습니다). 어느 나라나 그렇지만 가구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1
  • A

    입싱 축하드려요, 걱정 많으시겠네요. 저도 5년전에 미국에서 왔는데 예전 생각이 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몇 자 적어요. 1. 아이들이 어리니 스쿨버스를 타더라도 조금은 덜 움직이는 곳으로 추천드려요. 한국인들이 많이 사는 부킷티마 같은 지역에 계시면 아이들이나 남편분 직장 중간에 위치해 있으니 괜찮을 듯 하네요. 부킷티마에서 버스로 NUS로 출퇴근하고 중학생 아들이 SAS 다니는 지인이 있어서 드리는 말씀이네요. 차량 구매를 어떻게 하실 지 모르겠지만 남편 분 차를 소유할 계획이라면 차로 출퇴근하니 거리가 덜 제한적일 수도 있죠. 근데 차량 구매, 회사에서 주는 거 아니면 솔직히 미국 기준으로 동일 차량에 3-4배 주고 구매한다는게 전 금전적보다 정신적으로 감당이 안되더라구요. 2. 아파트 렌트는 솔직히 뭐라고 말씀드리기 힘든게 입싱을 일단 하시고 둘러보셔야 해요. 전 여기 와서 아이 하나랑 부부가 호텔 방에서 한 달을 지내면서 집을 알아봤어요. Propertyguru에서 알아보는게 제일 무난하기는 한데 에이전트랑 연락을 하시면 보통 로컬 휴대폰 번호 물어보고 체류 신분이 뭐냐고 물어보기에 미국에서 일을 처리하시긴에는 조금 힘들거에요. 렌트 이전에 최소한 한 달 정도 계실 곳을 마련하시고 여기서 마음에 드는 아파트 골라보시는게 최선일겁니다. 어차피 지인도 없으시면 혼자 일을 처리하셔야 되니까요. 1-2년 계약을 하지만 체류 신분이 확실하면 1년 계약 하시고 나중에 더 좋은 곳으로 이사를 가세요. 콘도가 무난하고 돈을 조금 절약하시려면 HDB 역시 나쁘지 않아요. 콘도 HDB 둘 다 살아본 경험으로 말씀드리면, 미국 어디 계시는지 모르겠지만 전 뉴욕에서 왔는데 여기 아파트 미국 아파트들보다 훨씬 좋은 환경이니 걱정하지 마시구요. 그리고 층간 소음은 솔직히 저희 아들 둘 막 뛰고 이래도 한국에서 이야기하는 층간 소음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어요. 와서 경험하시고 문제가 혹시 된다면 그 다음에 land property 이사를 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네요. 3. 남편분이 아마 EP로 들어오실거라 짐작하는데 그럼 님과 아이들은 당연히 DP겠죠. 그럼 여기서 SAS 들어가기 전까지 pre-school 이나 enrichment class 보내실 있는데 그게 매일 9-5 이런 기준으로 들어가기엔 시설이나 등록인원에 따라 힘들 수도 있지만 하루에 2-3시간이나 주말 프로그램 등등 기준으로는 미술, 중국어, 영어, 주말 한국어 학교 등등 여러가지가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일단 SAS 등록이 우선이니 그걸 해결하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미국시민권자냐 아님 미국회사에서 일하느냐 등의 기준에 따라 입학순서가 달라지는건 아실거라 생각해요. 물론 6개월 이상 초등학교 아들을 엄마가 잘 보살피기엔 둘째 아들도 있고 힘드실거라 예상을 하니 입싱 시기는 조금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4. 미국에서 쓰던 가전제품 가지고 오지 마세요. 전 네스프레소, 한국 쿠쿠 밥솥 등 가지고 와서 변압기로 쓰려다 안되서 창고에서 먼지만 쌓이고 있어요. 플러그도 다른 건 둘째 치더라도 변압기를 써서 사용해도 안되는게 있으니 그냥 맘 편하게 두고 오세요. 전력 많이 잡아먹는 헤어드라기니 이런건 아예 들고 오지 마시구요. 5. 가구는 천차만별이구요, 정말 필요한 가구 아니면 들고 오는 비용보다는 여기서 구매하시는게 쌀 거에요. 물론 피아노는 모르겠어요. 필요하시면 당연히 가져오셔야죠. 저도 혹시 몰라 가구 몇 개 들고 왔지만 옮기는 비용이 그리 비싼 건 아니었지만  IKEA 가구는 운송도중 파손된 게 몇 개 있어 결국 한 두 해 사용하다 버리고 여기서 또 구입했어요. 여기 콘도 대부분이 unfurnished가 많지만 집 구조에 따라 가지고 오신 가구가 안 맞을 수도 있구요. Furnished 아파트들도 있지만 님의 취향이랑 맞지 않을 수 있고 결국 렌트에 다 반영되는거죠. 콘도 같은 경우 침실마다 붙박이 장이 있으니 큰 옷장은 필요없구 침대, 책상, 식탁, TV station, 소파 뭐...이 정도 예상하시면 되죠. 완전 조립된 가구를 고집하지 않으시다면 IKEA 가시면 되요. 미국 IKEA나 싱가포르 IKEA 비슷한 가격이지만 배송 및 조립 서비스도 미국보다 저렴해요. 6. 컴퓨터나 휴대폰 같은 전압에 상관없이 되는 기기들은 그냥 가져 오셔서 사용하세요. 미국은 레터 용지를 쓰고 싱가포르나 아시아 지역에서는 주로 A4를 사용하니 혹시라도 미국에서 서류를 가져오시면 보관할 케이스나 파일 등은 완벽하게 셋팅을 해 오세요. 예를 들어, 의료기록, 이민서류 등등 개인적인 서류요. 아이들 예방접종 기록은 그대로 가져 오셔서 사용하실 수 있으나 싱가포르에 오래 계실 생각이면 현지 의사 정해서 현지 기록 만드시는게 좋을 거구요. 그리고 미국 은행 계좌 유지하실 거 같으면 시티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추천드려요. 아시아 전역에서 사용하기 가장 편하구요, 싱에도 시티은행이 꽤 많이 있어서  미/싱 양쪽으로 은행 관리하기 더 쉽네요. 물론 현지 은행 DBS, OCBC, UOB 은행 중 한 곳에서 현지계좌를 여실 걸 추천드리구요 - 미국처럼 데빗카드가 사용되는게 아니라 여기 싱 자체 네트워크 통해 NETS 라는 데빗 기능으로 크레딧카드 받지 않는 가게에서 현금처럼 사용하실 수 있는데, 이게 싱 현지 은행들만 제공되는 기능이라 시티은행 크레딧카드에서는 제공이 안 되요. 제 경험으로는 시티은행을 미/싱 주거래 은행 계좌로 하시고 현지 은행 계좌 하나 여신 다음 NETS 기능되는 카드 만드시는게 생활하기엔 편할거에요. 마지막으로 의료보험에 관한 점은 할 이야기가 많지만 여기서 하기엔 그러니 패스할게요.   다른 질문이 혹시 있으면 쪽지 주세요. 답변 해 드릴게요.        

    1
Q

NO.161

생활마라탕을 먹고 싶은데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예도(bungding3) 2018-09-30
추천수 : 0 조회수 : 2,190

안녕하세요 싱가폴에 들어온지 얼마 안된 학생입니다. 한국에서는 마라탕 하면 정해진 음식을 담아서 탕에 넣고 살짝 익혀주는 방법으로 먹었었는데요 그래서 호커센터나 몰에 있는 푸드코트에 가면 야채를 골라서 조리를 해주는 집들이 여럿 있더라구요 근데 항상 탕이 아니라 마라샹…

  • A

    안녕하세요.   혹시 정량을 담은 재료를 수프(탕) 처럼 드시고 싶으신데 몇군대 가보신 곳의 경우 hot pot (샤브샤브 스타일) 밖에 못드셨다는 말씀이신가요?   제 이해가 맞다면 chinatown 역에서 나오자마자 줄서서 사먹는 가게가 있어요. 밑 링크 참고해보세요~ 그럼 맛나게 드세요~:) https://www.google.com.sg/maps/uv?hl=en&pb=!1s0x31da197483996b13:0xd60d1a35e8a93174!2m22!2m2!1i80!2i80!3m1!2i20!16m16!1b1!2m2!1m1!1e1!2m2!1m1!1e3!2m2!1m1!1e5!2m2!1m1!1e4!2m2!1m1!1e6!3m1!7e115!4shttps://lh5.googleusercontent.com/p/AF1QipME-LD_7HgtvLBg4KmeMYpQ84qncpjThXxJSJ23%3Dw150-h200-k-no!5sRi+Ri+Hong+Mala+Xiang+Guo+-+Google+Search&imagekey=!1e10!2sAF1QipME-LD_7HgtvLBg4KmeMYpQ84qncpjThXxJSJ23&sa=X&ved=2ahUKEwjU6_XG9ODdAhXEqI8KHSu4B_4QoiowFnoECAgQCQ https://www.burpple.com/at-peoplespark-complex        

  • A

    메뉴에 보시면 마라탕이 따로 있습니다. 제가 간곳은 재료를 골라서 먹지는 못하고 그냥 알아서 탕으로 주던데요      

Q

NO.160

교육초3이 되는 내년 1.2월에 싱에 들어갑니다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완료
주아사랑(ma1025) 2018-09-07
추천수 : 0 조회수 : 3,027

  너무나 초보이고 아는것이 전무한 상태라서요. 어학원을 통해 알아보는 방법보다는 현명한 한국촌 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서요 말그대로 내년10살되는 여자아이와 세식구가 싱가폴로 이사를 들어가게되요 저두 영어가 완전 초보상태고 아이도 겨우 파닉스 어설프게 떼고 아…

  • A

    쪽지 드릴께요.      

    1
  • A

    영어로 의사 소통이 안되는 한국인 초등학생에게는 싱가포르 한국 국제학교가 정답이 아닐까 싶은데요? 영어 안되는 아이를 영어준비반에 받아 주는 학교는 나중에 학업성취도 면에서 만족하지 못하실 것이고, 유명한 국제학교는 영어가 된다고 해도 입학 시험봐서 성적이 좋아야 받아주고.... 내년 2월 입싱 예정이시면 우선 싱가포르 한국 국제학교에 연락해서 필요사항이 뭔지 확인하고 준비해 보세요.        

    1
  • A

    부모님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영어을 못해도 아직 초등학생이므로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로컬은 어려울 것이고 국제학교를 고려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이가 학년이 높다면 즉 중 3 이상으로 입시를 준비해야 한다면 대학입시가 가능한 교사진을 갖추고 경험이 있는 국제학교를 찾으면 좋겠죠, 하지만 초등학생이라면 부모님의 가치관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 한국초등학생들이 하듯이 수학 선행학습도 하고 한국어도 잊어버리지 않게 매주 독서도 해야 하고 영어는 금방 1 년 이내에 원어민 수준으로 배울 수 있게 아이를 "잡아야" 겠다라고 생각하시는 부모님이시거나 혹은 내아이는 천재에서 이 모든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아니라면...보통의 초등학생 아이에게 너무 많은 것만 요구하실게 아니라면.. 그저 아이가 새로운 환경에서 잘 적응하고 영어도 좀 배우고 학교생활 잘 적응하고 그런 부문에 초점을 두신다면 집근처에 아무 국제학교나 가도 됩니다, 굳이 한국부모들이 선호하는 그리고 입시를 해야하는 고학년 아이들이 가야하는 네임밸류있는 국제학교 고집안해도 됩니다..초등학생 아이를 즐겁고 행복하게 케어해 줄 수 있는, 영어 써포트 프로그램도 있는 그리고 가깝고 학비 비싸지 않은 곳으로 아무데나 고르세요. 매우 많습니다. 유학원도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가깝고 작은 규모의 초등학교에 다니다가 차차 적응하면 고학년 입시가 가능한 학교로의 전학은 나중에 내아이의 상황과 레벨을 보면서 결정하시면 어떨까 싶네요. 굳이 학기 처음부터 가자고 반학기 쉴 필요 없고 내년 2월이면 지금부터 각 학교에 문의해서 자리 있으면 집근처로 가시면 되지 싶어요.            

    1 채택답변
Q

NO.157

생활은행 돈 트랜스퍼 할떄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호호호호홓(pcs0112) 2018-06-23
추천수 : 0 조회수 : 1,810

싱가폴은행ocbc  에서 씨티뱅크로 돈을 입금하려고하는데 돈입금이안되네요,,, 싱가폴현지계좌와 한국계좌 입니다. 방법이없을까요?     

  • A

    OCBC 온라인에서 Transfer Fund로 가능하긴 한데요...  온라인 뱅킹에서 Transfer Fund로 들어가면 to a bank account overseas 라고 있습니다. 각 송금 최대 액수에 따라 수수료와 케이블 사용료 (이건 정말 옛날 전신환 시절에 써먹던 수수료인데 아직까지도 받아 먹고 있죠...) 그 아래 보시면 Add Account라고 나올텐데 설명서에 잘 읽어 보시면 8자리 SWIFT Code를 필요로 한다고 뜨지요. 또는 다른 코드가 필요할 경우도 있으니 해당 은행에 문의해서 잘 받아적어 오시면 되겠구요... 어쩌구 저쩌구... 유럽이나 UAE 은행 중 IBAN 번호를 요구한다는 둥 해당 사항 없는 내역도 주저리 주저리... 구글 검색 약간 해보면 각 은행별 BIC 코드나 SWIFT 코드 등 찾을 수 있는 사이트들도 있으니 검색해 보시면 금방 나옵니다. (물론 대부분 영문) 모를 경우 I don't know the SWIFT Code 선택하셔서 직접 은행 검색하셔도 됩니다. 서울에 있는 시티뱅크의 경우 4개 정도 SWIFT Code를 쓰네요. CITIKRXXXX CITIKRSXKAK (Kakao Bank) CITIKRSXKBA (시티은행 한국 ) CITIKRSXWLS (World Link Operation - 해외망 연결용?)   시티뱅크 한국을 선택하면 주소가 자동으로  JUNG-GU24CHEONGGYECHEON-RO 나타납니당. 그리고 다음 넘어가시면 은행에 기록된 계좌 소유주 영문 이름과 계좌 번호 넣고... 지점 주소 영문으로 되면 넣고 전화 번호까지... 그리고... 2FA나 암호생성기 통해 화면에 생성된 숫자 집어 넣고 다시 한번 눌러서 최종 암호 생성 등 약간 복잡하긴 한데 그렇다고 창구 가서 해야될 만큼 번거롭지는 않습니다. 이후 등록된 해외 계좌로 다시 Transfer Fund 들어가시면 아래 나타나고 금액 넣고 보내시면 됩니당. 대신 창구에서 매니저나 아니면 영업 담당 통해서 송금 수수료를 약간 할인 받을 수는 있을지 모르겠으나 반대로 창구 이용에 따른 수수료 은근히 붙이거나 나중에 추가 수신 수수료 떼어가는 등 감안하면 거기서 거기일 수도... 만약 정말 양심적인(?) 은행 영업 담당이 우수 고객 대상으로 송금 수수료 할인 해주는 극히 드문 케이스 빼고는 온라인과 별반 차이 없이 시간만 더 걸릴 겁니다. 그럼...      

Q

NO.153

생활싱가포르에서 생활비 사용 방법 (체크카드 혹은 신용카드…

  • 답글 : 1
  • 댓글 : 2
답변진행중
고고고씽씽씽(gogossing) 2018-01-15
추천수 : 0 조회수 : 8,123

한국에서는 모든 게 편했던 같은데 막상 싱가포르 생활을 하려니 무슨 카드를 써야 할지 부터 고민되네요   혹시, 생활하실 때 debit 카드 쓰시나요 아니면 신용카드 쓰시나요? 만약 신용카드 쓰시면 발급이 바로바로 되시는지요?   하나더 궁금한 것이 한국으로…

  • A

    어느 나라나 처음 와서 생활을 하다 보면 이것 저것 불편한 게 많기 나름입니다.  제가 나름 답변을 달아 보았습니다.    혹시, 생활하실 때 debit 카드 쓰시나요 아니면 신용카드 쓰시나요? --> 두 개를 섞어 쓰는데, 보통 마일리지 적립이나 Cash back 같은 benefit 때문에 신용카드를 더 많이 씁니다.    만약 신용카드 쓰시면 발급이 바로바로 되시는지요? --> 저는 처음 신용카드 발급 받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 편인데요 (6-7년 전에 1달 이상 걸렸어요) , 이것저것 요구하는 서류들도 많고, 근데, 요즘은 서류만 잘 갖추어서 제출하면 1주일 만에 나오는 곳들도 있다고 들었어요.     하나더 궁금한 것이 한국으로 부터  매달 생활비 모자라는 것(100~200 만원)을 보태야 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공수해야 할까요? 즉, 매달 송금을 하는 것이 좋은지요? 아니면 한국 카드 살려 놓고 한국에서 빠져나가게 하는 것이 맞는지요?   --> 뭐가 맞고 틀리고는 없는데, 저 같으면 그냥 분기에 한 번이나 1년에 두 번 정도 싱가폴로 송금을 해 놓고 여기서 싱가폴 debit card나 credit card로 쓰겠습니다. 그래야, 생활비가 얼마나 드는 지 한꺼번에 계산하기  좋을 것 같아서요.           

    2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