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511

기타처음 싱가폴에 입싱합니다. 도움이 필요해요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john0216(jungkee7) 2017-07-12
추천수 : 0 조회수 : 4,662

안녕하세요 올해 7월 말에 싱가폴에 입싱할 새내기 총각입니다. 제가 싱가폴은 한번도 가보지 않았고, 질문도 많아서 이렇게 문의 드려요~ 1. 현재, WP비자로 호텔에 최종합격이 되었습니다. 지금 호텔로부터 IPA랑 Security Bond를 기다리고 있어요~  …

  • A

    WP 로 비자 진행한다면   IPA 를 받은후에 싱가폴에 입국하셔야 합니다.   ​WP 비자 진행인데 싱가폴에 먼저 입국하시면 Processing이 안됩니다.  (spass & ep 는 괜찮습니다.) ​citi 은행 계좌를 만들어서 오는것이 더 편할거에요. 송금할때도 휠씬 간단하게 사용할수 있으니   싱가폴에 오시기 전에 한국에서 citi 은행에 문의해보세요 첫 해외에서 직장 생활이라면  마음 단단히 먹고 오셔야 합니다. 중간에 포기하고 6개월도 안되어서 돌아가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요. ​good luck to you~!              

  • A

    싱가폴인구중 70% 중국 10% 웨스턴 10% 말레이 10% 기타 입니다 싱가폴은 중국어 영어 공용어기때문에 중국어 못해도 전혀 무관합니다 중국어를 잘하면 좋기야 하겠지만 여기서 사업하실꺼 아니라면 중국어 모르셔도되요 또한 은행계좌 개설은 호텔측 주거래은행 계좌개설이 가능하세요 더군다나 wp홀더는 회사주거래은행이 아닌 다른은행계좌개설시 디파짓이 생겨서 호텔 HR 문의하면 폼하나 써주니 그거가지구 해당은행가서 계좌개설하시면되세요 저희회사는 비자신청할때 은행계좌개설까지 같이 신청해서 저는 줄 안서고 바로 프리패스로 가서 카드만 받고 나왔네요 또한 집구하시는건 한국에서 보시고 하는것보다 직접와서 일주일정도 게스트하우스같은데 머무르시면서 차근차근 알아보세요 집렌탈 사기꾼들이 워낙 많으니 조심하시구요 특히 5년전부터 똑같은수법으로 사기치는 자기는 영국에있는데 오차드에 콘도를 가지고있다 커먼룸/마스터룸 1인실이고 가격이 500불 800불만 받는다 단기거주도 가능하다 라고하는 사기꾼 있는데 제주위사람들도 당할뻔한적 있으니 집이 너무싸다고 무조건 디파짓주지마시구 직접 뷰잉하시구 계약서 잘읽어보시구 집주인이 맞는지 라이센스있는 에이전시가 맞는지 메인테넌트면 그집계약서를 가지고 있는지 꼭 확인하시구 계약하시길..  참고로 싱가폴법규상 일반가정집은 렌트가 되는집과 안되는집이 있구요 단기거주는 숙박업등록한집이 아닌이상 다 불법입니다 괜히 그런집 싸다고 가셨다 걸리시면 힘들게 싱가폴 온거 추방+벌금 내실수있으니 꼼꼼한 체크하시구~ 싱가폴 외노자되신거 축하드립니다 건승하세요~!!          

    1
  • A

    제가 취업한지 얼마 안되서... 싱가포르 초보자 입장에서 사족을 붙이겠습니다. 비자를 받고 일을 시작하는지요? 아니면 일하면서 HR에서 서류 주면 그걸로 Medical Examination이랑 해서 Permit을 일하는 도중에 받는건가요? --> IPA와 Security Bond를 출력해오시면 됩니다. 싱가폴 입국 후, HR이나 에이전시에 따라 메디컬 체크, MOM방문 후 임시 워크퍼밋 서류 받은 후, 나중에 우편으로 WP카드 받으시면 되요. 이 과정이 짧으면 한 주, 길면 한 달 걸리더라고요. 좀 더 디테일한 내용은 유명한 싱가포르 블로그을 살펴보시면 좋아요. 2. 만약에 일을 하면서 비자를 신청하는거라면, 집은 어떻게 구해야 하나요? 호텔을 잡아야 하나요? 듣기론, WP비자가 있어야지 집을 구할 수 있다고 들었어요. 혹시 한인 부동산 중계사분 아시는 분 아시면 추천 부탁드릴게요. --> 일을 할 때, 임시숙소에 머물면 안되는데, 일정 기간은 안걸리면 허용이 되는 것 같아요. 3주 정도 임시 숙소에 머물렀는데 괜찮았습니다. 다만 회사에서 주소 등록해야되니 빨리 이사가라고 재촉 하더군요. 여기서 임시숙소는 호텔이나 호스텔을 말하고요. 궁극적으로 저렴한 편인 HDB나 콘도를 6개월 이상 계약하셔야 되요. 그래야지 MOM에 주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입국 전에 집을 구하시는 분들도 있고 와서 구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일장일단이 있어요. 어쨌든 처음 구하는 방이 불만족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사기 안당하고 깨끗하고 조용한 곳을 구하기 바래요. 3. HSBC은행이 제가 일할 호텔 봐로 옆에 있어서 거기로 계좌를 개설할려고 하는데~ HSBC가 나을가요? 아니면 로컬 은행계좌를 개설하는게 나을가요? --> 로컬 은행계좌를 개설해야 되요. 일단 대안으로 개설비용이 몇 만원 정도 있지만 한국시티 국제체크카드 만들고 오시는 걸 추천해요. 한국 돈을 싱가폴 달러로 ATM기에서 뽑는거는 수수료가 적은편입니다.(초반 1~2달은 한국 돈 뽑아서 쓰셔야 할꺼에요) 그리고 위에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나중에 임시 워크퍼밋 서류나오면 그거들고 싱가폴 로컬 은행에서 체크카드 만들면 됩니다. (여권, 집 계약서 챙기세요). 아 그리고 첫, 두 번째 월급은 보통 수표나 현금으로 많이 받습니다. 급하게 만들 필요는 없어요. 릭렉스 4. 제가 미국에서 유학을 10년정도 했습니다.  영어에는 문제가 없어요~ 근데 듣기론 75%가 중국인이라고 하던데요~ 제가 중국어를 아예 못해서요 ㅠㅠ 혹시 영어로만으로 살 수 있을까요? --> 넵 영어로 일하시는 것 자체는 문제 없을 것 같은데... 케바케인 것 같습니다. 이건 제가 경험한 것은 아니라 필터링해서 들어주세요. 어떤 호텔 블로그쓰신 분은 중국어가 거의 상관 없다고 하고, 제 지인은 호텔에서 일했는데, 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아서 곤혹스러울 때가 많았다고 합니다. 지금은 호텔에서 많이 쓰는 중국어는 배웠다고 하더라고요. 영어를 잘하셔도 싱글리시 발음 때문에 조금 고생하실꺼에요. 마음의 준비를 하시면 좋아요.      

Q

NO.503

기타적금 고민 조언좀 부탁드려요...!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완료
딩딩딩딩(starstart7) 2016-05-17
추천수 : 0 조회수 : 4,994

안녕하세요^^ 싱가폴에서 적금을 들려고 하는데요 여기 올라온 글을 여러개 찾아 봤는데요 궁금점이 있어서 몇 개 좀 여쭤보겠습니다..^^ 은행에 5년이나 10년 단위로 적금을 드는 개념이 가장 이해하기 쉽고 제가 한국에 있을때 적금을 들던 방식이었는데요.. 보험회사…

  • A

    안녕하세요~ 저는 여기서 AIA 적금들었구요. 적금 든지는 한 3년정도 됬네요, 시작 2년뒤부턴 정해진 쿠폰처럼 액수도 뺄수있고 유동성 있는것같아서 괜찮은거같아요. 상품은 다양한것같던데 AIA 강현구 8428 6535 제 컨설턴트 분이니 문의해보세요~      

    1
  • A

    한국도 한때 저축성 보험이라고 해서 10년납입이 많았는데, 초기 1-2년동안은 사업비가 많이 들기때문에 만기를 채우지 못하면 해지했을때 손해를 볼 확률이 높습니다.7-8년이 넘어가면 원금 100%회수는 가능하지만 그 세월동안 이자를 못받는 것입니다. 싱가포르 지금처럼 마켓분위기가 다운되어가고 있을때 실직이라도 하면 생활비 명목으로 찾아써야 하기 때문에 장기 적금을 드실 때는 주의를 요합니다. 또 10년 동안 있을런지도 확실하지 않잖아요. 저도 5년짜리를 알아본적이 있는데 기본이 10년이며, 은행에서 팔지만 10년동안 11.25% 라는 모 상품도 결국은 방카슈랑스며 (해지 손실을 피할 수 없는) 따져보면 연간 1.2% 안됩니다. 어떤 상품은 기본 이율은 낮은데 1년마다 보너스 이율준다고..그럼 결국 해지하면 이자가 없잖아요.. 게다가 향후 금리 상승기인데 현재 적금을 드신다는건 금리면에서 손해를 보실 확률도 크지요. OCBC 360 계좌 (월급여 2000불 이상일때) 6만불 까지  비과세 기본이율이 1.2% 입니다. 추가 공과금납부건수나 카드이용금액이 만족하면 2.2%까지..그걸 만드셔서 적금처럼 활용하셔서 목돈을 만드시면 해지로 인한 손해도 없고 갑자기 한국으로 돌아갈때도 문제 없습니다. 참고로 한단계 더 난위도 있는 적금법을 알려드리면(10년을 목표로 하신다면) DBS에서 싱가포르 bluechip 주식 etf와 국공채 본드를 드셔서 리벨런싱만 쭉 하셔도 적금보다는 훨씬 효과가 클 것입니다. 납입금이 600이상이면 수수료상 OCBC가 싸고 ,직접 HTS를 열어서 etf를 산다면 수수료는 싸겠지만 매달 신경을 써야하고 잘 모르면서 주식에 손을 댈 수 있는 위험이 있기때문에 안전한 atm 투자를 더 권해드립니다. 어떤분께서 보험성 장기적금에 관한 내용을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http://financialfreedom.kr/803        

    1
  • A

    안녕하세요. 지나가다가 이쪽으로 좀 나름 좀 아는게 잇는 지라 답글을 달겠습니다. 한국촌에서 뭐 올렸다가 짤린 기억이 잇어서 이번에도 그럴까 좀 두렵네요.    1. 저축성 보험에 대하여.  싱가포르는 은행에서 주는 예금의 경우 맥시멈 3년입니다. 은행에서 판매하는 3년 이상의 상품은 무조건 장기저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라클님 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처음 2년간은 사업비로 빠지고 원금을 반환할때까지 시간이 걸리는게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 저축은 향후 미래의 특정 시점에 필요한 돈 - 애들 학비나 은퇴자금  - 혹은 정말 손대지 않고 남는 돈을 을 떼놓는 개념으로 접근하시는게 맞습니다.  혹시나 저축성 보험을 계약할실때는 반.드.시 개런티/ 난개런티를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개런티는 보험사가 망하지 않는한 반드시 줘야할 약정 금액이고, 난개런티는 보험사의 라이프 펀드 수익률에 따라서 주면 땡큐한 부분입니다. 많은 세일즈맨들이 난개런티를 개런티처럼 판매해서 욕을 먹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본 것들 중에는 20년을 부어도 원금 보장이 안되는 것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꼭 좀! 제발!  개런티 부분이 원금보다 많은지 확인을 하고 계약을 하셧으면 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보험사들을 보다보면 어떤 회사는 개런티가 많은 부분이 있고, 어떤 회사는 라이프 펀드의 실적과 비용이 다른 회사보다 우월한 보험사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런 회사들을 좀 잘 찾아가셧으면 합니다.  원금이 깨지는 죽어도 싫은 분들에게는 저는 싱가포르에서 저축성 보험을 하는게 굳이 나쁘다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제가 아시는 분은 머리쓰기 싫다고 뽀나스 나올때마다 매년 한개씩 가입을 하셨는데  그게 롤오버가 되면서 10년째부터는 매년 만기가 돌아와서 좋아하셨습니다. 여기는 보험영업을 할 수 잇는 자본 비율을 맞추기위해서 개런티 부분은 무조건 내놔야 하구요, 생명보험의 경우 10만불까지 정부에서 폴리시 홀더 프로텍트 정책이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금융 상품에 대해 비과세이고 CPF가 없는 경우 연 5천불까지 생명보험의 경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잇씁니다.  2. OCBC 360 통장  저도 초반에 이런 통장들 따라서 많이 움직엿는데요,하두 많이 바뀌어서 안합니다. 3% 받으면 일년에 1800불, 그리고 이 3%를 받을려면 한달에 400불정도 크레딧 카드를 써야한다고 알고 잇습니다. 그러면 일년에 약 4,800불정도 지출이 생깁니다. 그리고 오씨비시 다니시는 분들의 카더라~ 통신을 들어보면 원래 이 통장은 금융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낚시 제도인데 별로 수지가 안 맞아서 계속 금융 삼풍을 끼워팔 수 있는 방법을 구상중이거나  금리를 더 짜를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따고 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지출과 저축이 같이 나가는 통장을 갖고 잇으면 돈이 잘 안 모이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5만불 잇으신 분들은 몇년째 그냥 5만불인  경우가 많습니다. 3. 싱가포르  주식 /국공채 ETF  아주 개인적인 뷰인데요, 저는 싱가포를 STI 인덱스를 썩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구성 자체가 Keppel, CDL, WIlmar,GL 같은 싸이클 타는 주식들로 채워져있어서 경기 싸이클에 따라 심하게 움직입니다.  그리고 시장참가자가 적어서 유동성이 떨어지구요.  아시는 분이 10만불 어치 파는데 한달걸렸다고 한적이 있습니다. 주식을 하실려면 저는 차라리,  싱가포르의 블루칩 주식을 직접 사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성장은 없지만 현금이 많아서 3% 정도는 계속 나옵니다. 그런데, 주식은 적립식보다는 시장이 조정을 받을때 들어가시므로 어느정도 시장공부를 하시는게 필요합니다.  국공채 ETF는 저는 해본적은 없구요, 개인적으로는 단기채권 펀드를 하고 있습니다.   저금리를 살아남는 방법은 결국은 큰 실수 안하고, 본인의 리스크 레벨을 알아서. 단기 현금/ 장기 저축과 연금/ 중기 투자 자산으로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늘려가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2 채택답변
Q

NO.499

기타워크퍼밋 취소하고 한국 갔다가 싱가폴로 들어올때

  • 답글 : 3
  • 댓글 : 2
답변진행중
meres(khj6818) 2014-12-22
추천수 : 0 조회수 : 1,693

관광비자로 들어오잖아요 그때 왕복권이 아니어도 괜찮아요? 은행이랑 집 정리해서 가려고 한다 그걸 정리하면 돈이 나온다 그걸로 사겠다고 하면 괜찮겠죠...?     

  • A

    만약 리턴티켓 없는게 적발 되면 그런 말 안통합니다. 싱가폴은 자기들이 세운 규정에 조금이라도 엇나가면 그냥 규정대로 합니다. 그리고 그때 얘기 하겠죠. '너 비자 취소하고 일주일 혹은 한달(비자마다 다름)이라는 체류기간을 줬는데 그때 정리 안 하고 뭐했어?' 이러고 뒤도 안돌아 보고 입국 거부하고 타고 온 항공편 회사에 연락해서 죄인처럼 끌고 가게 만들 겁니다. 절대 개인 입장에서 생각하지 마시고 법 기준으로 생각하시길 당부 드려요~ 리턴티켓 없이 들어오는건 ipa 레터나 기타 장기 체류 비자가 있을때만 가능 할겁니다~ 한번 입국거부 당하면 평생 기록에 남아서 재입국시 아주 불편하실거에요~     

    2
  • A

    제가 생각할 때 리턴 티켓을 지참하셔야 불편함 없을 것입니다.  불편하시더라도 리턴티켓 지참해주세요^^;;       

  • A

    한국행으로의리턴티켓또는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등 다음 여정지로 가는 티켓을 지참하셔야 문제가 생기지않습니다. 제가 그렇게 들어왓엇다가 공항에서 3시간 잡혀있엇거든요 결국 창이공항에서 다음여정지 티켓끊고 들어갓습니다.      

Q

NO.498

기타2015년 싱가포르 경제전망 리포트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알리샤(toyblue) 2014-10-09
추천수 : 0 조회수 : 3,082

안녕하세요? 우선 한국촌을 통해 항상 많은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활동하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2015년 싱가포르 경제전망' 또는 주변국 경제전망 자료가 있으시면 공유를 요청드리고자 글을 올립니다. 한국처럼 은행사이트에서도 찾기가 쉽지 …

  • A

    1) Singapore Business Review (MAS 발표인용 내용) http://sbr.com.sg/economy/in-focus/singapore-economy-grow-37-in-2015-mas 2) 2014년7월 발행된 2014-2015 아시아태평양 경제전망 보고서 http://www.cushmanwakefield.com/~/media/reports/singapore/ASIA%20FORECAST%2006.pdf 3) 2014년7월 발행된 OCBC 은행 보고서 https://www.ocbc.com/assets/pdf/GlobalOutlook2014.pdf 4) Economic Intelligence Unit country.eiu.com/singapore 5) IMF발행 Asia and Pacific Regional Economic Outlook http://www.imf.org/external/pubs/ft/reo/2014/apd/eng/areo0414.pdf      

    1
  • A

    늘 여러분들께 성심껏 답변해주시는 elmio1님께 저두 감사하다 는 말씀드리고 싶네요. 묻고답하기란 볼때마다 어떤 분인지(직업관련이 아니라 한글 그 대로 어떤 분인지...)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1ㅅ입니다. 매번 눈팅만 하고 많은 도움을 받다가 저처럼 댓글 달지는 않아 도 감사의 마음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다는 걸 말씀드리고 싶 어서 글 올려요. 많은 분들께 주신 도움 현재나 다가올 미래에도 전부 되돌려 받 으실거라고 믿어요. 감사합니다.      

    1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