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55

기타Student pass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동한맘(fairyland21c) 2006-07-18
추천수 : 25 조회수 : 1,031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Student pass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하지는 않았지만 싱가폴에서 장기간 머무르기 위해서는 Student pass 및 보호자용이 visa(?)등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이와관련해서 답변부탁드립니다. 또한, 아…

  • A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Student pass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하지는 않았지만 싱가폴에서 장기간 머무르기 위해서는 Student pass 및 보호자용이 visa(?)등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이와관련해서 답변부탁드립니다. >또한, 아이들이 하나가 아니고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할 나이가 아닌경우 4, 6살 어린이들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제가 아는 Student VISA만 대답하죠.  나머진 다른 분이... 학생이 싱가폴내 학교에 등록하면,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그럼 서류를 준비한 후 직접 하시면 됩니다. 직접 한다는 가정하에, 기억을 더듬어가며 설명 드리죠. 우선, 학교에 등록하면(등록금을 내면) 학교에서 기본 서류를 준비해 줍니다. - 신청서류 (form16 and V103), 작성 후 2부 복사함 - 자기 학교 학생임을 증명해주는 서류 (letter of acceptance) 그리고 직접 준비할 서류 - 여권용 사진 2매 - 출생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영문판과 복사본 1매 - travel document --> 입국 때 작성한 입국카드 중 남은 것 (출국용) - 학생 여권 Lavender MRT역에서 나오자마자 이민국이 있습니다. 4층으로 가서, 에스킬레이터 바로앞 대기표 받는 줄에서 기다리다, 차례가 되면 가져간 서류가 잘 준비되었는지 확인 후 번호표를 줍니다. 그리면 번호표에 적혀있는 접수창구 근처에 있다 접수하면 됩니다. (앉아 계시다 전광판에서 번호를 호출하면, 갖고온 서류 몽땅 다 주면 알아서 분류해서 가져갈 건 가져가고 돌려줄 건 돌려주고 합니다.) 접수 후 언제쯤(대략 3일 정도) 다시 오라고 하면, 그날도 똑같이 새 번호표 받고 창구(다른쪽 임)앞에서 기다리다 여권과 그린카드를 받아오면 됩니다. 이때 접수한 날 번호표도 같이 내어야하니 첫날 받은 것 버리면 안됩니다. 신청비 $120 내야하는데, 카드만 됩니다. 현금 안됨. 학교에서 위의 것들을 대행해준다고 하는데, 서류만 잘 준비하면 별 어려움이 없으니 여유가 있으면 직접 하는 것도 괜찮을 겁니다.  한국 관공서와 사뭇 다른 분위기도 느낄 수 있고.. 그리고 기다리는 줄이 꽤 깁니다, 그래서 아침 일찍 가는게 시간도 절약되고 이것저것 물어볼 여유도 생기고해서 좋죠.     

  • A

    >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Student pass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하지는 않았지만 싱가폴에서 장기간 머무르기 위해서는 Student pass 및 보호자용이 visa(?)등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이와관련해서 답변부탁드립니다. >>또한, 아이들이 하나가 아니고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할 나이가 아닌경우 4, 6살 어린이들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제가 아는 Student VISA만 대답하죠.  나머진 다른 분이... >학생이 싱가폴내 학교에 등록하면,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그럼 서류를 준비한 후 직접 하시면 됩니다. > >직접 한다는 가정하에, 기억을 더듬어가며 설명 드리죠. > >우선, 학교에 등록하면(등록금을 내면) 학교에서 기본 서류를 준비해 줍니다. > - 신청서류 (form16 and V103), 작성 후 2부 복사함 > - 자기 학교 학생임을 증명해주는 서류 (letter of acceptance) >그리고 직접 준비할 서류 > - 여권용 사진 2매 > - 출생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영문판과 복사본 1매 > - travel document --> 입국 때 작성한 입국카드 중 남은 것 (출국용) > - 학생 여권 > >Lavender MRT역에서 나오자마자 이민국이 있습니다. >4층으로 가서, 에스킬레이터 바로앞 대기표 받는 줄에서 기다리다, 차례가 되면 >가져간 서류가 잘 준비되었는지 확인 후 번호표를 줍니다. >그리면 번호표에 적혀있는 접수창구 근처에 있다 접수하면 됩니다. >(앉아 계시다 전광판에서 번호를 호출하면, 갖고온 서류 몽땅 다 주면 알아서 분류해서 >가져갈 건 가져가고 돌려줄 건 돌려주고 합니다.) > >접수 후 언제쯤(대략 3일 정도) 다시 오라고 하면, 그날도 똑같이 새 번호표 받고 >창구(다른쪽 임)앞에서 기다리다 여권과 그린카드를 받아오면 됩니다. >이때 접수한 날 번호표도 같이 내어야하니 첫날 받은 것 버리면 안됩니다. >신청비 $120 내야하는데, 카드만 됩니다. 현금 안됨. > >학교에서 위의 것들을 대행해준다고 하는데, 서류만 잘 준비하면 별 어려움이 없으니 >여유가 있으면 직접 하는 것도 괜찮을 겁니다.  한국 관공서와 사뭇 다른 분위기도 >느낄 수 있고.. >그리고 기다리는 줄이 꽤 깁니다, 그래서 아침 일찍 가는게 시간도 절약되고 이것저것 >물어볼 여유도 생기고해서 좋죠. 아이나이가 학교갈 나이가 아닌 경우는 체류나 집 랜트할 수 있는 비자 어떤 방법이 있을 까요...엄마가 어학원 등을 신청하는 경우 아이도 데려 갈수 있나여?     

  • A

    It shouldnt be problem 먼저 엄마 학생비자 신청해서 받은후에 아이 long-term social visit pass신청하면 됩니다 어럽지 않으시니 직접 이민국에 가셔서 서류 확인하고 필요한 폼 작성한 후 신청하십시요 또한 아이를 로컬 유치원에 보낼경우에도 학생비자 신청가능합니다. 그후에 엄마는  long-term social visit pass(6개월마다 갱신) 받으시면 됩니다 > >>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Student pass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하지는 않았지만 싱가폴에서 장기간 머무르기 위해서는 Student pass 및 보호자용이 visa(?)등이 있어야 할 것 같은데요 이와관련해서 답변부탁드립니다. >>>또한, 아이들이 하나가 아니고 아직 primary 등에 입학할 나이가 아닌경우 4, 6살 어린이들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제가 아는 Student VISA만 대답하죠.  나머진 다른 분이... >>학생이 싱가폴내 학교에 등록하면,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그럼 서류를 준비한 후 직접 하시면 됩니다. >> >>직접 한다는 가정하에, 기억을 더듬어가며 설명 드리죠. >> >>우선, 학교에 등록하면(등록금을 내면) 학교에서 기본 서류를 준비해 줍니다. >> - 신청서류 (form16 and V103), 작성 후 2부 복사함 >> - 자기 학교 학생임을 증명해주는 서류 (letter of acceptance) >>그리고 직접 준비할 서류 >> - 여권용 사진 2매 >> - 출생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영문판과 복사본 1매 >> - travel document --> 입국 때 작성한 입국카드 중 남은 것 (출국용) >> - 학생 여권 >> >>Lavender MRT역에서 나오자마자 이민국이 있습니다. >>4층으로 가서, 에스킬레이터 바로앞 대기표 받는 줄에서 기다리다, 차례가 되면 >>가져간 서류가 잘 준비되었는지 확인 후 번호표를 줍니다. >>그리면 번호표에 적혀있는 접수창구 근처에 있다 접수하면 됩니다. >>(앉아 계시다 전광판에서 번호를 호출하면, 갖고온 서류 몽땅 다 주면 알아서 분류해서 >>가져갈 건 가져가고 돌려줄 건 돌려주고 합니다.) >> >>접수 후 언제쯤(대략 3일 정도) 다시 오라고 하면, 그날도 똑같이 새 번호표 받고 >>창구(다른쪽 임)앞에서 기다리다 여권과 그린카드를 받아오면 됩니다. >>이때 접수한 날 번호표도 같이 내어야하니 첫날 받은 것 버리면 안됩니다. >>신청비 $120 내야하는데, 카드만 됩니다. 현금 안됨. >> >>학교에서 위의 것들을 대행해준다고 하는데, 서류만 잘 준비하면 별 어려움이 없으니 >>여유가 있으면 직접 하는 것도 괜찮을 겁니다.  한국 관공서와 사뭇 다른 분위기도 >>느낄 수 있고.. >>그리고 기다리는 줄이 꽤 깁니다, 그래서 아침 일찍 가는게 시간도 절약되고 이것저것 >>물어볼 여유도 생기고해서 좋죠. > 아이나이가 학교갈 나이가 아닌 경우는 체류나 집 랜트할 수 있는 비자 어떤 방법이 있을 까요...엄마가 어학원 등을 신청하는 경우 아이도 데려 갈수 있나여? > > >     

Q

NO.54

기타Lg computer...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lalala(monella) 2006-07-14
추천수 : 5 조회수 : 1,147

I think I have a software problem with my LG computer running on a Korean operating system.  I contacted LG A/S in Singapore, but they dont provide se…

  • A

    I believe LG A/S center has no idea how they handle your computer if you  have Korean language problem. And they are not willing to support too difficult problems  unless your computer is under worldwide warrnty period. I belive you can get some help from the guy whose ID is "Computer A/S engineer" (컴퓨터A/S기사). He answered a lot difficult questions and problems from Koreans. Sorry, I dont have his phone number, so Contact him through his emial addresss k77is@hanmail.net. Good Luck! >I think I have a software problem with my LG computer running on a Korean operating system.  I contacted LG A/S in Singapore, but they dont provide service for PCs.  I can bring my PC to Sim Lim, but they wont be able to read and diagnose the error message.  My question is - is there a service center person to call to solve such a problem?       

  • A

    Thanks for your reply and advice. >I believe LG A/S center has no idea how they handle your computer if you  have Korean language problem. And they are not willing to support too difficult problems  unless your computer is under worldwide warrnty period. >I belive you can get some help from the guy whose ID is "Computer A/S engineer" (컴퓨터A/S기사). He answered a lot difficult questions and problems from Koreans. Sorry, I dont have his phone number, so Contact him through his emial addresss k77is@hanmail.net. >Good Luck! > >>I think I have a software problem with my LG computer running on a Korean operating system.  I contacted LG A/S in Singapore, but they dont provide service for PCs.  I can bring my PC to Sim Lim, but they wont be able to read and diagnose the error message.  My question is - is there a service center person to call to solve such a problem?   >     

  • A

    You can contact us. We serviced computer for Koreans and their company in Singapore for two and a half year. We have very good reputation. And we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for Koreans and Locals. H.P. 97825214 Jay Kim (7days a week) H.P. 91517544 Alvin (7days a week) Office 67387371 (weekdays) >I think I have a software problem with my LG computer running on a Korean operating system.  I contacted LG A/S in Singapore, but they dont provide service for PCs.  I can bring my PC to Sim Lim, but they wont be able to read and diagnose the error message.  My question is - is there a service center person to call to solve such a problem?       

Q

NO.49

기타컴퓨터 고수님들... 인터넷이 갑자기 느려졌어요..ㅠㅠ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마미(pretty69) 2006-05-09
추천수 : 19 조회수 : 1,065

스타허브 맥스온라인 6500(??)인가 그거 쓰고 있구요...(스타허브 인터넷중 중간 속도..) 라우터로 무선인터넷 쓰고 있습니다.. 제가 컴맹이라서 설명이 부족하네요 ㅠㅠ 지금까지 5개월 넘게 인터넷 잘 써 왔는데요... 한국보다 느리다는 느낌 없었구요.. 근데.. …

  • A

    케이블 모뎀방식의 단점입니다. 사용자의 수와 데이터 양에 따라서 속도에 큰 변화가 오죠. 사용자가 많은 시간과 적은 시간의 차이는 현저합니다. 특히 한국에서 동영상등을 다운 받는다면 특히 심각하죠. 갑자기 느려졌다면, 간단히 생각컨데 동일 아파트 단지내에 사용자가 급격히 늘었거나, 비슷한 시간대에 동영상 다운등의 작업을 많이 하는 사람이 생겼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안타깝게도 대책은 없구요. >스타허브 맥스온라인 6500(??)인가 그거 쓰고 있구요...(스타허브 인터넷중 중간 속도..) >라우터로 무선인터넷 쓰고 있습니다.. 제가 컴맹이라서 설명이 부족하네요 ㅠㅠ >지금까지 5개월 넘게 인터넷 잘 써 왔는데요... 한국보다 느리다는 느낌 없었구요.. >근데.. 한 1주일전부터 인터넷이 갑자기 속도가 느려졌고.. 중간에 자주 끊어집니다.. >인터넷을 처음부터 재시도를 하면 한 몇분동안은 되다가 안되고...를 반복합니다.. >어떤때는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되는듯 하다가 또 안되고... >제가 컴퓨터엔 문외한이라 설명이 좀 어렵네요 ㅠㅠ >인터넷 한번 할려다 명짦은 사람은 숨넘어 가겠네요.. >하도 답답해서... >갑자기 이렇게 된 이유가 뭘까요?? >좀 알려주시면 갑사하겠습니다. >저에겐 인터넷이 정말 중요한데... 요즘 아주 돌겠습니다..ㅠㅠ >     

  • A

    가끔 있는 일이지만 라우터나 케이블모뎀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님의 증상을 보니 라우터가 좀 의심되네요.  (제 라우터도 오래되어서 그런지 무선이 영 ... ) 일단 라우터와 케이블모뎀을 껐다가 다시 켜서 인터넷 신호를 다시 잡아오고 노트북의 무선랜카드도 한번 의심해볼 수는 있습니다. 컴퓨터에 문제가 생겨서 그럴 경우도 배제하지는 못하니까요. 제 경험상 아무리 사용자가 많더라도 접속이 아예 안될정도로 싱가폴에 스타헙 사용자가 많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모뎀과 라우터, 컴퓨터 순으로 확인해나가는 것이 중요할 듯 싶네요.     

Q

NO.48

기타노트북이 무선 네트워크를 못 잡습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싱나라(emumbyzee) 2006-05-07
추천수 : 21 조회수 : 1,428

이사오면서 한국에서 쓰던 노트북을 두 대 가져왔습니다. 아무 문제없이 무선 인터넷을 쓰던 것들입니다. 여기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쓰고 있었습니다. 무선인터넷은 옆집의 AP를 잡아내더군요. 오늘 아침 유무선 공유기(여기서 산 것; Linksys 제품)을 달고 한 대는 …

  • A

    일단 공유기 옆에 있는 노트북을 보시고 혹시라도 노트북에 무선랜카드를 on, off 하는 버튼이 있다면 반드시 on 에 위치하게끔 하시구요, 그 다음에 유선을 뽑은 다음 노트북을 재부팅해보세요. 제대로 잘 작동하던 제품이라면 드라이버의 이상이 아닌 이상 정상적으로 무선네트웍을 인식하고 접속할겁니다. 무선랜카드가 사용가능으로 되어있는지도 확인하시는 것도 잊지마시구요. 온라인으로 답변해드리는 것은 여기까지가 한계인듯 ~  수고하세요.     

  • A

    혹시 무선 network의 tcp/ip setting에 이전의 ip address가 들어가 있지 않나요? 이전에 쓰면서 ip및 dns가 들어가 있으면 안될것 같습니다. 두대가 있으니까 두대를 완전히 같게 하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이사오면서 한국에서 쓰던 노트북을 두 대 가져왔습니다. 아무 문제없이 무선 인터넷을 쓰던 것들입니다. > >여기서도 아무런 문제없이 쓰고 있었습니다. 무선인터넷은 옆집의 AP를 잡아내더군요. 오늘 아침 유무선 공유기(여기서 산 것; Linksys 제품)을 달고 한 대는 유선으로 한 대는 무선으로 연결했습니다. 일단 두 대 모두 인터넷이 됩니다. 그런데 현재 유선으로 연결해 놓은 놈이 무선 네트워크를 못 잡습니다. 공유기 바로 옆에 있기 때문에 신호가 미약한 것은 아닙니다. 제어판에서 보면 내장 무선 랜 카드(Intel prowireless 2200BG)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연결 정보에서 SSID는 linksys로 되어 있고, 인증은 개방모드, 암호화는 WEP로 되어 있습니다. 키는 자동으로 공급됨에 체크되어 있습니다. 무선으로 연결된 놈보다 최신 것인데 왜 무선 네트워크를 못 잡을까요? 네트워크 목록 새로 고침을 해도 여전히 범위안에서 무선 네트워크가 검색되지 않는다고 나오고, 네트워크에서 이 연결 복구를 아무리 실행해도 안됩니다. 방법이 없을까요?     

Q

NO.47

기타치과소개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진행중
koreporean(koreporean) 2006-05-05
추천수 : 3 조회수 : 1,373

치과문의하시는거 몇번 본적이 있어서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 저도 한번 한국에서 구멍떼운게 빠져서 여기서 치료를 받았는데요. 래플스그룹(가장 큰 병원중 하나입니다. raffles medical center 보신적 있으실거예요)에서 운영하는 브랜치중에 하나…

  • A

    >치과문의하시는거 몇번 본적이 있어서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 > >저도 한번 한국에서 구멍떼운게 빠져서 여기서 치료를 받았는데요. > >래플스그룹(가장 큰 병원중 하나입니다. raffles medical center 보신적 있으실거예요)에서 운영하는 브랜치중에 하나입니다. 다행히도 한국의 박사선생님이 한분 계십니다. 한국인이라고 하면 그분 진료로 예약잡아줄겁니다. >치과 정말 싫어하는데 선생님이 굉장히 조심스럽게 대해주시고, 왜 아픈지 어떻게 해야하는지 상세하게 다 설명해주시고 얼만큼 아플건지까지 미리미리 얘기를 해주시는등 정말 좋더군요 > > >주소 >Main Practice >20 Raffles Place, #21-07/08, Ocean Towers, Singapore >tel: 6535 6113 >Mon-fri: 09:00- 5:00 >Sat 9:00- 1:00 > >Tampines Branch >Blk 503, Tampines Central 1. #01-305-307, Singapore (Tampines MRT 바로 옆입니다) >tel: 6788 2262 >Mon-fri: 9:00-1:00/ 2:00-7:00 >sat 9:00-1:00/ 2:00-4:00 > >박소영 박사님. Dr. Lisa Park > >참, 이 선생님이 두곳에서 다 왔다갔다 하시는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는 오션타워에 있는 치과에서 치료받았거든요. 오션타워를 가려는데...정확히 어떻게 가야하는 지요...     

Q

NO.46

기타PR받으면 한국 주민등록증이 말소된다? 이게 왠말~~~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wanna be(jhy119) 2006-04-22
추천수 : 20 조회수 : 1,544

싱가포르에 산지도 꽤 오래되어가고 또 살날도 오래될것 같아 PR을 신청하려고 하는데요. 아는분들이 PR을 신청하면 한국 주민등록이 말소된다고 하더라구요. 주민등록이 말소된다는 것도 좀 그렇지만 이미 한국에 제 이름으로된 집과 땅 조금 있는데 그럼 어떻게 되는건지....…

  • A

    전 캐나다영주권이 있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외국영주권을 갖는다고 바로 주민등록이 말소되는 건 아니던데요.   제가 알기론 외국영주권을 가진 대한민국 국민은 영주권 취득시 대사관에 신고하고 일반여권이 아닌 거주여권을 교부받도록 되어있습니다. 신고를 하지 않는다고 법적으로 걸릴 건 없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일단 신고를 하고 거주여권을 갖게 되면 주민 등록이 1년 이내에 말소가 됩니다.   제 경우는 영주권을 받은지는 거의 4년 전이고, 영주권취득신고는 6개월 뒤에 한국에서 하고 거주여권을 발급받았고 그로부터 10개월인지 11개월 뒤에 주민등록이 말소가 되었더군요. 혹시 그 동안 이민법이 바뀌지 않았다면 영주권을 받는다고 주민등록이 말소되지는 않을겁니다. 참 그리고 호적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주민등록이 말소된다는 것도 좀 그렇지만 이미 한국에 제 이름으로된 집과 땅 조금 있는데 그럼 어떻게 되는건지.... > >PR신청하고도 주민등록 그냥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PR신청해서 받게되면 자동적으로 주민등록증이 말소되는건지 아니면 자진신고해야 (대사관이나 동사무소) 말소 되는건지 궁금하네요. > >우리 PR소지하고 계시는 분들, 그럼 지금 주민등록 없는건가요? > >여러분 경험담 듣고 싶습니다     

  • A

    저희도 들어올때 PR 신청에 대해 생각하고 그랬을때에 대해 달라지는것을 좀 알아봤는데요. 주민등록 말소가 되는건 맞구요, 부동산이나 은행예금등의 동산에 대해서는 아무문제없이 권리 행사할 수 있답니다.  걱정하시지 않아도 되구요, 영주권이 일단 한 번 신청하면 죽을때까지 유지되는것이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중간에 한국으로 다시 2,3년 나가시고 싶으시면 해외에 거주하는데 대해 싱가폴정부에 약간의 수수료도 내야하구요~^^  싱가폴 국익에 보탬이되는 활동이 안보인다고 생각될시 싱가폴측에서 영주권 기간연장신청시 거부를 할 수도 있구요. 아랫분 말씀대로 영주권 취득시 대사관에 신고를 안하면 영주권자라는걸 대한민국에서는 알 도리가 없겠지요? - ^^ -     

  • A

    만두부인님, 좋은하루님 감사합니다. 저두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결정할께요.... >싱가포르에 산지도 꽤 오래되어가고 또 살날도 오래될것 같아 PR을 신청하려고 하는데요. >아는분들이 PR을 신청하면 한국 주민등록이 말소된다고 하더라구요. >주민등록이 말소된다는 것도 좀 그렇지만 이미 한국에 제 이름으로된 집과 땅 조금 있는데 그럼 어떻게 되는건지.... > >PR신청하고도 주민등록 그냥 가지고 있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PR신청해서 받게되면 자동적으로 주민등록증이 말소되는건지 아니면 자진신고해야 (대사관이나 동사무소) 말소 되는건지 궁금하네요. > >우리 PR소지하고 계시는 분들, 그럼 지금 주민등록 없는건가요? > >여러분 경험담 듣고 싶습니다     

Q

NO.44

기타[질문] 질문이 많습니다. 여권, 전압, 휴대폰 등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줄넘기(emyamiguard) 2006-04-03
추천수 : 10 조회수 : 1,479

안녕하세요... 한국촌에 가입하고 처음으로 글을 쓰게 됩니다. 저는 이곳 싱가포르에 온지 이제 4주째입니다. 그리고 가족은 온지 2주째가 되어 갑니다. 이곳 한국촌에서 이 게시판의 글을 많이 읽었지만... 그래도 좀 부족한 것 같아서 질문을 던집니다. 아시는 분 좀 …

  • A

    안녕하세요..님의 여권에 관련된 사항은 아는 바가 없어 답변 드리지 못해 죄송하구요.. 전압문제는 오래 사용할 경우 전압이 안맞아서 한국서 가져온 제품들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들 하시더라구요..저같은 경우는 압력밥솥이랑 청소기는 한국서 가져온거 변압기 없이 쓰고있는데 아직까진 큰 문제가 없네요..가끔씩만 꽂아 쓰는거라 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참고로 7개월째 접어들었습니다.. ^^ ..그래도 김치냉장고처럼 항시 꽂아서 써야 하는 것들은 변압기 이용하시는게 좋으실듯.... 전화기는 제가 싱텔 이용자라서 싱텔 기준으로 말씀드릴께요.. 싱텔 대리점에 가시면 top-up card폰이라는 것을 따로 팔아요..일종의 pre-paid phone이라고 보심 될듯..작년에 저도 입싱해서 EP받기 전까지 99불짜리 사서 썼었는데요 비싼게 백불이 좀 넘고 싼건 육십 몇불짜리도 있었던걸로 기억됩니다만..이 전화는 계약제가 아니라 그냥 전화기 산 담에 15불, 25불, 40불 머 이렇게 필요할때마다 일정액수의 통화카드 사서 충전해 쓰시면 되구요(충전방법은 통화카드 사시면 카드에 적혀있는대로 하시면 됩니다..) 통화카드는 싱텔 대리점이나 우체국에서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단, 전화기 사실때 여권 가지고 가시는거 잊지 마시구요....특히 이 폰은 테러방지차원에서 미리 구입한 사람들도 작년 11월부터 심카드(여긴 모바일 전화기 안에 카드를 꽂게 돼있거덩요..) 다시 다 등록해야지 아님 올 5월 지나면 deactivate된다고 하더라구요..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 > >안녕하세요... >한국촌에 가입하고 처음으로 글을 쓰게 됩니다. > >저는 이곳 싱가포르에 온지 이제 4주째입니다. 그리고 가족은 온지 2주째가 되어 갑니다. >이곳 한국촌에서 이 게시판의 글을 많이 읽었지만... 그래도 좀 부족한 것 같아서 질문을 던집니다. 아시는 분 좀 알려 주세요... > >1. 여권 > >저야 발령나고 나서 당장 이틀후 출국을 하는 바람에 정신없이 오게되었습니다만.... >막상 와이프가 도착하고 나서... 거주비자를 신청하려고 보니...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여기서 1년 근무할 예정이라서 EP를 취득했습니다만... 와이프/아들이 거주 비자를 신청하려고 보니... 와이프 여권의 만기가 2006년 10월이었습니다. > >그래서 거주 비자 신청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우선 와이프 여권의 기간을 연장하던지 ... 아니면 신규로 발급을 받아야 될 것 같은데..... > >우선 여기 싱가포르에서 여권의 사용기간 연장이 가능 할런지요?... 만약 가능하다면.. 우선 여권 사용기간 연장 후, 거주 비자를 신청하는게 맞는 절차입니까?... > >만약 여권의 연장이 불가능할 경우... 여기 싱가포르에서 새로 여권을 만들수 있느지요?...새로 여권을 만드는 경우, 이 새로운 여권을 가지고... 1년짜리 거주 여권을 만드는데 문제는 없는지요? > >만약 위의 두가지가 불가능 할 경우... 한국에서 제3자가 와이프의 여권을 만들어서.. 여기 싱가포르로 보내서... 한국에서 만든 여권을 가지고 여기서 1년 거주 비자를 만들수 있는지요?... 또 이렇게 한국에서 제 3자가 여권을 만들게 되는 경우... 현재 가지고 있는 여권을 한국으로 보내주어야 하는지요? > >아들 여권은 현재 문제가 없습니다. > >2. 전압 > >여기 검색을 해 보니... Transformer를 사면 된다고 하던데... >읽다 보니까.. 한 200v로 낮추어서 사용하라고 하던데...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하느지요?... 한국에서 220v로 사용하다가..여기 230v은 고장날 우려가 있으니까 반드시 transformer를 사야 한다고 아래 글을 읽다 보니까 나오던데... 왜 전압을 조금 낮춰서 사용해야 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 >3. 휴대폰 > >혹시 여기서 1년짜리 휴대폰 또는 prepaid 휴대폰을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요?... 휴대폰 대리점에 붙어있는 브로슈를 보니까 전부 2년짜 계약이 많이 보인던데... 혹시 1년짜리 휴대폰(9개월 정도 사용예정)을 싸게 살 수 있는 곳이나... 아니면 일정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는 prepaid 폰 같은 곳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아니면 어떤 대리점에 가면 된다... 이렇게 알려 주셔도 되구요..... > >우선 궁금한것을 이 정도로만 올려 드립니다. >제가 좀더 살게되어 싱가포르에 대해서 좀더 많이 알게 된다면... 저도 다른 사람 질문에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 A

    > >안녕하세요... >한국촌에 가입하고 처음으로 글을 쓰게 됩니다. > >저는 이곳 싱가포르에 온지 이제 4주째입니다. 그리고 가족은 온지 2주째가 되어 갑니다. >이곳 한국촌에서 이 게시판의 글을 많이 읽었지만... 그래도 좀 부족한 것 같아서 질문을 던집니다. 아시는 분 좀 알려 주세요... > >1. 여권 > >저야 발령나고 나서 당장 이틀후 출국을 하는 바람에 정신없이 오게되었습니다만.... >막상 와이프가 도착하고 나서... 거주비자를 신청하려고 보니...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여기서 1년 근무할 예정이라서 EP를 취득했습니다만... 와이프/아들이 거주 비자를 신청하려고 보니... 와이프 여권의 만기가 2006년 10월이었습니다. > >그래서 거주 비자 신청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우선 와이프 여권의 기간을 연장하던지 ... 아니면 신규로 발급을 받아야 될 것 같은데..... > >우선 여기 싱가포르에서 여권의 사용기간 연장이 가능 할런지요?... 만약 가능하다면.. 우선 여권 사용기간 연장 후, 거주 비자를 신청하는게 맞는 절차입니까?... > >만약 여권의 연장이 불가능할 경우... 여기 싱가포르에서 새로 여권을 만들수 있느지요?...새로 여권을 만드는 경우, 이 새로운 여권을 가지고... 1년짜리 거주 여권을 만드는데 문제는 없는지요? > >만약 위의 두가지가 불가능 할 경우... 한국에서 제3자가 와이프의 여권을 만들어서.. 여기 싱가포르로 보내서... 한국에서 만든 여권을 가지고 여기서 1년 거주 비자를 만들수 있는지요?... 또 이렇게 한국에서 제 3자가 여권을 만들게 되는 경우... 현재 가지고 있는 여권을 한국으로 보내주어야 하는지요? > >아들 여권은 현재 문제가 없습니다. > >2. 전압 > >여기 검색을 해 보니... Transformer를 사면 된다고 하던데... >읽다 보니까.. 한 200v로 낮추어서 사용하라고 하던데...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하느지요?... 한국에서 220v로 사용하다가..여기 230v은 고장날 우려가 있으니까 반드시 transformer를 사야 한다고 아래 글을 읽다 보니까 나오던데... 왜 전압을 조금 낮춰서 사용해야 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 >3. 휴대폰 > >혹시 여기서 1년짜리 휴대폰 또는 prepaid 휴대폰을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요?... 휴대폰 대리점에 붙어있는 브로슈를 보니까 전부 2년짜 계약이 많이 보인던데... 혹시 1년짜리 휴대폰(9개월 정도 사용예정)을 싸게 살 수 있는 곳이나... 아니면 일정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는 prepaid 폰 같은 곳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아니면 어떤 대리점에 가면 된다... 이렇게 알려 주셔도 되구요..... > >우선 궁금한것을 이 정도로만 올려 드립니다. >제가 좀더 살게되어 싱가포르에 대해서 좀더 많이 알게 된다면... 저도 다른 사람 질문에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 A

    1. 여권은 대사관 가셔서 연장하시면 됩니다. EP 가지고 계시니 거주비자 내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겁니다... 2. 한국에서 쓰던 물건들이 갑자기 터져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는것 같습니다...그런경우가 있구여...항상 그런건 아니지만요... 3. 휴대폰은 보통 2년 계약입니다...대신 심카드 넣어서 사용할수 있는 폰이 있으시다면 2년계약 하실필요없이 텔레콤 대리점 가셔서 심카드만 사세요...그럼 2년계약 필요없이 아무때나 취소 하실수 있으실 겁니다. EP 있으시니까 신청하는데는 문제 없을거구요.. 2년 계약은 폰이 없어서 대리점에서 공짜폰을 얻거나 싸게 폰을 사서 개통하실때 입니다. Prepaid 는 대리점 가셔서 Prepaid Sim Card 사시면 되구여....등록도 간단하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대리점에서 Prepaid 폰이랑 심카드 사시는거는 계약 기간이 없습니다. 싱텔은 괜찮은데 가격이 좀 비쌉니다....M1 이나 Starhub 가 괜찮을듯 싶네요.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싱가폴에서 즐거운 시간 보내시구요....혹시 더 궁금하신점 있으면 또 글 올리세요.. 저 말고도 싱가폴에 대해서 정말 잘 알고있는분들 많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한국촌에 가입하고 처음으로 글을 쓰게 됩니다. > >저는 이곳 싱가포르에 온지 이제 4주째입니다. 그리고 가족은 온지 2주째가 되어 갑니다. >이곳 한국촌에서 이 게시판의 글을 많이 읽었지만... 그래도 좀 부족한 것 같아서 질문을 던집니다. 아시는 분 좀 알려 주세요... > >1. 여권 > >저야 발령나고 나서 당장 이틀후 출국을 하는 바람에 정신없이 오게되었습니다만.... >막상 와이프가 도착하고 나서... 거주비자를 신청하려고 보니...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여기서 1년 근무할 예정이라서 EP를 취득했습니다만... 와이프/아들이 거주 비자를 신청하려고 보니... 와이프 여권의 만기가 2006년 10월이었습니다. > >그래서 거주 비자 신청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 우선 와이프 여권의 기간을 연장하던지 ... 아니면 신규로 발급을 받아야 될 것 같은데..... > >우선 여기 싱가포르에서 여권의 사용기간 연장이 가능 할런지요?... 만약 가능하다면.. 우선 여권 사용기간 연장 후, 거주 비자를 신청하는게 맞는 절차입니까?... > >만약 여권의 연장이 불가능할 경우... 여기 싱가포르에서 새로 여권을 만들수 있느지요?...새로 여권을 만드는 경우, 이 새로운 여권을 가지고... 1년짜리 거주 여권을 만드는데 문제는 없는지요? > >만약 위의 두가지가 불가능 할 경우... 한국에서 제3자가 와이프의 여권을 만들어서.. 여기 싱가포르로 보내서... 한국에서 만든 여권을 가지고 여기서 1년 거주 비자를 만들수 있는지요?... 또 이렇게 한국에서 제 3자가 여권을 만들게 되는 경우... 현재 가지고 있는 여권을 한국으로 보내주어야 하는지요? > >아들 여권은 현재 문제가 없습니다. > >2. 전압 > >여기 검색을 해 보니... Transformer를 사면 된다고 하던데... >읽다 보니까.. 한 200v로 낮추어서 사용하라고 하던데...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하느지요?... 한국에서 220v로 사용하다가..여기 230v은 고장날 우려가 있으니까 반드시 transformer를 사야 한다고 아래 글을 읽다 보니까 나오던데... 왜 전압을 조금 낮춰서 사용해야 하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 >3. 휴대폰 > >혹시 여기서 1년짜리 휴대폰 또는 prepaid 휴대폰을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지요?... 휴대폰 대리점에 붙어있는 브로슈를 보니까 전부 2년짜 계약이 많이 보인던데... 혹시 1년짜리 휴대폰(9개월 정도 사용예정)을 싸게 살 수 있는 곳이나... 아니면 일정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사용할 수 있는 prepaid 폰 같은 곳이 있으면 알려 주세요... 아니면 어떤 대리점에 가면 된다... 이렇게 알려 주셔도 되구요..... > >우선 궁금한것을 이 정도로만 올려 드립니다. >제가 좀더 살게되어 싱가포르에 대해서 좀더 많이 알게 된다면... 저도 다른 사람 질문에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Q

NO.41

기타공유기 사용 및 피씨 부팅안되는 현상(제발 도와주세요)

  • 답글 : 5
  • 댓글 : 0
답변진행중
조니(john7) 2006-03-11
추천수 : 46 조회수 : 1,300

인터넷 설치가 너무 힘드네요 . 질문 1 홈스테이집에서 싱넷ADSL 10MBPS사용하는 데요 약정계약기간 1년 남았구요 제방의 노트북에 공유기로 연결해 쓰려고 합니다. 무스타파센터에서 랜카드 및 프로링크(PROLINK)9000 wiress G ADSL(공유…

  • A

    질문 1,3  답변 - 약정 1년이 남았다면 패널티도 비쌀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단은 그냥 쓰 시는 것이 더 경제적임. 그리고 라우터는 원래 시디가 필요없습니다. 무선랜카드만 설 치 시디가 필요하구요 ~ 공유기는 자체 설정만 맞춰주시면 됩니다. 싱넷도 공유가 됩니다. (모든 인터넷 회선은 공유가 가능), 정 공유가 안된다면 가장 손 쉽게 공유가 가능한 스타허브 인터넷도 있는데 굳이 패널티 줘가며 바꿔야 할까요?? 하지만 설정의 간편함과 PC에 미치는 영향 등을 생각하면 저는 스타허브가 더 낫더군요. 질문2 답변 - 부팅이 안된다면 어떻게 사용하다가 안되었는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혹시나 충격을 주지는 않았는지 ~ 아님 내부를 만졌는지 ~   부품들의 접속불량으로 인 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동안 뒀다가 켜면 정상으로 돌아올수도 있습니다. (메모리나 VGA 접촉 불량 ) 아님 파워의 이상 등 ...  파워케이블 등을 뺐다가 다시 잘 끼워보세요. 아님 부팅될 때 어떤 신호음이 나는지도 들어보시구요. 삐 소리가 길게 한 번 나면 메모리, 짧게 여러번 나면 VGA  불량이거나 접촉이 제대로 안된겁니다. 제 답변은 이렇네요.  만약에 더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연락주세요.  8180-0542     

  • A

    그런데 문제는 싱넷의 ADSL 라우터가 USB포트만 지원한다는 겁니다. USB포트로만 연결되고 USB로 라인을 받아들이는 공유기가 시중에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ADSL에서 나온 USB라인을 공유기가 받아들여서 일반 랜케이블로 각 컴터에 연결되게 하는, 그런 공유기가 있을까요?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또한가지는, ADSL에 연결할때, 컴터에서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전화걸기" 즉 ADSL접속시도를 해야하는 라우터입니다. 일반 ADSL라우터는 그냥 켜기만 하면 자동으로 접속이 돼서 "전화걸기"를 따로 시도하지 않아도 되는거였는데, 좀 이상하더군요. > 질문 1,3  답변 - 약정 1년이 남았다면 패널티도 비쌀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단은 그냥 쓰 > > 시는 것이 더 경제적임. 그리고 라우터는 원래 시디가 필요없습니다. 무선랜카드만 설 > > 치 시디가 필요하구요 ~ 공유기는 자체 설정만 맞춰주시면 됩니다. > > 싱넷도 공유가 됩니다. (모든 인터넷 회선은 공유가 가능), 정 공유가 안된다면 가장 손 > > 쉽게 공유가 가능한 스타허브 인터넷도 있는데 굳이 패널티 줘가며 바꿔야 할까요?? > > 하지만 설정의 간편함과 PC에 미치는 영향 등을 생각하면 저는 스타허브가 더 낫더군요. > > > 질문2 답변 - 부팅이 안된다면 어떻게 사용하다가 안되었는지 한번 생각해보세요. > > 혹시나 충격을 주지는 않았는지 ~ 아님 내부를 만졌는지 ~   부품들의 접속불량으로 인 > > 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동안 뒀다가 켜면 정상으로 돌아올수도 있습니다. > > (메모리나 VGA 접촉 불량 ) 아님 파워의 이상 등 ...  파워케이블 등을 뺐다가 다시 잘 > > 끼워보세요. 아님 부팅될 때 어떤 신호음이 나는지도 들어보시구요. 삐 소리가 길게 한 > > 번 나면 메모리, 짧게 여러번 나면 VGA  불량이거나 접촉이 제대로 안된겁니다. > > > 제 답변은 이렇네요.  만약에 더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연락주세요.  8180-0542 >     

  • A

    저도 처음에 그 문제떄문에 무지하게 고민을 했었지요.  usb 모뎀인데 어떻게 해야하나? 그런데 의외로 간단했던 것이 ~  모뎀과 라우터가 결합된 형태가 기기가 있더군요. 신림에 가셔서 보시면 dsl+Router 라고 되어있는 기기를 팝니다.  Aztech 제품이 가장 많이 보이더군요.  보통 모뎀+ 1 port 라우터 or 모뎀+ 4port 라우터 입니다. 이 모델을 사다가 연결하시고 라우터 설정에서  ID 와 password를 입력시켜주면 그 다음부터는 자동으로 됩니다.       

Q

NO.40

기타핸드폰에 관하여...질문!!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pro-jjang(protte) 2006-03-04
추천수 : 8 조회수 : 1,150

심카드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이 있어서 가지고 왔더니.... 전화받을때도 돈이 나가더라구요. ㅠ.ㅠ 싱가폴의 모든 심카드가 다 그런가요? 그건 너무 비합리적인 거 같아요!!!! 핸드폰 파는 곳에서 번호만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뭘 그래도 좀 알고 가야지…

  • A

    싱가폴은 단기적으로 사용해야하는 편리함을 주기위해 그런 폰이 있는겁니다. 싱텔에서 단기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할 경우는 이익이 적으므로 착신도 부과를 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하시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시지 않으실 겁니다. 6개월이상 체류가능한 비자(PASS)를 가지고 계시면 받을때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전화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비자가 없으시면 주변에 비자를 가지신분의 명의로 사실 수 는 있으나 사용하시다 잃어버리는 등 문제가 생기면 그분에게 폐를 끼치는 거가 됩니다. 비자소지자도 6개월이상 체류기간이 남아 있어야됩니다. 끝. > >심카드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이 있어서 가지고 왔더니.... > 전화받을때도 돈이 나가더라구요. ㅠ.ㅠ >싱가폴의 모든 심카드가 다 그런가요? >그건 너무 비합리적인 거 같아요!!!! >핸드폰 파는 곳에서 번호만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뭘 그래도 좀 알고 가야지 설명하기가 쉬울 거 같아서요. >line만 받을 수 있냐고 물어보면 되는 건지....... >도와주세요!!!!! >     

  • A

    6개월 이상의 비자 소유시...핸드폰을 따로 구입해야하나요? 번호만 받아 올 수는 없는 거죠? 있는 핸드폰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심카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거군요? 왜...우리나라에는 프리 페이드 폰이라고 해서 한달씩 미리가서 돈을 내면 그 금액에 맞게 한달동안 사용 할 수 있잖아요. 받는 것도 물론 무료구요. 여기는 그런건 없는 건가요? >싱가폴은 단기적으로 사용해야하는 편리함을 주기위해 >그런 폰이 있는겁니다. >싱텔에서 단기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할 경우는 이익이 >적으므로 착신도 부과를 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하시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시지 않으실 겁니다. > >6개월이상 체류가능한 비자(PASS)를 가지고 계시면 >받을때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전화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비자가 없으시면 주변에 비자를 가지신분의 명의로 사실 수 는 >있으나 사용하시다 잃어버리는 등 문제가 생기면 그분에게 폐를 >끼치는 거가 됩니다. >비자소지자도 6개월이상 체류기간이 남아 있어야됩니다. >끝. > > >> >>심카드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이 있어서 가지고 왔더니.... >> 전화받을때도 돈이 나가더라구요. ㅠ.ㅠ >>싱가폴의 모든 심카드가 다 그런가요? >>그건 너무 비합리적인 거 같아요!!!! >>핸드폰 파는 곳에서 번호만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뭘 그래도 좀 알고 가야지 설명하기가 쉬울 거 같아서요. >>line만 받을 수 있냐고 물어보면 되는 건지....... >>도와주세요!!!!! >> >     

  • A

    비자 소지시 매장에 가서 핸드폰,심카드를 함께 사실수있고, 핸드폰이 있으면 심카드만 사실 수 있습니다. 심카드가 번호를 받는 겁니다. 즉, 번호만은 안되고 심카드까지는 사야합니다. >6개월 이상의 비자 소유시...핸드폰을 따로 구입해야하나요? >번호만 받아 올 수는 없는 거죠? >있는 핸드폰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심카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거군요? >왜...우리나라에는 프리 페이드 폰이라고 해서 한달씩 미리가서 돈을 내면 그 금액에 맞게 한달동안 사용 할 수 있잖아요. 받는 것도 물론 무료구요. >여기는 그런건 없는 건가요? > > > >>싱가폴은 단기적으로 사용해야하는 편리함을 주기위해 >>그런 폰이 있는겁니다. >>싱텔에서 단기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할 경우는 이익이 >>적으므로 착신도 부과를 하는 것으로 쉽게 이해하시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시지 않으실 겁니다. >> >>6개월이상 체류가능한 비자(PASS)를 가지고 계시면 >>받을때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 전화를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비자가 없으시면 주변에 비자를 가지신분의 명의로 사실 수 는 >>있으나 사용하시다 잃어버리는 등 문제가 생기면 그분에게 폐를 >>끼치는 거가 됩니다. >>비자소지자도 6개월이상 체류기간이 남아 있어야됩니다. >>끝. >> >> >>> >>>심카드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는 핸드폰이 있어서 가지고 왔더니.... >>> 전화받을때도 돈이 나가더라구요. ㅠ.ㅠ >>>싱가폴의 모든 심카드가 다 그런가요? >>>그건 너무 비합리적인 거 같아요!!!! >>>핸드폰 파는 곳에서 번호만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뭘 그래도 좀 알고 가야지 설명하기가 쉬울 거 같아서요. >>>line만 받을 수 있냐고 물어보면 되는 건지....... >>>도와주세요!!!!! >>> >> >     

Q

NO.39

기타외장하드 포맷시키는것좀 도와주세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Casa(bvlgari85) 2006-02-22
추천수 : 49 조회수 : 1,263

40기가짜리 삼성 노트북용 외장하드를 사서 지금 포맷시키고있는데요 이컴터가 한글은 적히는데 다 영어로 인식되서 새로운걸 인식하면 영어로 인식되요 첨에 파티션 나누기 누르니깐 primary partition하고 extended partition이 나오는데 이…

  • A

    처음 사셔서 포맷하시는 것이라고 하셨죠? 두개 다 선택하지 마시고 하세요. quick format은 file 및 directory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만 초기화 한다는 얘기고 file compression은 OS가 알아서 file을 압축하여 저장하겠다는 것인데 특별히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중간에 있던 Volume Label은 나중에 본인이 원하는 Label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40기가짜리 삼성 노트북용 외장하드를 사서 > >지금 포맷시키고있는데요 > >이컴터가 한글은 적히는데 다 영어로 인식되서 > >새로운걸 인식하면 영어로 인식되요 > >첨에 파티션 나누기 누르니깐 > >primary partition하고 extended partition이 나오는데 > >이건 primary partition이 맞는거같고 다음누르면 > >Maxium disk space in megabytes : 38201 >Minimum disk space in MB : 8 >Partition size in MB : 여기는 제가 용량 조절할수있는거같은데 드라이브 하나만 할려면 >                               38201해야하는거겠죠? > >다음누르면 Assign the following drive letter : f 부터 z까지있는데 드라이브 정하는거같 > >그냥 F로 했습니다. > >다음은 Format this partition with the following settings: >File system : NTFS(이걸로 설정했습니다) >Allocation unit size : Default(이걸로 설정했습니다) >Volume label : New volume(꼽으면 뉴 볼륨이라 뜨는거죠?) > >그리고 이 밑에 Perform a quick format하고 Enable file and folder compression이 > >있는데 이거 체크해야 하나요? 이거 두개 체크하는거땜에 지금 하드를 포맷 > >못시키고있습니다 ; 컴터 잘 몰라서 ;;; > >다른건 다 알겠는데 이 두개 체크하는거 안해도되는건가요? > >아시는분 설명좀 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다른건 뭐 고칠거없겠죠? ^^     

  • A

    ㅇㅇ     

Q

NO.37

기타컴퓨터의 지존님들께 질문이요..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차칸사람들(singasinga) 2006-02-02
추천수 : 36 조회수 : 1,049

  컴퓨터를 새로 구입한 후, 기존에 깔려있던 영문 xp home edition을 한글 xp professional로 전환하려다가 중간에 스톱시켰습니다.  그랬더니 매번 컴퓨터를 켤 때마다 os를 아래의 세가지 중에 하나로 선택하라고 나오네요.  default는 pro…

  • A

    바탕화면의 My Computer(내컴퓨터)를 선택후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menu 중 properties(등록정보)를 선택하면 창이 하나 뜹니다. 이 창에서 Advanced (고급) tab을 선택하면 Startup and Recovery 항목에 settings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걸 누르면 System startup 항목에 default operating system 이라는 값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xp home edition을 선택하고 OK. rebooting하세요. 또는 일단 부팅하신 후 command prompt 창(도스창)을 하나 여세요. (실행(RUN)에서 cmd 라는 명령으로 여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c: 로 디렉토리를 옮겨갑니다 (cd c:) notepad로 boot.ini 파일을 엽니다. (notepad boot.ini) 이파일을 보면 [boot loader] timeout=30 default=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NT [operating systems] 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NT="Microsoft Windows 2000 Server" /fastdetect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위 내용은 제 PC에 있는 것이니 좀 다르죠. default 값이 아마도 profesional setup으로 되어 있을 겁니다. 이것을 [operating systems] 밑에 있는 3줄 중에서 xp home edition으로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해서 바꿔주세요. 그리고 [operating system] 밑에 있는 줄 중에서 xp home edition을 제외한 나머지 줄을 지운 후 저장. 혹시 파일이 read only로 되어 있으면 파일 등록정보에서 바뀌야겠죠. 종료 후 다시 부팅하면 이제 선택하는 항목은 묻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이건 좀 어렵고 잘못 건드리면 부팅이 안될 수 있으니까 위의 방법으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  컴퓨터를 새로 구입한 후, 기존에 깔려있던 영문 xp home edition을 한글 xp professional로 전환하려다가 중간에 스톱시켰습니다.  그랬더니 매번 컴퓨터를 켤 때마다 os를 아래의 세가지 중에 하나로 선택하라고 나오네요.  default는 professional setup으로 되어있어서 자동으로 다시 부팅이 되기를 반복합니다.  물론 제가 windows xp home edition으로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구요. > >1. windows xp home edition >2. recovery console >3. windows xp professional setup > >그냥 xp home edition으로 계속 사용하고 싶은데요, 위의 선택사항이 안 나오게 하는 방법을 아시는지요..  컴퓨터의 지존각하님들의 고견을 구합니다. > >(귀쏭말) 한글 xp는 다운받은거라 정식버전은 아닙니다.     

  • A

    헛..   완벽하네요..  엄청난 내공 감사드립니다.. 새 해 복 많이 받으세요..  ^^ >바탕화면의 My Computer(내컴퓨터)를 선택후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menu 중 properties(등록정보)를 선택하면 창이 하나 뜹니다. 이 창에서 Advanced (고급) tab을 선택하면 Startup and Recovery 항목에 settings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걸 누르면 System startup 항목에 default operating system 이라는 값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xp home edition을 선택하고 OK. rebooting하세요. > >또는 일단 부팅하신 후 command prompt 창(도스창)을 하나 여세요. (실행(RUN)에서 cmd 라는 명령으로 여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c: 로 디렉토리를 옮겨갑니다 (cd c:) >notepad로 boot.ini 파일을 엽니다. (notepad boot.ini) >이파일을 보면 >[boot loader] >timeout=30 >default=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NT >[operating systems] >multi(0)disk(0)rdisk(0)partition(1)WINNT="Microsoft Windows 2000 Server" /fastdetect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위 내용은 제 PC에 있는 것이니 좀 다르죠. >default 값이 아마도 profesional setup으로 되어 있을 겁니다. 이것을 [operating systems] 밑에 있는 3줄 중에서 xp home edition으로 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해서 바꿔주세요. 그리고 [operating system] 밑에 있는 줄 중에서 xp home edition을 제외한 나머지 줄을 지운 후 저장. 혹시 파일이 read only로 되어 있으면 파일 등록정보에서 바뀌야겠죠. 종료 후 다시 부팅하면 이제 선택하는 항목은 묻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이건 좀 어렵고 잘못 건드리면 부팅이 안될 수 있으니까 위의 방법으로 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 >>  컴퓨터를 새로 구입한 후, 기존에 깔려있던 영문 xp home edition을 한글 xp professional로 전환하려다가 중간에 스톱시켰습니다.  그랬더니 매번 컴퓨터를 켤 때마다 os를 아래의 세가지 중에 하나로 선택하라고 나오네요.  default는 professional setup으로 되어있어서 자동으로 다시 부팅이 되기를 반복합니다.  물론 제가 windows xp home edition으로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부팅이 되구요. >> >>1. windows xp home edition >>2. recovery console >>3. windows xp professional setup >> >>그냥 xp home edition으로 계속 사용하고 싶은데요, 위의 선택사항이 안 나오게 하는 방법을 아시는지요..  컴퓨터의 지존각하님들의 고견을 구합니다. >> >>(귀쏭말) 한글 xp는 다운받은거라 정식버전은 아닙니다. >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