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299

사업/직장EP 질문이요 ㅠ ㅠ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완료
콩콩이v(semi712) 2016-05-26
추천수 : 0 조회수 : 3,170

잡 에이전시에서 회사 연결시켜주기 전에 거의 mom 들어가서 Self assessment 이거 해서 결과를 알려달라고 했는데요.. 여기 들어가서 제 한국 경력이랑 학교랑 다 입력하면 SP only가 나옵니다 잡에이전시에서 연결해주는 회사는 다 EP holder (s…

  • A

    나이 때문일것 같은데요?? 나이에 따라서 최소 월급이 다릅니다.     

  • A

    EP비자는 현재 발급니 어렵습니다. 4500불이상 되어야 비자 발급이 될 것 같습니다. 직장 직무가 경력과 최종학력전공이 같으면 4500불이하도 가능해 보이지만요...      

  • A

    self assessment tool  결과 S-pass only 로 나온다면 이후 비자를 신청하더라도 EP로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셔야합니다. (비자 신청시 self assessment tool의 사용여부를 확인합니다.)   보통 self tool 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항목은 1. 월급 2. 경력(나이) 3. 출신대학, 졸업년도 4. 국적   정도로 알려져있습니다.   윗분께서 말씀하셨지만, 사실은 최종학력전공과 직무와의 연계성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freshmen(갓 졸업자) 가 아닌 경력 1.5년, 한국내의 지방국립대, 3800에 EP가 나왔습니다. (남자 나이 29세, 관련전공 아님) 이에 따라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1. EP를 획득할수 있는 4500불정도의 직업을 찾으시거나 2. Spass quota를 보유하고 이를 사용하는데 꺼리는게 없는 회사를 찾아보시는게 현실성이 있을거라 생각되네요. 단, Spass는 Levy, 회사 quota 를 사용해야 하는바, 2000~3000선의 저가로 임금을 책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채택답변
Q

NO.296

사업/직장MNC개념이요.. 베이스가 싱가폴인데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진행중
쟈니라(dbwls530) 2016-05-24
추천수 : 0 조회수 : 2,235

안녕하세요,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려요. 여기에 이미 많은 로컬회사, 한국회사, MNC 회사에 다니시는 분들이 많은 줄 압니다.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요. MNC라고 불리는 회사가 multi national company 라고 쉽게 말하면, 어떤 국가에서 시작…

  • A

    MNC가 한국말로하면 외국계 기업 아닌가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회사면 한국에서 삼성이 외국계기업이 아닌것 같이 싱가포르에선 MNC가 아닌걸로 알고 있는데요. singtel 이나 UOB가 외국에 있다고 싱가폴에서 MNC로 불리진 않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냥 현지회사 대기업인 것이지요. 한국 현지기업이 대기업이냐 중소기업이냐로 나누어지는것이지요. 한국 중소기업도 외국에 회사를 두고있는 기업들이 있는것처럼요.        

    2
  • A

    건설 제조 쪽에서 일하면서 느낀건데 이나라에서 대부분의 제조업은 MNC라고 하고 다닙니다. 사무실은 싱기폴에 공장은 말레이나 인도네시아에 있으니까요. 타국에 브런치를 운영하고 법인세를 내고 있으니 MNC는 맞는것 같습니다ㅎ 또한 유럽의 브랜드의 총판권을 소유하고서 마치 MNC인것 처럼 얘기를 하는데 실상은 그냥 로컬 기업이구요. 일반적으로 전세계어디서나 다아는 브랜드를 가진 회사라면 MNC라고 불러 줄수있지않을까 싶네요.     

    2
  • A

    저는 캐나다에서 학사를 하고 프랑스에서 석사를 한다음 싱가폴에 와서 직장을 잡은 케이스인데요,   취직은 그냥 MNC경력보다는 학교빨 + 경력빨 + 타이밍 입니다.   싱가폴에서는 대기업 중소기업 그렇게 따지지 않아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