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4667

기타페키니즈 입양 가능하신분 계실까요?

  • 답글 : 2
  • 댓글 : 2
답변진행중
아웅다웅(irene3507) 2019-11-18
추천수 : 1 조회수 : 3,482

한국에서 반려동물(페키니즈 강아지와 터키쉬 앙고라 고양이)을 약 10년전 쯤 데리고 왔습니다. 이젠 하던 일도 모두 정리하고 집도 정리하고 한국으로 귀국하려고 반려동물의 비행기 티켓을 알아보던 중 갑자기 알게된 단두종 (흔히 코가 짧은)의 탑승이 불허 하다는 내용을 알…

  • A

    강아지를 데리고 비행기에 타려면? 주요 항공사별 반려동물 동반 규정을 알아보자 글쓴이 전지인 - 2018년 9월 24일 주인 어디가? 나도 데려가! 날씨도 좋고 연휴도 다가오니 반려동물 동반 여행을 계획하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멀리 가면 비행기 탑승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반려동물과 비행기에 함께 탑승하려면 준비해야하는 절차가 많다. 우선 국가별로 허용 규정이 달라 목적지의 국가 관계기관을 통해 필요한 서류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운반이 허용 되는 케이지의 크기부터 반려동물의 몸무게, 운송 용기 조건 등등 항공사마다 규정이 다르니 여행 전에 미리 규정을 알아봐야 한다. 나는 어디로 가는건가… 기내 동반 반려동물 허용이 되는 경우에는 동반할 수 있지만 화물칸에 탑승해야 한다면 화물칸 탑승 비용이 따로 추가 된다. 운송이 가능한 반려동물 수도 미리 알아봐야 한다. 국내 4개 항공사와 일부 해외 항공사의 규정을 알아보았다. 대한항공 대한항공은 18년 7월 4일부로 기내 동반 반려동물 허용 무게가 케이지 포함 7kg로 늘어났다. 무게가 7kg를 초과할 경우 수화물로 위탁해야한다. 기내 운반 용기의 삼변의 길이 합은 115cm 이하여야 한다. 대한항공에는 반려동물을 스카이패스 가족회원으로 등록해서 항공 마일리지를 주는 SKYPETS 제도가 있다. 개, 고양이,새가 등록 대상이며 최대 5마리까지 등록이 가능하다.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할 때마다 운송용기 단위 기준으로 적립된다. 국내선은 1개 국제선은 2개의 스탬프를 적립해준다. 스탬프를 모으면 최대 국제선 한 구간 무료 운송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적립된 스탬프는 탑승일로부터 3년 간 유효기간이 있다. 아시아나 항공 아시아나 항공은 개, 고양이, 새를 운반할 수 있다. 탑승객 1인당 기내 반입 1마리, 위탁 수화물은 2마리까지 운송할 수 있다. 대한항공과 마찬가지로 기내 동반 반려동물 허용 무게는 운반 용기 포함 7kg 이다. 기내 탑승 시에는 기내 운반 용기의 삼변의 길이 합이 115cm 이하여야 하고 높이가 최대 21cm 이내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수화물로 위탁 하는 경우 운반 용기 포함 무게가 45kg 이하, 3면의 길이 합이 285cm, 높이 84cm이하여야 한다. 저가항공 (티웨이,제주항공) 저가항공은 7kg 이상의 반려동물은 탑승이 불가능하고 국제선은 탑승이 불가능 할 수 있다. 티웨이 항공은 개, 고양이, 새만 운반할 수 있다. 국내선만 가능하며 탑승객 1인당 한 마리를 운송할 수 있고 비행기 한 편당 운송 가능한 반려동물 수가 총 3마리(기내 3마리)로 제한된다. 다른 항공사와 마찬가지로 운송 용기 무게 포함 7kg 이내의 동물만 운송 가능하다. 제주항공의 경우 17년 9월 8일 부로 기내 반입 반려동물은 케이지 무게 포함 7kg 이하로 늘어났지만 위탁수하물 운송 정책은 폐지 되었다. 해외국적기(ANA, 차이나, 싱가포르항공) 일본 ANA 항공은 반려동물 동반 여행의 경우 인터넷으로 예약을 할 수 없으며 전화로만 예약을 받고 있다. 개, 고양이, 작은새, 토끼나 햄스터 등의 소동물까지 위탁이 가능하다. 비행기 1대당 케이지를 최대 3개까지만 접수하여 사전에 조율이 필요하다. 중국 차이나항공은 개, 고양이를 동반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은 무료 수하물 허용량에 포함되지 않으며 반려동물 운송비용은 초과 수화물 요금의 3배다. 항공편 예약 전에 차이나항공으로 사전 문의해야 한다. 싱가포르항공은 기내에 함께 운송할 수 있는 반려동물을 케이지를 포함해 32kg 까지로 정하고 있으며, 그 이상인 경우 화물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원하는 항공편이 출발 하기 최소 2주 전에 싱가포르항공 사무소에 연락해서 예약을 해야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이용할 항공사에 문의하기를 바란다. 반려동물과 여행 시에는 광견병 접종 증서, 항체 검사표, 마이크로칩 인식표, 건강확인서 등이 필요하다. 만약 광견병 주사를 맞지 않았고 마이크로칩 인식표가 없다면 여행을 떠나기 2달 전부터 넉넉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할 계획이 있다면 미리 미리 잘 준비하자!     

    1
  • A

    입양하고 싶어요. 전화가 연결이 안되네요. 연락주세요 9430-9009     

    1
Q

NO.4662

기타아들이 있는데 PR 신청해야 할까요?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진행중
malishi(malshi1028) 2019-07-28
추천수 : 0 조회수 : 8,057

요즘은 외국인 학생들이 싱가폴 공립학교 다니면서, PSLE나 O레벨, A레벨시험을 보면 PR이 나올수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저희 가족은 싱가폴에 10년 거주했으며 처음 5-6년간 아들의 군대문제때문에 PR신청을 하지 않다가 이후 PR신청을 아들 포함 전가족이 했지만…

  • A

    양쪽 나라에서 병역의무가 있다보니 많은 부모들이 고민하고 고민하는 문제라 너무 공감되네요... 다른 분들의 의견도 들어보세요.   군대는 어떤 선택을 하든 한국 혹 싱가폴에서 가야하는 상황이니 전적으로 아이의 미래가 한국에 있을지 아니면 한국 외에 있을지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한국에서 대학을 진학하고 군대를 마치고 졸업까지 한다면 아무래도 아이는 한국에 정착할 가능성이 높죠. 다시 나오기 쉽지 않은게 현실이니까요... 회사의 주재원/relocation 으로 대졸 신입이 올리 없고 한국 대학교 졸업생이 바로 해외 취업을 한다는건 현실적으로 비자+경력적인 측면에서 확률이 매우 매우 낮습니다. 차라리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그리고 도전하는 경우가 오히려 더 성공 확률이 높으니까요...   하지만 사람 일이라는게 일을 하다보면 그 시기에 결혼을 할 수도...더 나은 기회가 한국에 있을 수도....한국에 거주하면 거주할 수록 많은 변수들이 생겨나고 정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죠.  한국으로 대학/군대를 계획한다면 차라리 PR 신청 안합니다. PR을 소지하고 있다 NS service 를 하지 않고 포기하면 오히려 나중에 싱가폴로 여행/취업/학업시 불이익을 받으니까요. 제 지인 아들은 초등학교때 PR 을 포기하고 한국에 돌아가서 살다가 대학생이되어 가족여행으로 싱가폴에 왔다 아이가 입국거부된 사례도 있습니다. 정작 아이는 자기 본인이 PR 이었는지 기억도 못하는데 말이죠...안하는게 나아요. 나중에 싱가폴에서 좋은 오퍼가 오면 얼마나 안타깝습니까....   후자처럼 아이가 한국이 아닌 해외 가고 싶은 곳에서 능력껏 하고 싶은거 하고 살기엔 전 PR 신청합니다. 일단  PR이 나올지 안나올지도 모르구요. 보통 싱가폴에서는 PR 로도 충분하죠. 굳이 시민권까지는 가지 않는 1세대 한국분들이 더 많기는 합니다. 1.5~2세대는 우리와 다르자나요...시민권까지도 괜찮아 보여요..하나의 예로는 싱가포리언들은 미국과 U.S.-Singapore Free Trade Agreement Professional (H1B1) Visa 혜택이 있습니다. 심지어 싱가포리언들은 미국 Green card lottery 자격도 있습니다.호주만 보더라도 싱가포리언들에게 최장 6년간 비자를 주기도 합니다. 타 국가도 알아보시면 한국여권보단 싱가폴 여권이 해외 취업/거주시 장점이 있고 타 영어권 국가 영주권 신청시에도 싱가폴 o level/a level/경력 등이 서류간소화 및 장점이 있어요. 그럼에도  F-4 비자로 한국엔 돌아갈 수 있는 옵션도 여전히 존재하구요...싱가폴을 거주지로 생각하지 않더라도 전자의 선택이 없는거에 비해서 후자는 한마디로 옵션들이 있죠.  그 다음 중요한건 아이가 과연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가 아닌가 해요.  제 아이도 3~4살때 와서 싱가폴에서 계속 살고 있는데 이 아이에게 더 편한 곳은 싱가폴이지 한국이 아니더라구요. 한국은 저에게는 홈타운이고 어느 나라에서 소득생활을 하든 은퇴하면 돌아갈 계획이지만 제 아이에게 한국은 새로운 환경이고 한국의 독특한 문화에 다시 적응해야하는 나라라는 점을 느끼면서 선택은 제 아이 스스로에게 맡기려합니다. 저 처럼 한국에서 받을 연금,보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이가 꼭 한국에 살아야할 이유는 없더라구요. 나랑 같이 안살아도 되니 한국여권이든 어느 여권이든 너가 편하고 익숙하고 살고 싶은데 살아라 하는게 지금 제 결정이네요. 절대 정답이 없는 고민이고 각 자의 가치관과 미래의 비중을 어느 나라에 더 두고 결정하는지에 따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그 비중이 한국이면 PR 신청안하고 한국이 아니라면 아이가 좀 더 선택이 용이한 PR 쪽으로 가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3
  • A

    저도 한참 이 문제로 고민을 해봤을 때 들었던 내용입니다.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는 외국국저 소지자, 즉 시민권인 경우는 한국에서 군대에 안가도 되지만, 외국  PR인 경우에는 한국에서 병역의 의무가 있는 것으로 안내받았습니다. 그러나 싱가폴에서 병역의 의무는 PR부터 시작되고, 싱가폴의 경우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대학전에 군대를 먼저 다녀와야 하고, 또한  PR이 영원한 것이 아니고 싱가폴의 경우 5년마다 갱신입니다. 즉 싱가폴에서 PR을 받고 군대를 다녀왔는데 5년후에 갱신이 안되거나 시민권이 안나오게 되면, 한국에 돌아가야 하고 그럴 경우 한국에서 군대를 또 가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최악의 경우이지만 정말 어려운 문제라서 최악이 경우도 고려를 해보셔야 할 듯 하여...제가 들었던 내용 적어 봅니다.      

    2
Q

NO.4656

기타외국인이 한국에서 집을 구하려고 하는데요..

  • 답글 : 3
  • 댓글 : 3
답변진행중
싱가폴.(jeh121) 2019-04-16
추천수 : 0 조회수 : 2,842

안녕하세요.   한국말 못하는 외국인이 한국에서 6개월정도 살 집을 구하려고 하는데 도움을 어떻게 줘야할지 몰라서 여쭤봅니다.   2명이서 각각 원룸을 얻거나 방 두개짜리를 얻어서 쉐어하려고 하는것 같은데, 제 연고가 없는 지방이기도 해서 더 어렵네요.   …

  • A

    요즘 월세 제도 잘되어 있으니, 큰 위험은 없을 겁니다. https://blog.naver.com/power9565/221110996763 글로벌 부동산 업체들이 있다네요. 대전시에서 지정해서. 적당히 네이버 월세 시세 참고하시면 크게 바가지 쓰시는 일은 없을것 같은데요. 님이 많이 도와주세요. 아, 문제는 6개월 이라는 기간이네요. 애매하게 짧은 기간. 부동산 복비가 부담스러운 기간이긴 하네요.        

    1
  • A

    대전 어느지역인가요?    유성구, 대덕구 쪽이면 지인이 있어 도움드릴수 있습니다.    한국은 월세가 저렴하니 안전한 지역을 선택하면 좋겠죠. 대전은 유성구 연구단지 사거리(도룡동,신성동) 인근에 외국인들이 비교적 많이 살고 있습니다.   도움 필요하시면 연락 주세요           

    1
  • A

    한국에는 외국인을 위한 전문 부동산업체들이 있습니다. 한국 전지역 확인이 될 꺼에요. 포털 사이트에.. 외국인하우스렌탈? 아니면 릴로케이션 서비스 업체 찾아 보심이 좋으실 듯 합니다~! 많은 곳에 문의 하시는게 좋을 꺼에요. 가격이 천차만별이라서...     

    1
Q

NO.4653

기타해외 호텔에서 일을 하고 싶은 한국 청년입니다. 조언 …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워너비gm(lhj940321) 2019-02-20
추천수 : 0 조회수 : 2,837

안녕하세요, 현재 한국 소재의 4성금 호텔에서 연회 판촉 지배인으로 근무하고있는 26 청년입니다.   세종대학교 호텔경영학과를 졸업하였고, 작년 11월 1일 부로 현근무지에 입사하여 이제막 4개월차가 되어가네요.   싱가포르 취업에 관심을 간고 알아보던중 한 에…

  • A

    안녕하세요 읽고 지나가려다가 어이없어서 로그인했습니다. "에이젼시 말로는 한국에서 온라인 지원을 하는것은 취업이 될학률이 거의 없다고 하더군요, 당장 현지로 날아와서 워크인으로 이력서를 돌리랍니다 뿐만아니라 바로 5성급으로 취직이 되는것도 힘들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한번 벙찌고 급여적인 측면에서 한번더 벙쪗습니다. 사실상 생활하려면 한국의 부모님께 손을 벌려야하는 금액을 말씀하시더라구요."   에이전시.. 뭐 잘 아시겠지만 너무 에이전시 말만 믿지마세요.. 그리고 많이 조사해보세요. 다른 에이전시에서는 어떻게 얘기하는지도 들어보시고.. 호텔 경력없이도 온라인지원으로 취업한 사례도 충분히 있구요(내가 가진 경험을 어떻게 어필하느냐에 따라 다른 부분. 그리고 경력이 있으면 더 가능성이 높겠죠) 당장 현지로 날라와서 이력서 돌리는데 생각보다 안되면 책임져준답니까? WP라면 뭐 솔직히 힘든 생활이긴해요 월급에 있어서는 에이전시가 하는 말이 맞을거에요(월급이 1200불~ 1800불 수준이라.. 1800이하라고 보심되요 그냥) 그리고 싱가폴 hospitality 분야는 돈은 포기하셔야 해요. 다른 나라보다 페이적은데 생활물가나 집값은 훨씬 비싸죠... 근데 뭐 집을 좋은거만 찾거나 돈 팡팡쓰는 스타일 아니고선 적자는 안나요 조절하기 나름이에요. 어디까지나 개인차이고 소비습관에 따라 다르지만 개인적으로 손벌릴 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싱가폴 5성급 호텔취업... 에이전시 없이도 가능한 부분이라 봅니다 저는. 근데 채용 시기에 따라 에이전시 이용이 시간적으로 득이 될수는 있겠죠.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른거지만, 잘 판단하셨으면 합니다:)          

  • A

    여기 게시판 찾아보시면 알겠지만(꼭 검색해 보세요) 그리 추천드리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을 거에요. 싱가포르는 호텔이 많고 다양한 것은 맞는데,  기본적으로 싱가포르 자체가 인력 수급이 워낙 쉬운 조건에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고급 한국인력을 그리 원하는 분야갸 극히 제한되는 것 같습니다. 보수가 높지 않은 이유도 주위 말레이시아-필리핀 등지에서 영어가 되는 인력들을 값싸게 써먹는 환경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보여져요. 물론 일부 하이레벨 호텔리어들도 있겠죠. ^^; 영어가 잘 되신다니, 유럽이나 스위스 같은 데를 뚫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싱가포르를 경유해 가는 방법도 있을 것 같기는 한데, 그렇게 자세한 대목은 다른 분들이 답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A

    윗 분의 말씀이 너무 정확하고 공감되네요.  일단 서비스, 호텔, F&B 쪽은 엔 싱가포리언들이 선호하지 않는 분야기에 외국인 채용이 많습니다. 영어는 기본이고 중국어 혹 ASEAN 언어 중 한 두가지는 모국어로 하는 친구들을 채용하기에 아마도 가장 좋은 조건으을 가진 나라가 아닌가 싶어요. 그러다보니 구직하려는 외국인은 많고 자리는 제한적이니 연봉이 높지 않습니다.   싱가폴에서 정착하고 자리잡고 살기엔 정말 턱없이 부족한 연봉입니다. 한국에서 받으시는 월급과 비슷 혹 이하라면 여기 장기간 있기 힘듭니다.... 싱가폴은 비자를 월급에 따라 다른 비자를 받습니다. 언젠간 비자의 문제게 직면하는 시기도 언젠간 오게됩니다. 예를 들면 승진, 월급상승시 비자에 따라 제약이 발생합니다.  회사 입장에선 비자마다 쿼터를 조율해야하고 비자를 변경해야하면 복잡한 경우 수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런 이유로도 높게 올라가는 건 정말 쉽지 않고 그런 위치들은 이제 싱가포리언들과 경쟁하게됩니다.   솔직하게는 분야를 떠나 한 예를 들면, 한국에서 실수령액 300만원 월급을 받는다 그럼 여긴 600만원은 받고 오셔야 차 없는 그나마 비슷한 생활이 가능합니다. 다른건 한국과 비슷하지만 외국인으로서 드는 주거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소 150~200만원정도는 렌트비로 쉽게 나가니까요.... 방법은 있습니다 일반 가정집에 방렌트를 하셔서 비용을 줄 일 수는 있으나 한국에서 살아왔던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방렌트는 좀 생소하고 적응이 필요하고 그렇게 되면 한국에서의 삶처럼 집에서도 막 자유롭지 못합니다.  혼자사는 것과는 천지차이입니다.  단기간을 보시기보다 외국에 취업해 나가려는 목표를 세우신다면 나갔을때 내가 하는 일이 5년 10년 본인의 커리어도 쌓고 동시에 그 나라에 궁극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지가 정말 중요합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