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65

사업/직장개인사업 / 인테리어 하시는분들께 여쭤 봅니다

  • 답글 : 4
  • 댓글 : 0
답변진행중
단팥빵(opensejin) 2016-10-02
추천수 : 0 조회수 : 3,021

인테리어 하시는 분들께 여쭤보는게 더 맞을것 같은데요.  요즘 인테리어 업체에서 한국제품들 많이 쓰나요? 예를 들면 바닥재라던지 벽지, 페인트, 키친 선반 대리석 등등. 전 사실 싱가폴에서 가장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한게 창문이었거든요. 우리나라는 이중창에 모기장…

  • A

    이런 어려운 질문에 쉽게 답해 줄 수 있는 분이 있을 까요...? ㅋㅋ 인테리어보다는 건축담당자들에게 자문을 구해야 할 질문이네요...현재 콘도 및 빌딩 시공을 하고 있는 국내회사는 대우, 현대, 삼성 정도 입니다..... 아시다시피 국내 기업중엔 KCC 가 싱에 지사가 있지만, 창호 사업은 안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A

    잘은 모르지만, 개인 주택을 제외하고,,, 인테리어 원하는데로 바꾸지 못하는 경우 많아요. 특히 외관에 여향을 주는 창문 같은 경우는 실내쪽만 바꿀수 있다면 모를까 거의 불가능할꺼에요. 아얘 건물 지을때 전 세대에 납품을 하게 되면 모를까,,, 근데 금액때문에 안쓰는게 아닐까요?   벽지는 한국벽지 많이 봤고요. 나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        

  • A

    좋은 사업인것 같네요. 저도 한국처럼 방충망문을 하고 싶은데.....     

Q

NO.64

사업/직장EP 양식 작성 시 배우자 관련 질문에 답변부탁드려요.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꽁이날다(kam0032) 2016-09-12
추천수 : 0 조회수 : 1,972

안녕하세요. EP 양식을 작성하는 데 여쭤볼 것이 있어 질문 올려요.^^   양식 내용 중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If your answer above is 'No', will your spouse and/or child(ren) be accompanyi…

  • A

    배우자가 오시건 혹은 같이 사시건 여부는 상관이 없습니다. 배우자가 싱가폴에 오실 계획이 있으시면  Yes로 답하시면 됩니다. 다만 Yes 로 답하셔서 DP 수속을 하시면 서류를 내고 나서 일정기한 이내에 (제가 기억이 가물가물한데..90일 이내였던가???) 클라크 키에 있는 Immigration 가셔서 사진찍고 지문채취를 하셔야 합니다. 그러니까 최소한 한번은 이민국 방문 기간에 맞추어서 싱가폴에 오셔야 합니다. 머 그 때 앞으로 취직할거냐 도움이 필요하냐 이런거 물어봤습니다. 그래서 그냥 취직이 가능하면 해보려고 한다 이정도로 답하고 넘어갔습니다. 만약 배우자가 지문찍으러 싱가폴 올 계획이 없으시면 나중에 따로 DP 신청하셔도 됩니다. 저희 회사의 경우 배우자 DP 까지는 추가비용 없이 지원해줘서 저는 6개월 후에 따로 배우자 DP신청했습니다. DP를 받으면 싱가폴 올 때마다 출입국에서 줄 안서서 기다리고 전자 시스템으로 여권스캔하고 지문찍고 왔다갔다 하니까 편합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1 채택답변
Q

NO.61

사업/직장싱가포르 구직, 생활 관련 정보 문의

  • 답글 : 2
  • 댓글 : 4
답변진행중
min0092(min0092) 2016-08-23
추천수 : 0 조회수 : 2,796

안녕하세요 저는 싱가포르 구직 관련 정보를 얻고 싶은 29살 성실한 청년 입니다. 현재 호주에서 워킹 홀리데이 비자로 호주인 레스토랑에서 주방보조로 1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3개월 뒤면 비자 만료라서 또 다른 사회경험을 얻고자 싱가포르 취업에 관심이 생겨서 이렇게…

  • A

    안녕하세요 페이스북 싱가포르 직장인 커뮤니티 운영자입니다 우선 대충 한국촌 글 보셔서 어느정도 감은 잡으셨겠지만 질문자님의 스펙으로 봐서는 싱가폴 아니여도 충분히 다른국가의 취업도 가능할꺼 같네요 뭐 배우시려는 마음이 크시다면 다국적음식들이 즐비한 싱가포르도 괜찬죠 허나 주변 아는사람들이나 가끔 페메로 하소연하시는분들 보면... 음..많이 힘들어 하더라구요 인종차별부터 시작해서 급여문제.. 4년대졸이시면 Ep비자도 가능하신데 아무리 4년제여도 경력 안되면 거이 대부분Wp비자를 주더라구요 Wp비자의 경우 급여가 1800불 이상 수령해야 주는거지만 서비스업 특히 호텔직들은 급여들이 1400~1600정도 받습니다 그나마 급여 괜찬게 주고 사람대접해주는 한식당들이 있긴 하지만 한식당 주방에서 일하실껀 아니니시잔아요^^ 급여상관없이 배우시려는 마음이 크시다면 싱가폴오셔서 발품팔아 돌아다니시면 분명 운명적인 직장을 만나겠지만 급여에도 신경이 쓰인다면 저는 비추드리고 싶네요      

    3
  • A

    그냥 지나가려다가 이놈의 오지랖때문에...   4년제 대학 나오시고 영어도 원활한데, 식당 주방 일을 하려는 이유가 뭔가요? 이쪽 직업군을 폄하하려는 건 아닙니다.  단지, 경력을 보니까 아닌거 같아서요. 물론 이것저것 해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주방관련 일을 계속 하고싶어서그러는거라면, 호주에서 정식 취업비자를 받아서 계속 지내세요.    굳이 여기까지 오실 필요는 없는거 같습니다. 윗분도 얘기하셨듯이 박봉이라고 알고 있거든요. 간단하게 얘기해서 저도 비추입니다.      

    1
Q

NO.60

사업/직장한국에서 경력직으로 싱가폴 취업이 가능할까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까페라떼아(caferate7) 2016-08-11
추천수 : 0 조회수 : 3,348

안녕하세요, 입싱을 희망하는 청년입니다.   회사를 오래 다닌 건 아니지만 경력이 있고 언어가 어느 정도 되는 상황인데   이 스펙으로 입싱이 가능할까요?   가능하다면 어떤 루트로 접근해야 할까요?_   이제 막 계획하는 단계라서 현지분들의 많은 조언이…

  • A

    어디에 관심이 있으신지 함께 쓰시면 다른 분들께서 조언주시기 좋을거 같네요. 영업지원인데 그 일이 계속 좋은지 아니면 다른 분야로  옮기고 싶으신지.. 중국어 중급/영어 중급이시라는 말씀도 영문으로 서류작성이 가능하고 회의 진행이 영어로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묘사해 주신다면 이해가 더 쉬울 것입니다. 왜냐하면 싱가포르에는 영어와 중국어 경영을 전공하고 언변이 강한 로컬 인재가 많습니다. 그리고 오늘 경기전망 기사가 났는데 그렇게 밝지 못합니다. 그렇다면 '포기' 해야할까? 그것도 아닙니다. 어림없으니 올 생각마라는 댓글에 동의하실 건가요? 아니면 그정도면 할만하니 꼭 도전하라는 말에 용기내서 무작정 오실 수 있나요. 가끔 이곳에 질문하시는 구직자 분들을 뵈면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설명하시지 못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을 대하는 일이 너무 좋다 경영전략쪽이 재미있다 파이낸스에서 구체적으로 이러이러한 업무에 관심이 많다. 이런 식으로 자기자신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조언을 구하신다면 도움이 될 만한 조언을 더 많이 들으실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아직 젊으시니까 도전하는데 두려움을 갖지 마시라는 말씀 마지막으로 드리고 싶네요. 나이 40에 최근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는  아줌마 드림      

  • A

    저희 회사에도 한국에서 취업해서 오신분 있어요.. 당연히 면접은 싱가폴에 직접 와서 했지만요... 한국 클라이언트 때문에 ..비지니스 영어 하고 업무에 지장 안갈 정도 영어 .. 그리고 경력이 있다면 가능하다고 보아요... 대신에 영어를 잘 하셔야되요.. 중국어는 싱가포리안하고 중국인 때문에 크게 이점이 되지는 않는거 같아요..제 생각에는.....     

  • A

    안녕하세요.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경력이나 전공을 살려 싱가폴에 이직하시기에는 폭넓은 선택권(회사의 종류와 포지션)이 있는 괜찮은 전공과 경력인것 같습니다. Procurement, Admin, Sales, Marketing 등 어느 포지션도 지원이 가능하실것 같습니다만 executive나 senior급으로 들어가시기에는 무리가 있는 경력 기간이지 않나 싶네요. 또한 최근 이곳도 마켓 상황이 좋지않아 로컬에서 경력이 있는 친구들도 이직이 쉽게 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다만 중국어 영어가 가능하시니 감점 요인은 안될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생각할수 있는 입싱시 판단 기준 몇자 적어 봤구요. 뭐 딱히 공식처럼 이런저런 기준 요건에 맞춰서 취업을 할수있는것 만은 아닙니다. 다양한 종류의 비지니스가 있고 꼭 경력과 맞지 않아도 자신이 잘하는갓 재미있는 것을 찾아서 전공과 전혀다르게 이직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번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Q

NO.59

사업/직장인테리어계열 디자이너 입싱 조언 부탁드립니다.

  • 답글 : 3
  • 댓글 : 4
답변완료
삼각자(ohjsono) 2016-08-05
추천수 : 0 조회수 : 7,361

안녕하세요. 저는현재 실내디자인관련 싱가폴 취업을 희망하는 4학년 준비중인 휴학생입니다. 현실적으로 졸업후 바로 비경력으로 취업이 어렵다는것은 많이 들었는데 제가 그것외에도 학자금대출, 여윳돈이 없어서 일단은 1~2년정도 한국에서 관련 일을 하다 대출갚고 여윳돈만들어 …

  • A

    참으로 힘든 길을 가실려고 하시네요. ㅎ 그리고 대단하세요. 저 대학 4학년땐 생각하면 아무 생각없이 지낸 것 같은데  좋은 직장 구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아니고 제품 디자이너로 싱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세한 필드 이야기는 못 해드리고 또한 잘못된 정보를 드릴 수 도 있어서 조금 조심스러운 마음으로 답변 남기네요. 샐러리에 대한 이야기만 해드리면, 아래는 https://www.jobsbank.gov.sg 라는 싱 정부에서 운영하는 잡서치 사이트이구요  여기에 21일이가 2주인가 공고를 해야 회사에 외국인을 구인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이것 저것 다 떠나서 현실적인 하나만 알려드리면 한국도 박봉이지만 여기도 그에 못지않은 박봉이네요. 54개 잡 오픈이 있으니 일은 적은 편은 아닌것 같아요 하지만 경력이 없으면 S$1800부터 시작인데요 오늘 환율로 한국돈으로 백오십만원이 안되네요. (물론 한국에서 연봉 1200만원에 일을 시키는데도 있다고 들었습다만....)물가 비싼 여기서 살기는 빠듯해보여요. 경력 3년되어도 S$3000불 정도 여기 4년제 졸업한 친구들이 받는 월급정도네요. 시니어나 리더로 가면 많이 오르네요 ㅎㅎ 여기 폴리텍( 우리나라로 치면 전문대 정도) 학생들이 졸업하고 인테리어 에이젼시으로 대부분 간다고 해서 박봉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어느 정도 한국에서 경력을 쌓고 오시기를 추천드리고요. 좋은 포트폴리오 쌓아 놓으시면 충분히 승산이 있어 보입니다.  물론 언어는 기본이겠지요? 현장에서 일할때 중국어도 알고 계시면 도움이 많이 될 듯합니다.  한가지더 말씀 드리면 구인 게시판에 인테리어 디자이너 구인한다는 공고를 가끔 봤습니다. 거기에 직접 컨택해서 문의하는 것이 제일 좋고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지나고 보니까 첫직장이 참으로 중요하고 생각됩니다. 사회생활의 첫단추가 될테니까요. 좋은 직장에서 감각있는 디자이너로 성장하기시를 바라겠습니다.          

    2
  • A

    인테리어 디자이너는 아니지만 건축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싱가폴의 중소규모 인테리어는 한국만큼, 어쩌면 한국보다 더 열악합니다. 프로젝트 규모나, 월급 모든면에서 만족스럽지 않아 보입니다. 따라서 중소규모 이하의 사무소에서 꿈을 키워 나가기는 쉽지 않을것 입니다. 따라서 님이 생각하는 싱가폴 인테리어 회사를 다니려면 외국계 인테리어 회사 혹은 대규모 건설사의 인테리어 팀으로 들어가는 방법이 가장 나을 것 같습니다. 이 방법은 취업이 쉽지 않지만, 일단 들어가면 싱가폴에서 인테리어 경력 및 실무실력을 쌓는데 큰 도움이 되며, 생활하는데도 무리 없을 정도의 월급을 받을겁니다. 그러니 큰회사로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우선은 대학 졸업장이 있어야 취업이 수월하니 졸업먼저 하세요. 그리고 어차피 2-3년 한국 경력이 있어도 싱가폴에서는 신입으로 취업될테니 졸업후 바로 한국에서 일 하며 포트폴리오 차근차근 준비하시고 동시에 해드헌터, 잡헌팅 웹사이트, 회사홈페이지 직접 검색 3가지 방법으로 꾸준히 두드려야 취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중소규모의 인테리어 업체 - 작은 규모 리테일 샵, 쇼핑몰의 Kiosk, HDB 혹은 콘도의 집 인테리어 위주로 프로젝트 진행. - 프로젝트 진행 속도가 빠르고, 완공된 자신의 디자인을 실제로 볼 기회가 잦음. - 다양한 로컬 영세업체와 함께 일함. - 일자리 많음. 고급영어 보단 실용회화 가능 유무로 판단. - 신입사원 예상월급 s$1500-2200, WP 혹은 SP 발급   *대규모 인테리어 업체 혹은 건설사의 인테리어 팀 - 호텔, 오피스, 쇼핑몰 등 건물 단위 인테리어 위주로 프로젝트 진행. - 체계화된 업체들과 협의 및 진행. - 프레젠테이션 및 협의가 많아 제대로 된 영어 실력이 필요함. (말하기, 듣기, 쓰기 모두 필요) - 신입사원 예상월급 s$2500이상, SP 혹은 EP 발급   첫 단추가 중요하니, 힘들더라도 첫 회사를 좋은곳으로 선택하세요.      

    1 채택답변
  • A

    인테리어 디자인?? 쉽게 말하면 노가다죠.....건축디자이너도 대접 못받기는 마찬가지 이니까.... 한국은 여전히 Designer 의 가치를 인정 해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없으니.... 취업을 하게 되시면 아시겠지만 현실은 매일 야근에 철야죠..그래서 이직도 잦고..디자인 이라기 보다 위에 꼰데가 시키는 데로 샵만 치겠죠...ㅋㅋ 한 3년간 결국엔 버티다 건설회사(발주처)나 공기업 등등 으로 옮기죠....  싱가폴... 건축분야는 아직 한국에 비해 뒤쳐져 있습니다(지금은 건축경기도 별로고)....누구나 알만한 명문대 출신이 아니면 신입이 좋은 회사 들어 가기도 힘들고 .... 다만 한국보다 업무시간은 덜 빡시겠죠.... 일단 계획대로 취업후 해외 진출을 노리신다면 지금부터 걱정하실필요는 없을 듯...몇년 지나면 자연히 알게 될겁니다.. (주) 킹스맨 www.kingsmen.co.kr 싱가폴 회사중에 유일하게( 지금은 모르겠고) 한국에 법인이 있는 회사입니다...일단 이렇게 해외 branch 거나 해외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회사에 들어가서 경험을 하시길..... But 인테리어 및 여러 협역업체가 그렇틋...전문업체는 해외 Client 에게 직접 수주를 하는 경우보다는 한국건설사의 해외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리고 그나마 규모가 큰 인테리어 회사는 건설사와 대부분 연결이 되 있죠....( 친인척 or 자회사 or shareholder ) 현재 해외 건축 사업을 하는 건설사는 대기업 이외에는 없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참 그리고 TV에서 처럼  셔츠입고 사무실에서만  일하는거 절대 아닙니다....여자라도 현장 나가서 일해야됨....ㅋㅋ        

    1
Q

NO.56

사업/직장싱가포르 취업 (개인 혹은 에이전시)

  • 답글 : 4
  • 댓글 : 2
답변진행중
shj467(shj467) 2016-06-29
추천수 : 0 조회수 : 5,844

  안녕하세요, 싱가포르 취업을 준비 중인 직장인입니다. 지금 국내 컨벤션(영어 담당)에서 일한지 7개월차이고, 내년 1월이면 딱 1년입니다.   저는 내년 2월부터 취업 준비를 해서 5월 안에 싱가포르에 취업하는 게 목표입니다. 싱가포르 취업하기 위해서 이…

  • A

    1. 화상면접을 보고 오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시니어급 이상이 이런기회가 많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100% 불가능은 아니지만 싱가포르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합격을 하고 오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다른나라에 있는 경우 합격을 하고도 안 올수 있는 변수가 많기 때문입니다. 합격하여 비자 프로세스 중에 한국에서 다른 직장에 합격을 해서 안오는 경우도 많고 그런일을 한 번 당한 기업은 아무래도 꺼려합니다. 그리고 와서도 맘에 안들면 그냥 도망가버리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고 하네요. 그래서 여기에 연고가 있는 사람을 더 선호하는 것 같습니다. 2. 저도 돈을 지불해야 하는 에이전시 통해서 가는 것은 좀 별로라고 봅니다. 에이전시 통해서 3000-4000 정도 받으면 모를까.  왜 에이전시에서 개인에게 돈을 받는지 모르겠네요 ~        

  • A

    *WP 주거: WP비자를 내주는 고용주는 WP노동자의 신원을 보증하여야 합니다. 퇴근후에도 WP노동자에게 문제가 발생하면 회사의 책임이므로 반드시 집을 장기간 이탈하는경우에는 회사에 알리도록 되어있습니다. 주거비 외에도 신원보증금을 내고 WP를 발급받구요. 회사에서 제공해주는 주거의 형태가 회사의 규모나 고용주의 인격에 따라 다릅니다. 또한 일정금액을 지원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베이직 셀러리에 추가하여 산정하기때문에 별로 의미는 없습니다. 알고계시는 에이전트를 통한 급여 1500~1800불에 하우징 얼라언스가 포함된 사람도 있다는 말입니다. **한국으로 돌아가는 리턴 티켓 제공은 WP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고용주의 의무사항이지만 본인이 원하는 비행기티켓을 받는 사람은 많이 못봤네요.   잡을 구하시는 방법은 워낙 다양한 회사에 같은 회사내에서도 저마다 다른 고용계약서에 저마다 다른 국적인 경우가 워낙 많아 정답을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제 경험과 주변에서 쪽지나 개인적으로 질문주신 분들의 상황들을 종합하려 제생각을 말씀드리면 우선 저는 에이전트를 통해서 입싱했구요. 화상면접을 보고 왔습니다. 1.개인 : 우선 구직을 위해서 한국에서 할수있는건 인터넷을 통한 검색과 전화정도가 다 일것 같네요. 화상면접의 경우 회사에 따라 다릅니다. 저도 처음 회사에서는 화상면접을 허용해주었지만 현재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공석이 생겨 한국인을 뽑기위해 한국에있는 지원자와 화성면접을 봐줄수있는지 물어봤는데 거절했습니다. 주변 지인중에 익스피디아와 공항면세점에 화상면접으로 갔던 사람도 봤습니다. 현재 직접 발품을 팔아 싱가폴에 체류하면서 이력서를 넣고 계시는 분도 계신데 생각보다 취업의 벽을 뚫는게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또한 좀 많이 의심이 많은 애들이라 연고가 없는 외국인 보다는 내국인, 외국인중에서도 내국에서 경력이 있는 구직자를 선호하는 것 같구요.   2. 에이전트 : 일단 채용 프로세스에서 구직을 위한 정보수집에 직접 나서지 않아도 누군가가 소개해주는 정보로 구직을 하루있어서 편리하긴 합니다만 문제는 전문성과 정확성인것 같습니다. 우선 헤드헌터와 잡 에이전트는 비슷하지만 그 성격이 다르구요. 대부분 잡에이전트를 통해 구직을 하지만 잡에이전트는 사람을 소개해주고 소개비를 받아 먹고 사는 사람들 입니다. 회사가 좋건 구직자가 문제가 있건 상관없이 고용계약을 성사 시킴으로서 이윤을 취하게 되구요. 그에 따라 어떤 사명감 보단 머릿수를 채우는데 급급한 사람들이 대부분인게 현실인것 같습니다. 에이전트 역시 전문성이 없어서 구직자가 원하는 직종과 매칭이 잘 이루어 지는 경우를 보기 힘들구요. 대부분 계약성사를 위해 회사를 부풀려 말하고 구직자의 이력역시 장점만 전달되는것 같습니다.  또한 로컬에서 안좋은 업체라 현지인들이 잘 가려고 하지 않는 회사에 매칭이 되는 경우도 많은것 같구요.^^ 회사에 들어같는데 같이 일하는 친구들이 온통 말레이 밀리핀 미얀마 인도 중국인이라면 여기가 거기구나 하시면 됩니다. 또한 면접비를 요구하는 에이전트도 있구요. 일정기간안에 퇴사를 하면 퇴사를 못하게하려고 얼굴을 붉히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헤드헌터의 경우 굳이 잡을 찾으려 하지않아도 데이터베이스에 이력정보를 등록해 놓으면 지들이 전화와서 면접한번 보라고 이력서 양식 제대로 써서 보내달라고 사정합니다. 당연히 돈을 요구하지도 않구요.   싱가폴에서 고용은 매우 유연한 시장이라 일단 한번 발을 들여놓으면 한국보다는 이직의 기회가 쉽게 찾아오는것 같지만 그래도 비자 프로세스가 있어서 내국인 만큼 유연하게 옮겨다니지는 못하는것 같네요. 준비 잘 하셔서 입싱 성공하시길 바라고 혹시 개인적으로 궁금한내용이나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언제든지 쪽지 주세요. 그럼 화이팅 하시고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 A

    에이전시 상담도 여러군데 받아보고 기껏해야 1500-1800불 받을수 있는 직장 소개해주면서 몇백만원 받는다는 말에 결국 혼자 고생하며 직장구했습니다. (월급이 너무 적지않냐는말에 꾸중도 들었습니다ㅎㅎ 맘에 안들면 혼자 구직활동 하라며...)   혼자 직장 구하는거, 당연히 힘들죠. 하지만 대가가 있더군요. 경력하나 없는 신입이지만 거의 3000불 받습니다. 혼자 구직활동 하는동안 정말 암담했는데 앞으로도 포기하지 않으면 뭐라도 되겠구나 하는 희망과 할수있다는 자신감도 생겼습니다. (물론 지금부터 정말 고생길 시작이겠지만요ㅎㅎ)   일단 할수있는데 까지는 혼자 해보시길 권해드리고 싶어요. 혹시 별거아닐수도 있겠지만 조언?도움?ㅠ.ㅠ 같은거 필요하시면 쪽지주세요.      

    1
Q

NO.53

사업/직장EP 질문이요 ㅠ ㅠ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완료
콩콩이v(semi712) 2016-05-26
추천수 : 0 조회수 : 3,172

잡 에이전시에서 회사 연결시켜주기 전에 거의 mom 들어가서 Self assessment 이거 해서 결과를 알려달라고 했는데요.. 여기 들어가서 제 한국 경력이랑 학교랑 다 입력하면 SP only가 나옵니다 잡에이전시에서 연결해주는 회사는 다 EP holder (s…

  • A

    나이 때문일것 같은데요?? 나이에 따라서 최소 월급이 다릅니다.     

  • A

    EP비자는 현재 발급니 어렵습니다. 4500불이상 되어야 비자 발급이 될 것 같습니다. 직장 직무가 경력과 최종학력전공이 같으면 4500불이하도 가능해 보이지만요...      

  • A

    self assessment tool  결과 S-pass only 로 나온다면 이후 비자를 신청하더라도 EP로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셔야합니다. (비자 신청시 self assessment tool의 사용여부를 확인합니다.)   보통 self tool 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항목은 1. 월급 2. 경력(나이) 3. 출신대학, 졸업년도 4. 국적   정도로 알려져있습니다.   윗분께서 말씀하셨지만, 사실은 최종학력전공과 직무와의 연계성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freshmen(갓 졸업자) 가 아닌 경력 1.5년, 한국내의 지방국립대, 3800에 EP가 나왔습니다. (남자 나이 29세, 관련전공 아님) 이에 따라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1. EP를 획득할수 있는 4500불정도의 직업을 찾으시거나 2. Spass quota를 보유하고 이를 사용하는데 꺼리는게 없는 회사를 찾아보시는게 현실성이 있을거라 생각되네요. 단, Spass는 Levy, 회사 quota 를 사용해야 하는바, 2000~3000선의 저가로 임금을 책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채택답변
Q

NO.51

사업/직장워킹비자 본드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jdkdj(kainstory2) 2016-05-20
추천수 : 0 조회수 : 1,842

안녕하세요   싱가포르에 온 지 7개월가까이 된 직장인입니다.   작년 이맘때쯤 한국에서 졸업하자마자 급하게 직장을 잡고 싶은 마음에 어쩌다 싱가포르 로컬회사   면접을 보게 되었고 합격하였습니다. 그리고 비자수속이 끝나고 계약서를 쓰는데 기간이 3년이더군요…

  • A

    정말 해도해도 너무하네요.  빨리 mom사이트에 문의하시고 도움 필요하시면 계약서 스캔하여 보내주세요. 이멜 주소는 쪽지로 알려줄께요.        

    1
  • A

    안녕하세요 입싱 1년차 외국인 노동자입니다. 1년밖에 되지않았지만 싱가폴 직장생활 하며 정말 많은 공부를 했습니다. 작성하신 글을 보고 비슷한 사례가 있어서 도움이 되시라고 답글 작성 합니다. 좀 내용이 긍정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현재 글에서 제가 인식한 문제를 바탕으로 답변을 작성하였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일전에 제가 좀 부당한 일을 겪었다고 생각이 들어 이런 저런 사례를 찾던 중 또다른 외국인 노동자의 일을 듣게 되었는데 동종 업계에서 알게된 PR을 취득한 외국인 노동자의 옛날 동료 이야기 입니다.   이 친구가 2년차때 10/년인 휴가를 다 쓰고 사정이 생겨 5일의 무급휴가를 더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휴가 기간중에 3일을 회사에 알리고 연장하였는데 돌아오니 회사에서 해고 되었다고 통보를 받았답니다. 문제는 그냥 퇴사만 하면 아무 문제가 없는데 계약서 상에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면 남은 기간의 급여를 보상하는 조항이 있었구요. 그냥 비자도 취소하지 않고 본국으로 도망갔습니다. 그 후에 본국에서 돈을 물어주지는 않았지만 다시는 싱가폴로 돌아오지 않았다고 하네요.   또한 본딩과 관련해서 MNC에서도 사원 교육비에 대한 본딩이 있습니다. 파일럿을 예로들면 회사에서 자격요건이 되지 않는 지원자를 선발하여 비행 훈련 및 최소 비행시간을 채우는데 드는 비용을 본딩으로 일정 계약기간을 채우도록 하는데요.   한국에 지사가 있는 MNC의 경우 한국으로 돌아가셔도 민사가 들어온다고 합니다. (현재 말씀하신것 처럼 외제차 한대값은 아니지만 소형국산차 한대값을 물어준 사례가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제 생각엔 계약서에 이미 서명을 하셨다면 모든 조항에 동의를 하신것이니 MOM에서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는 않을거라 예상됩니다. MOM은 매우 공평한 기관이라서 상담사가 인간적으로 동정이나 연민을 표현해 줄수는 있으나 MOM이 직접 문제에 관여해서 솔루션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진짜로 문제가 있어 보이는 경우라면 변호사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라고 말을 해주며, 변호사를 어떻게 찾는지 정도는 알려주지만 어떤 변호사가 좋은지 그런건 일절 알려주지 않습니다. 변호사라는 직업도 특정금액 이하의 수임료에서는 제가 봤을땐 믿을 만한 사람을 찾기가 정밀 힘든것 같구요. 다만 MOM에서 찾을수 있는 규정에 위배되는 문제를 명확하게 증명할수 있는 자료가 있으시다면 문제를 해결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수는 있지만 개인과 회사간의 고용계약의 계약서 내용과 관련하여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 역시 제가 부당하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제 서명 덕분에 회사의 정당성에 손을 들어주게 되었고, 제가 행동을 조금만 신중하게 하였더라면 다른 방향으로 협의 할수 도있었던 문제를 너무 경솔하게 처리한것 같아 약간 후회는 되지만 그래도 모든것을 명확하게 배운것에 대한 강습료를 지불했다고 생각하고 넘겼습니다.      

    2
Q

NO.50

사업/직장구직을 희망하는데 여쭤봐도 될까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saika(saika) 2016-04-25
추천수 : 0 조회수 : 3,534

  안녕하세요 이번에 싱가폴에서 직장을 가지고 싶은 마음에 정보를 얻으려고 가입하게되었습니다. 먼저 보통 한국인이 하는 일이 궁금합니다(직장)  1. 보통 평균 급여는 얼마인지...  구인구직란을 보았는데 숙식 제공이 되지 않는곳이 많더라구요 2. 혹시 숙식 제…

  • A

    싱가폴 에 취업 하고 6년 동안 거주 하고 있는 한국 인입니다   1. 보통 평균 급여 만큼은 절대 여기서 정보를 얻기 쉽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 월 1000불 때 부터 월 2만 - 4만 또는 그 이상 까지 도  너무나 다양한 급여를 형성 하고 있고 그 이유는 어떠한 분야, 경력 에 따라 싱가폴은 급여가 천차 만별 입니다. 2. 숙식 제공도 마찬가지로 회사 마다 오퍼 하는 경우 에 따라 다르며, 건강 보험, 집 수당 그리고 아이 교육 비등 추가로 제공 하는 회사들도 많습니다. 이런 말씀 드리기 조금 죄송 하지만, 대학 졸업을 못했다는 부분이 조금 걸립니다. 냉정하게 고졸 로 직장 구하느건 쉽지 않으리라 판단됩니다.      

  • A

      1. 급여는 윗분이 답변하셨던것처럼 천차만별입니다. 대부분 영어실력(인터뷰)+경력+학력을 종합적으로 보고 결정이 됩니다. 하는 일에 따라서 많이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금융/IT(기술)/바이오/건설(기술 엔지니어)/조선 등등 많이 받는 업종이 있습니다. 일반 관리직(Admin)은 2000불에서 4000불 사이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영어실력 중요)   2. 숙소는 주는 곳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housing allowance나 이렇게 보존을 해주는것이 원칙이긴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급여를 쪼개서 allowance명목으로 주거나 그런곳이 대부분입니다. 실질적으로 못받는 것이고, 한국에서 파견온 주재원같은 경우만 숙소를 보장받습니다. 필리핀, 말레이시아 같은 국가와 싱가포르를 비교하시는 건 불가능할듯합니다. 그냥 없다고 보시면 마음이 편하실겁니다.(가뭄에 콩나듯 숙소 제공하는 곳을 보긴 합니다)   3. 싱가포르에 비자제도를 알아보시면, WP/SP/EP로 크게는 나뉘어 지신다고 보시면 됩니다(물론, 그외 비자도 있음). 이것을 구분할때, 급여수준/학력수준/경력수준으로 나뉘는데, 대학을 졸업못하셨으면 아마도 WP혹은 아주 잘 받아도 SP비자를 받으시게 될겁니다. 실질적으로 SP는 생각보다 받기가 힘드실겁니다. 쿼터가 WP보다 작아서요. 제가 봤을때는 여기서 일하시면 WP를 받고 일하실거 같은데, (WP를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럴경우 본인이 생각하시는 것보다 낮은 급여수준으로 싱가폴로 오셔서 일하실수도 있을거 같아요.   제 생각으로는) 싱가포르에서 일하고 싶으시면 1. 대학을 빨리 졸업하시고 2. 영어를 많이 늘리시고 3. 본인이 가고싶은 분야를 잘 준비(경력을 더 쌓는다던지, 저같은 경우는 싱가포르 넘어올때 한국 회사에서 경력증명서를 영문으로 떼어 왔어요. 인터뷰볼때 제출을 했고요)하셔서 싱가포르 오시는게 좋을듯합니다.      

  • A

    물론 경력도 중요하지만..  기본 버첼러 디그리가 있는 상황에서 경력 능력등에 따하서 연봉이 결정되서..  비자가 디그리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아예 구분이 달라져요.. 지잡대이든 방송대학이든 상관없으니 일단 디그리를 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물론 비자 넣으면 대학 세계순위로 뭐 EP낸다 안낸다 말 있던데 전 여지껏 EP 거절된적 없었습니다.. 참고로 지잡대입니다) 디그리 따면서 일 구하시는게 어떨까요?  제가 듣기론 한번 WP로 일하면 업글하기 힘들다고 하던데...  WP랑 SP/EP 랑 개념 차이가 많이 나는건 사실입니다.  전 향후에 싱가폴에서 계속 일하고 싶으시면 최소한 디그리 따는걸 추천드립니다.       

Q

NO.49

사업/직장이직하고싶어요..

  • 답글 : 4
  • 댓글 : 4
답변진행중
바바바바(kjs2215) 2016-04-13
추천수 : 0 조회수 : 5,325

안녕하세요 . 현재 호텔 f&b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2달됬는데 주 6일근무 1400 받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생각하고 온거랑 너무 다르네요 . ㅜㅜ 집값에 생활비하니까 도저히 생활이 안됩니다 . 사무직 쪽으로 이직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요 . 도와주세요 선배…

  • A

    전공이 그쪽이시라면 우선 집에서 용돈을 좀 보탬 받는다고 하고, 경력을 쌓으시길 바래요. 전공과 상관없는 사무직으로 옮기시기엔 너무 빠른 결정 같습니다. 한국에 2017-20년까지 제주, 인천에 많은 리조트들이 생깁니다.  싱가폴에서 경력 쌓으시고 2년후 한국으로 복귀 하시는건 어떠 신가요? 어차피 인천 파라다이스 시티를 예를 들었을때도 한국은 경력 직만 뽑으니,, 전공이 호텔쪽이 아니시면 당장 옮기시는것도 괜찮을거 같구요.        

    1
  • A

    아무리 인턴이나 무경력이라 해도 1400은 이해불가네요... 여기 호텔업계 월급이 짜다는건 알고있지만 뭔가 잘못된거 같습니다. 어떻게 취직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최소한 1800 을 받는다고 호텔에 근무하는 한국인턴으로 들은거 같은데 그것도 2~ 3년 전에요. 지금은 더 물가가 오르고 모든게 상승된 마당에 월급이 점점 더 다운되는 건가요? 호텔경력을 쌓을려면 최소 5성급부터 출발하라고 하고 싶어요. 한국에선 5성급 이하 경력취급 어렵습니다. 그리고 한국인을 정말 필요로 하는곳을 알아보시고, 월급을 조정하시는게 맞을것 같아요... 쥐어짜며 살아도 여기선 1400 으로 당연히 생활 안되죠....집에서 다니는 것도 아니고. 열심히 찾아 보세요. 어딘가에 나은 곳이 있을거예요.... 쉽게 포기하지 마시구요. 한가지 재산이 있으시잖아요?  돈으로도 못사는 젊음! 화이팅 입니다!      

    2
  • A

    저도 호텔 경영을 전공 하였습니다만... 호텔에서 6개월간 Industrial Training 을 한 이후로 호텔쪽에서 일하는 것은 그냥 맘을 접었습니다. 전공이 참 저의 성격과 잘맞고 재밌기는 했는데, 실제로 일을 하다보니, 박봉에 3교대가 쉬운일은 아니더라고요. 돈만 많이 준다면이야 그깟 3교대 쯤이야! 하겠지만 실질적으로 박봉인게 힘들지요.  싱가포르에서 직업을 구하기 위해서는 영어도 영어지만 경력도 많이 보는 것 같습니다.  신입이면 좋은 자리가 잘 없더라고요.  그런 의미에서 영어가 되신다면 말레이시아 쪽에서 경력을 쌓고 다시 싱가포르로 넘어오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물론 싱달라 대비 하면 얼마 안되는 돈이지만 싱에서 1400 버느니 말레이시아에서 5000-6000 링깃 버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1
Q

NO.48

사업/직장싱가폴에 취업하고 싶습니다 ..도와주세요

  • 답글 : 1
  • 댓글 : 5
답변진행중
비트피스(hot5573) 2016-03-04
추천수 : 0 조회수 : 3,322

얼마전, 싱가폴에서 몇개월간 일하고 회사에서 문제가생겨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퇴사를 할때, 비자를 취소하여 현재는 비자가 없는 상태입니다. 처음 직장을 구할때는 대학교를 통해서 비자발급이나 직장 컨택문제를 해결했지만 이번엔 혼자 뛰어드려고 하니, 걱정되는게 많습…

  • A

    조금이나마 도움이될까해서 답글 남깁니다. 관광비자인 상태에서 합격을하게되면 회사 인사과에서 비자 신청 및 모든것을 설명 다해줍니다. 필요한거는 여권사진 몇장 여권만 있으면되요 비자가 어떤걸로 할지 모르겠지만 ,wp 로가시는거면 비자 신청할때 다른나라로 잠깐 나가있다가 싱가폴로 다시 와야됩니다. 그리고 걱정되는 부분이.. 비행기를 편도행을 예약하셨으면 인천공항에서 티켓발권시 문제가 될수도있어요. 저도 이번에 관광비자 상태에서 직장구하고 비자신청겸 한국에 쉬었다가 싱가포르행 편도 끊어서갔는데 티켓발권할때 물어봤어요 리턴티켓 있냐고. 저는 서류가 있어서 문제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싱가폴 입국하고 입국심사할때 이것저것 물어볼수가 있어요 왜냐하면 전에 일한 기록이있기때문에 왜 다시입국 하려는지 물어볼겁니다. 거기서 대답잘 못하면 입국 못하시니 준비 잘하시구요. 좋은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5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