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42

생활PR 신청은 대체 언제부터 가능한지

  • 답글 : 4
  • 댓글 : 3
답변진행중
PODOWON(tony13) 2015-12-21
추천수 : 0 조회수 : 2,996

안녕하세요   입싱한지 4 개월 되었습니다. PR 을 신청하기 위해서 1 년이 채워지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주위에 인도애가 6 개월만에 신청을 하는 것을보고 말렸는데 이거 가능한가요? 대체 언제부터  신청이 가능한거죠? 카더라 통신 말고 정말 정확한 정보가 나온…

  • A

    6개월만에도 신청은 가능합니다. 6개월만에 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는데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저도 6개월 만에 신청했다가 Reject 맞고 2년정도 됐을 때 다시 신청하니까 PR 받을 수 있었습니다. 2년정도 세금낸 기록이 있어야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1
  • A

    신청은... 언제나 가능하지요... 싱가폴 정부에서 생각하는 심사기준을 통과하느냐가 관건이 아닐런지요 ? 정확한 정보는... 관할관청인 ICA의 다음 페이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ica.gov.sg/page.aspx?pageid=151&secid=150      

    1
  • A

    6개월치 payslip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6개월 부터 접수 가능합니다. 신청이 아니고 접수 임에 유의하세요. 들어오시마자 FIN 번호 받고 SINGPASS open 후에 e-appointment 사이트에서 6개월치 월급 받는 날로 예약 잡아놓았다면 그 날 서류 접수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1
Q

NO.35

생활주롱 생활을 위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인인(infoods) 2015-11-06
추천수 : 0 조회수 : 2,060

안녕하세요 주롱쪽으로 입싱예정인입니다 삼년정도에 어린아이가 둘이라 풀퍼니쳐콘도를 알아보고싶은데 콘도가격 3000이면 어떤단위인가요? 설마 월세는 아닐테고 혹시 연세로 계산하는건가요? 보통 매물은 어떻게 알수있을까요? 한국처럼 중개업소가 따로있을까요? 내년 7살 3살 아…

  • A

    안녕하세요~   주롱 근처 lakeside 에 거주중입니다~ 저도 결혼 후 신랑 따라서 입싱 하게 되었구요~ 현재 반년정도 거주중입니다~ 3000은 싱가폴 달러 $3,000 입니다. 보통 3,000이며, 그이하론 구하기 힘들어요~ 새 콘도는 좀더 많이 비싸구요~~ 그리고 싱가폴은 월세 입니다~~~ 좀 저렴한 집으로 보시면 HDB로 보셔야 하구요~콘도는 기본 3,000이상 입니다~~ 한국인 에이전트 있으니, 지역, 가격대, 입주예정일 알려주심 에이전트분께서 알아서 서치해서 집 보여주세요~~ 2년 이상 계약시는 집주인이 중개수수료 부담하구요~ 2년 이하고 계약 하시면 한달 월세의 절반을 중개수수료로 부담 하셔야 합니다~~~ 궁금 하신 점 있으심 또 문의주세요~ 에이전트도 원하심 알려 드릴께요~ 보통 한국 주재원분들 중개 많이 해주시는 분이세요~ 저희도 이분한테 했답니다~~~      

  • A

    쪽지 보냈습니다^^     

Q

NO.32

생활입싱 시 핸드폰 요금제 문의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핑크구아바(gksmf55) 2015-09-25
추천수 : 0 조회수 : 2,961

안녕하세요, 인터넷을 아무리 검색해보고 전에 질의응답을 봐도 유심칩을 구매해서 사용하라는 내용밖에 없어서 자세히 질문드립니다! 아직 한국이고 다음주에 출국하는데 싱가폴에서 2~3년 거주 예정입니다.   보통 유심칩을 구매해서 선불식으로 사용하라고 하는 답변이 많…

  • A

    꼭 필요하고 본인 전화 번호를 유지 하고 싶으시면, 최저 요금제로 바꾸시면 될 것 같구요. 입싱 후 심 카드는 빼서 따로 보관하시고, 한국 가실때마다 교체해서 사용하시면됩니다. 선불이든 후불이든 심카드를 사서 끼우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시는 폰 요금제와는 상관없으세요. 단지 쓰지 않는 한국 전화 번호에 대한 요금을 내는것 뿐이지요.   제가 그렇게 사용중입니다. 저는 아예 한국 폴더폰을 하나 구매해서 거기다가 한국 유심꽂아 놓고, 은행 거래 내역 확인할때 사용 하거든요. 그러다가 한국 갈때에는 심 카드 교체해서 가고....      

    1
  • A

    출국일정표 통신사에 보내주시면 일시정지해서 월 4천원정도 내시면 됩니다. 저랑 같이 사는동생도 그렇게해서 한국 번호는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지 싱텔 가입하는것도 괜찮아요. 집에 와이파이 되시면 유심칩구매 하는것이 좋아요     

  • A

    저도 2년전에 한국에서 입싱할때 선불유침 칩 사서 한국에서 쓰던 폰에 넣어서 사용했는데, 너무 불편해서 올 초에 아래싸이트에 연락해서 후불 유심으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가격이 저렴한 편으로 생각되고 한국인이 운영하는 곳이라서 문제가 생기면 그쪽에 해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Sing Tel의 망을 이용하는  Re-seller 사업제로 생각됩니다.) 한번 확인 해 보시구요.. 만약 불안하시면 그냥 가까운 싱텔 대리점가서 유심만 받아서 넣으셔도 되고 아니면 신규 계약으로 하시면 핸드폰 새걸 시장가격 (Unlocked)보다 약간 프로모션해서 살 수도 있습니다. 단, 2년 약정 붙습니다. 참고 하세요... http://mobile.new4u.com.sg/ 아니면 이멜  mobile@new4u.com.sg 입니다. 추신: 메일로 가입 조건 및 프로모션 확인 해 보세요.                

Q

NO.30

생활이번에 입싱입니다!!

  • 답글 : 2
  • 댓글 : 5
답변완료
브랭당(brandan) 2015-09-09
추천수 : 0 조회수 : 3,929

이번 10월 중순 즈음, 싱가포르 현지 회사에 입사하게 되어, 와이프와 둘이서 입싱할 예정입니다.   5년전 싱가포르에 4개월간 있던 경험은 있으나, 막상 EP 발급받고 와이프 데리고 기약없이 살으려고 하니 궁금한 점이 한두개가 아니네요. 너그러이 알려주시면 감사…

  • A

    1. 영어 회화 학원 추천 (성인반 초급~고급 과정), 예상 비용 1년 수강시 - 싱가폴에는 여러가지 영어 학원코스가 있습니다. 종일 코스 (보통 5시간) 주 5일로 봤을때 괜찮은 곳은 월 1000싱달러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월세 S$ 3000 정도의 투룸 콘도(FUNISHED)는 쉽게 구할 수 있나요? 회사가 FORT CANNING PARK 서쪽에 위치해 있는데, 가깝고 교통 편한 곳이면 더욱 좋습니다. - 서쪽에는 3000 정도면 투룸 콘도를 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에이전트를 통해서 알아보시는게 편하고 안전하고 좋은데.. 4000 이하의 거래에 대해서는 한달치를 커미션으로 에이전트에 결제하시면 됩니다. 3. 아이를 가질 계획인데, 추천하는 산부인과 및 아이 낳을때까지 예상비용은 한국과 비교해 보면 어떤가요? - 병원비는 생각보다 비쌉니다. 한번에 200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출산 비용은 어마어마합니다. 한국에서 출산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4. EP 가진 상태로 아이를 낳게 되면, 아이는 국적이 어떻게 되나요? - 한국 국적입니다.      

    3 채택답변
  • A

    저도 몇달전 입싱해서 생활하고있는지라.. 비슷한걸 고민하시는거 같아서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 답글 달아드리고 가요..   1. 아주 많은 영어회화 학원이 있지만, 보통 도비곳이나 시티홀 부근에서 많이들 다니더군요. 현지인과 혼인 후 정착한 분이라던가, 주재원 배우자를 둔 분이라던가 ..PR인데 영어회화 실력을 향상시키려는 분 등등.. 보통 위의 지역으로 학원 다니시더라구요. 물론 방학기간에는 외국인 학생들이 몰리긴 합니다. 캐네디언, 지오스, 어센트 보통 이 3개로 추려지는데, 세곳 다 한국인 상담원 있으니 방문해서 학원분위기도 보시고 커리큘럼 보고 직접 선택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가격은 월 1000싱달러 에 프로모션에 따라 +,- 약간씩 있습니다.   2. 이건 Herbcidal 님이 답변해주신 걸 참고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3. 저도 이걸 참 많이 고민했는데.. 한국에서 분만한 친구들 & 싱가폴에서 분만경험 있는 분들에게 물어보고 추린 내용 적어볼게요. 절대적인건 아니니 참고만 하시길...     한국 : 임신기간 내 병원 방문시마다 보통 10만원 내외. 추가적인 검사비 30~50만원 정도.(기형아검사, 3D초음파 등) 자연분만시 거의 무료 (무통주사등 옵션제외하고.) 제왕절개시  50~ 100만원 정도. + 산후조리원 2주 200~400  만원정도 (2015년 기준)   ... 이건 네이버만 검색해봐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싱가폴 :  임신기간내 병원방문시마다  200 싱달러선. 자연분만시 7,000~ 10,000 싱달러 (직장에서 제공하는 의료보험, 담당의사에 따라 변동폭이 다소 있다고 하네요.) 제왕절개시 15,000~ ? 싱달러 (이건 경험자에게서 들은건 아닙니다. 한국보다 옵셔널한 것들이 워낙 많다보니 케바케라고 들었습니다. 이것 또한 의료보험이나 담당의사에 따라 변동폭이 큽니다.)   .. 싱가폴에서 출산예정자1명, 2년내 출산경험자 2명에게 들은 내용입니다.     ------- 이렇게 단순비교를 하면 한국에서 낳는게 나을거 같겠지만, 6개월 이후의 임산부가 한국으로 비행기 타고 건너가야 한다는 리스크, 갓난 아기 데리고 싱가폴로 다시 비행기 타고 돌아와야 하는는 리스크 및 비용, 한국서 지내는 기간동안 배우자와 장기간 함께할 수 없다는 심리적인 부담감 등이 있으니 이 것들도 고려를 하셔야 합니다. 막상 비행기삯 과 한국에서 거주하며 드는 비용들 생각하면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이때문에 출산을 어디서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본인선택입니다.. 아.. 그리고 아이의 예방접종의 경우 한국에서는 무료인 것들이 싱가폴에서는 몇십~몇백달러 정도 한다고 들었습니다. 예방접종에 꽤 많은 돈이 든다고 하네요. 분유값도 이곳이 더 비싸구요. 아이가 아파 병원에 가면 기본 300~400불 정도는 한다 들었습니다. (의료보험 적용 후 금액) 쉽게 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니..부부간 대화를  많이 해보신후 결정하세요.   4. 미국처럼 속지주의가 아닌 속인주의 이므로 한국국적을 가지게 됩니다.          

    2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