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Q&A

  • ~
Q

NO.39

생활CB연장됬는데 한국 갔다가 다시 들어올때에

  • 답글 : 3
  • 댓글 : 1
답변진행중
내가열정(leefrost) 2020-04-21
추천수 : 0 조회수 : 3,677

오늘 CB 연장되었네요, 이걸로 만약에 한국을 간다고 한다면, WP소지자 임에도 불구하고 MOM의 입국허가가 있어야 싱가폴 다시 들어올수있는건가요? 그리고 입국이 된다하더라도 들어오면 정부가 마련한 쿼런틴 장소에 하루 십만원 안팍의 비용이 자기 부담이라는데, 맞나요? …

  • A

    주변에 EP 소지자이고 상을 당해서 한국 갔었는데 정부에서 입국 허가를 한달째 안내주고 있는 분이 계시고 일본인 주재원인데 태국으로 한달간 출장을 간 사이에 정책이 변경되어서 입국 며칠 전부터 정부에 서류 다 제 출했는데도 불구하고 입국 거부되어서 결국 일본으로 돌아간 케이스가 있습니다. 거의 안된다고 보심이 맞을 것 같네요.      

    1
  • A

    자세한건 모르는데 저희 팀 직원 필리핀 사람 한명 왔어요.. 필리핀 갔다가 (그때가 아마 필리핀 자체 봉쇄때문에 못들어왔으니 서킷브레이크 전부터인가 )못돌아왔는데 이제 와서 격리 중이라네요.      

  • A

    저도 잠시 돌아갈까해서 알아보고 있는데, 일단 루머를 제외하고, Circuit Breaker measures and advisory 에 적힌 내용만 보면, The MOM will only allow the entry/return of work pass holders, including their dependents, for those providing essential services, such as in healthcare and transport.  따라서, healthcare 나 transport 업계에 계시지 않는 경우, entry 신청해도 reject 될 것으로 보이고요, 만약에 지금 떠나신다면, 오는 일정을 오픈 티켓으로 바꾸셔서 CB 기간 이후에 입국하시는 것으로 해야 할 것 같습니다.      

Q

NO.35

생활Wp비자 퇴사후 패널티 세금 문의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회랑고기랑1(zero9029) 2018-11-12
추천수 : 0 조회수 : 2,313

첫직장에서 2달일하고 직장옴긴후 4개월일하고 퇴사를 앞두고있는데요 183일 이전에 그만두는거라 4개월치 마지막 직장 총소득에 15프로를 세금같이 내야된다는데 맞나요? 계약서같은건 썻는데 그런말은 들은적이없습니다.     

  • A

    Income tax rates depend on an individual's tax residency status. You will be treated as a tax resident for a particular Year of Assessment (YA) if you are a:  Singapore Citizen (SC) or Singapore Permanent Resident (SPR) who resides in Singapore except for temporary absences; or Foreigner who has stayed / worked in Singapore (excludes director of a company) for 183 days or more in the previous year. i.e. the year before the YA. Otherwise, you will be treated as a non-resident of Singapore for tax purposes. 위 b 부분에 183일 미만으로 근무했기에 non-resident로 분류됩니다. (이직을 또 하실경우는 모르겠네요) 그럼 15%가 적용될겁니다. (물론 15% 와 progressive resident tax 중 높은것으로 적용) (이전 회사에서 2개월 근무한것까지도 적용될지도 모르겠네요.) Tax Rates for Non-Residents Taxes on Employment Income The employment income of non-residents is taxed at flat rate of 15% or the progressive resident tax rates (see table above), whichever is a higher tax amount.      

  • A

    이전 회사 2개월 및 지금 회사 4개월이 183일이 안된다면 두 회사 금액의 합계에서 15%의 세금을 내는게 맞습니다.    다만, 이전 회사에서의 2개월근무종료후 IR21을 제출 하지 않았다면, 지금 회사 4개월치만 낼 수도 있습니다.  만약 IR21도 진행했다면 총 금액에서 15%입니다.   금번직장에서 이직을 하시는거라면 이후에는 tax-residen가 되므로 2018년 IR8A 제출 시 다시 계산하여 초과납부 금액은 다시 cheque로 환급되게 됩니다.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Q

NO.34

생활WP로 싱가폴 입싱을 준비하시는 분들

  • 답글 : 1
  • 댓글 : 1
답변완료
sing12(kimsang03) 2018-08-08
추천수 : 0 조회수 : 3,420

요즘 게시판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글중에 WP비자로 일하시는 분들의 피해 사례인것 같습니다. 볼때 마다 안타깝고 어떻게 해야 피해를 줄일수 있을까 생각해 봅니다. 첫번째 WP가 어떤비자인가 그리고 어떠한 사람이 WP비자를 받고 일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셔야 합니다.…

  • A

    악조건에서도 입싱이나 다른나라 이민을 준비할수밖에 없는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998년 IMF이후로 정규직의 감소와 더불어 하청의 시작, 2008년 미국발 모기지론으로 인한 한국 부동산 및 경제의 악화로 인한 취업문턱의 좁아짐과 더이상의 대기업 정규직이 없어지며 하청의 하청의 하청이 존재하여 최저시급을 받으며 하루 10시간 넘게 일해야 하는 좋소 기업들이 즐비. 하청의 하청의 하청 직원이므로 언제 짤릴지 모름. 미래에 대한 불안과 부담. 더구나 원청의 원가 후려치기와 하청의 임금 체불등 문제가 심각함. 현재 임금 체불등으로 고소 고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아르바이트 또한, 최저임금... 지방은 이미 가족 운영제로 도시에 비해 알바 자리를 구하기도 힘들고 농가나 어촌에서 24시간 일하고도 200만원 미만과 외노자와의 경쟁으로 이일마저 힘들음. 2018년 10월부터 시행되는 IFRS로 한국내의 40%의 한계기업의 계속적인 파산. 일할수 있는 인력이 총 2000만명이라면  800만명이 실직 위기. 이건 문재인 대통령 할어부지가 와도 못막지만 저 파급을 줄일려고 노력은 하지만... 답이 없음. 그냥 지켜봐야죠. 일본의 잃어버린 10인지 20년인지. 이미 기업에서는 명퇴고 은퇴고 차부장, 이사급들 전부 짜르고 그자리 싸구려 인력으로 대체. 이미 내수가 1998년 이후로 개판이 되었으므로 자영업을 해봐야 돈이 안됨, 따라서 고용도 힘듬. 고용이 되더라도 동남아 싼 인력으로 대체. 동남아 외노자들은 급여의 90%이상 자국 송금으로 인한 외체이탈로 내수 소비의 감소. 알바이건 정규직이건, 계약직이건 그들이 퇴근하는 시점에 소비자로 변하는데 이미 학자금, 월세, 세금등으로 이미 급여의 70~90%이상 소비, 정규직도 아파트 구매와 아파트 투기로 은행에 이자만 내도 힘든데 이젠 은행에서 그들보고 원금 상환하라고 독촉하는 시점. 이런 글들을 청소년때부터 봐온 지금의 20대들... 그리고 입싱을 하는 이유는 외국인 취업 문턱이 다른나라에 비해 관대함. 이유는 잘 아실거임. 저도 미국을 도전을 할려고 했지만... 한국 에이전시가 2천만원 정도 비용 소요 된다하여 그냥 포기함. 물론 입싱 에이전시도 있지만 비용은 300만 가량으로 들었음. 저또한, 에이전시를 통하여 입싱을 확실시할수 있지만 급여문제와 근무조건으로 사정으로 Jobstreet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도전하고 있네요. 저도 입싱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한국촌 뿐만아니라 블로그등에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접하셔서 피해를 줄이실수 밖에...      

    1 채택답변
Q

NO.32

생활계좌개설 관련 질문

  • 답글 : 1
  • 댓글 : 0
답변완료
땡전(lovens0103) 2017-12-07
추천수 : 0 조회수 : 1,256

계좌를 만들 때 디파짓이 필요하다고 들었는데 이 디파짓은 나중에 해지할 때 100% 환급이 가능한가요?   그리고 한국에 은행계좌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한국 하나은행에 계좌가 있는 상태) 현지에 있는 동일한 은행에서 계좌를 만든다면 연계가 가능한가요? (원화와 …

  • A

    1. 싱가폴에서 계좌 만들때 일반적으로 말하는 Deposit 이라는 것은 입금 으로 Minimum Balance 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하실겁니다. 즉 '계좌 유지 최소 잔액' 이 되겠죠. 물론 이건 글쓴이분 돈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돌려 받습니다.. 2. 싱가폴에 있는 한국계 은행들은 제가 알기론 개인계좌를 만들수 있더라도 한국과는 별개인 '싱가폴 지점 만의 계좌'입니다. 계좌번호 방식도 다를겁니다. 물론 KRW, SGD이체 가능하나 '실시간'은 아닙니다. 한국으로 송금 신청 시 싱가폴 지점->한국 본점->수취인 계좌 관리 지점 으로 swift라는 것이 발생합니다. 몇시간 걸립니다.(POSB->하나은행 송금도 동일) 3. 신한, 하나 은행등 아마 Minimum Balance가 필요할겁니다. 자세한건 각 은행 Teller와 상담하시길.. 그 외로,, 한국계은행 계좌를 만들면.. 불편하실텐데요. ATM도 없으며 인터넷뱅킹도 사용 불가능, 송금, 출금 신청시 지점 방문 필요, 업무시간 외 주말포함 입출송금 불가....굳이 한국계은행 계좌를 만드실 이유가..ㅎㅎㅎ      

    채택답변
Q

NO.29

생활WP비자로 은행계좌 개설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답글 : 2
  • 댓글 : 3
답변진행중
maggy(ssum0711) 2017-09-25
추천수 : 0 조회수 : 2,631

지난 주말쯤 MOM으로부터 WP카드를 받았습니다. HR에서 은행계좌 만들어 오라는데 계좌 개설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요. 거주지 증명서는 어떻게 발급 받나요?은행 종류는 상관 없습니다. 거주지 증명서류 말고 또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혹시 평일에 늦게 까지 하는 곳이 있…

  • A

    가까운 은행에 가서 물어보세요 여권부터 WP 카드까지 복잡합니다 다만 거주지 증명은 부동산 계약서 공증된 서류로 처리하는 듯 합니다. 은행 문 여는 시간에 일찍 가서 처리하시는게 좋습니다. 다른 시간에 가시면 1시간 이상 대기하여야 살 수도..     

  • A

    Wp 비자시면 회사에서 도움을 받아 posb로 계좌를 만드시던가 아니시면 UOB에서 계좌를 만드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Posb는 회사에서 신청을 해주면 카키부킷이라는 곳에 위치한 wp홀더 전용 지점에 가셔서 디파짓 없이 계좌 오픈 가능하시고(자세한건 hr담당자에게 물어보세요.) Uob의 경우는 디파짓 1000불+여권+워크퍼밋 카드+주소증빙 서류 이렇게 들고 가시면 됩니다. 디파짓의 경우 계좌 오픈하시고 바로 다 찾으실 수 있지만 500불 미만일 시 2~3불 정도 계좌 유지 비용으로 매달 빠짐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게 주소증빙 서류인데요. 집계약서나 싱텔이나 스타허브 같은 큰기업에서 본인 이름으로 주소지에 빌을 보낸 것을 들고가셔도 됩니다. 둘다 없다면 회사에 요청하셔서 주소지 증명서 발급해 달라고 하세요. 회사에서 확인한 레터 있으면 그걸로 사용 가능합니다. 추가로 알려 드리면 다른 은행은 Dbs의 경우는 wp홀더는 계좌 오픈이 안 되고 ocbc의 경우는 디파짓 500불이 홀딩이고 citi의 경우는 디파짓이 비용이 몇천불 합니다.      

    3
Q

NO.27

생활다시 싱가폴로 가고 싶습니다.

  • 답글 : 2
  • 댓글 : 0
답변진행중
wooya(macho0614) 2017-06-12
추천수 : 0 조회수 : 2,932

안녕하세요! 저는 2012년 우연히 싱가폴로 어학연수를 갔다가 싱가폴이란 나라에 반하여 휴학을 하고 취업에이전시를 통하여 다음해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 2년간 WP비자로 싱가폴에서 근무를하였고, 회사와의 계약이 끝나 학업을 마무리 하기위해 한국으로 돌아왔었습니…

  • A

    캐드를 사용해서 일을 한 경력이 아니라 캐드를 배운 정도론 취업 불가합니다. 설계직은 고사하고 계약직이나 하청 정도도 힘들어요. Drafter같은 경우엔 값싼 필리핀 인력이 넘치는 형편입니다. 옛날에 일 하시던 쪽으로 취업을 하시는게 더 나을것 같네요     

  • A

    이글을 보시는 분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드릴수있을지 모르겠지만 답글을 달기 애매할수도 있는 내용이라 몇가지 참고하실만한 내용적어봅니다. 우선 제가 글쓰신분에 대해 아는 정보라고는 작성하신 내용을 토대로 짐작할 수 있는게 전부이고 싱가폴의 관련산업 현황이 꼭 이런것만은 아니지만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판단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쪽으로 구직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참고하실수 있게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봅니다. . 일단 제조, 건설업쪽에 일하고있는 제 관점에서 . 캐드를 통해 제도사로 취업시 급여가 많이 높지 않아 싱가폴에 취업을 통해 정착하고자 하는 지인이라면 말리고 싶네요. 이유는 우선 노동시장에서 캐드를 하는 3국친구들(필리핀, 미얀마, 인도 등)의 공급이 많고 그 친구들의 급여가 낮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 제가 처음 싱가폴와서 CAD,CAM, CAE 제품 기술영업및 지원쪽 일을 잠깐하면서 그동안 봤던 대부분의 로컬 제조업 회사들은 한국이랑 채용 방식이나 TO가 많이 달라서 설계팀이라는 팀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한개의 프로젝트에 대한 업무분장이 Project Engineer(계약관련 세일즈 및 제품배송 전반관리), Project Coordinator(운송장 및 창고 관리), Drafter(도면작성 및 검토)로 이루어져 돌아 가는것 같습니다. 재미있는건 프로젝트 엔지니어가 캐드를 못해서 제도사에게 이렇게 그려달라 저렇게 그려달라고 요청하는 형태로 업무가 돌아가는것 같습니다. 엔지니어라는 개념이 공학적인 문제를 풀기보다는 파이낸스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영업적인 특성이 강한것 같습니다 . 이미 지내보셔서 아시겠지만 나라 자체가 땅이 넓지않아서 한국처럼 대규모 생산설비 산업 단지보다는 나라전체가 공사장이라는 이미지에 맞게 건설업을 중심으로 관련 산업들이 많이 성업중인것 같습니다. 물론 반도체나 정유, 제약, 항공같은 고부가 산업도 있겠지만 수 적으로 건설업 연관 산업체가 많은것 같구요. 제도사의 수요 역시 특성상 샾이 많이 필요한 건설 연관으로 공고가 많은것 같습니다. . 캐드를 어느정도 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지 관리자 급의(채용을 결정하는) 마인드는 기술이 뛰어난(파라메트릭 기법, 비정형 곡면 설계등) 유능한 제도사 한명을 쓰는것 보다 값싼 제도사 여러명을 쓰는게 효율이 좋다고 생각하는 마인드이니 구직 CV작성시 참고하세요. . 제가 봤던 제도사 중에 가장 급여가 낮았던 친구는 말레이에서 갓 대학을 졸업하고 인턴을 왔던 친구였는데 인턴때 150(반나절근무) 인턴후 (풀타임)500이었습니다. 보통 신입이나 주니어급 제도사 채용 공고에 지원을 하시면 이런친구들과 경쟁을 해야한다는 말씀을 드리고싶네요. . 또한 현재 대부분의 공사의 건축주가 LTA, HDB, URA, SCoS, MOH 같은 정부기관이고 2016년 부터 싱가폴의 정책이 모든 설계 도서를 BIM포멧으로 제출하는 E-submission 가이드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아직까지 완벽하지는 않지만 향후 점차 확고해져서 명확하게 시행이 될것 같구요. 가이드를 제시하는 애들도 아직 개념이 확실히 있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현시점에 제도 혹은 설계관련 잡을 검색해보시면 BIM modeller, coordinator, manager같은 공고가 상당히 많은것을 알수있을 것입니다. Autodesk의 Revit Certified Professional 은 사설 자격이긴하지만 국제자격이고 종종 공고에서 우대해준다는 것을 본적이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한국에서 시험비가 10만원 정도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싱가폴에서는 S$120인데 어떤곳은 S$500하는 곳도 봤네요...) Micro systems의 Bentley Pro도 아직 실무를 하는 프로젝트를 보지는 못했지만 설비쪽은 AECOsim이 가능한 사람을 우대하여 뽑는 공고를 많이 봤습니다. 그외에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많지만 싱가폴 BCA의 설비관련 e-submission은 이 두개로 되어있습니다. 구조는 테클라, AECOsim, 건축은 ARCHICAD랑 Revit으로 되어있습니다.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제가 설비관련일이라 기계 전기 설비 중심으로 말씀드렸구요. BCAA에서 BIM관련 자격증 과정이나 단기 디플로마 과정도 있으니 구직활동하러 오실때 수강을 고려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캐드를 하시는것 보다는 급여가 높고, 또 본인의 실력에따라서 10000가까이 되는 월급도(경력최소 5년이상) 가능하니 잘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있으시길 바랍니다. 또 궁금한점 있으시면 쪽지주셔도 됩니다^^     

Q

NO.26

생활2FA - 세금 신고 어떻게 하나요? (너무 답답해요)

  • 답글 : 3
  • 댓글 : 0
답변진행중
puresure(glasgow) 2017-04-05
추천수 : 0 조회수 : 1,436

안녕하세요~  세금 신고 관련해서 너무 답답해서 글을 써요. 제발 도와주세요   일단 제가 이해한 세금 신고 순서는 1. www.iras.gov.sg가서 Fin # 입력하고 Singpass 로그인 아이디를 만든다. 2. 핸드폰 번호를 등록하면 2FA가 자동 등…

  • A

    대충 맞는것 같습니다. 다만 회사에서 세금 신고를 하고 님이 들어가서 기타부분 공제부분만 기제하고 동의하는 형식입니다. 저는 5월에서 6월 늦을때는 8월쯤 받았으니 참고하세요.             

  • A

    큰 회사의 경우엔 회사에서 직원대신 세금신고를 미리 입력한 후 본인이 내역 확인 및 수정을 해야 합니다. 작은 회사의 경우 본인이 직접 IRAS 웹사이트에 들어가 세금신고를 해야하는데 회사에서 미리 신고 기간전에 FORM IR8A를 발급해서 작년 income을 확인해줘야 합니다. 2FA 등록후 10일안으로 등록됐다는 확인 레터를 받으실거에요. 그럼 등록이 된건데 지금 말씀하신걸로 봐선 3주나 지났고 로그인시 핸드폰으로 뭐 받는걸 모르시는걸 보아 등록이 된건지 의심되네요. IRAS 웹사이트에 다시 들어가서 등록이 됐는지 다시 확인해보세요. 등록이 됐으면 핸드폰으로 로그인할때 자동으로 OTP가 옵니다. 이걸 입력하시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요.      

  • A

    저는 가까운 커뮤니티센터 가서 singpass ID 만든 후 핸드폰번호 등록하라해서 등록하면 당연히 2FA 자동으로 등록되는지 알았지만 자동으로 안되구요 처음 IPA에 비자신청할때 거주지 등록이 되어있는곳으로 레터가 날라가는데 그레터가 7일정도 소요되요 근데 그주소지에 계속살면 다행이지만 그 주소지에 살지 않으면... 방법은 단하나 입니다 탄종파가 인터네셔날센터인가 그건물 7층가시면 엘레베이터에 사람이 2FA 등록하러 왔냐고 물어봅니다 그럼 그사람이 장소 안내해주고 거기 4명정도 직원앉아있는데 그직원한테 퍼밋주면 그자리에서 2FA 등록 후 레터주는데 그 레터가지구 입구쪽에있는곳으로 가라해요 거기가면 테블릿PC로 직원이 등록해주면 그때부터 로그인됩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직접경험한 내용인데요   근데 저도 IRAS 홈페이지가서 세금신고하려고 하는데 저한테 3년이내 세금내라는고지서가 날라온것이 없다라고 날라와서 주변 싱가포리언한테 물어봤는데 날라온게 없으니 안내도 된다라고 하는데.. 저도 걱정이네요..        

가장 많이 본 뉴스

  • ~

서비스이용약관

닫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닫기
닫기